• Title/Summary/Keyword: 재해복구시스템

Search Result 113,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Present Systems for Disaster Management and Broadcasting in Japan (일본의 재난관리 및 방송 시스템 현황)

  • Jeong, S.G.;Park, H.H.;Cho, K.S.;Lee, Y.T.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31 no.3
    • /
    • pp.112-121
    • /
    • 2016
  • 환태평양조산대에 속한 일본은 국토 면적보다 활화산 분포가 높아 지진과 같은 자연재해의 발생이 빈번하여, 일본에서는 자연재해로 인해 많은 인명 피해 및 재난피해가 발생하였다. 그러나 일본은 기상관측정보(예, 지진 규모)를 수집하고 재난피해규모를 분석하여 재난대응, 복구에 필요한 재난정보를 생성하고 재난정보 전송을 공유하는 재난관리 시스템과 방송매체를 통해 재난정보를 전송하는 재난방송 시스템을 발전시켜 일본의 자연재해 피해규모는 점점 줄어들고 있다. 본고에서는 현재 일본의 재난관리 및 방송 시스템 현황을 소개하고 국내 재난경보 시스템 운영체제 고도화 및 발전 방향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 PDF

A Stability Verification of Backup System for Disaster Recovery (재해 복구를 위한 백업 시스템의 안정성 검증)

  • Lee, Moon-Goo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eers
    • /
    • v.49 no.9
    • /
    • pp.205-214
    • /
    • 2012
  • The main thing that IT operation managers consider is protecting assets of corporation from system failure and disaster. Therefore, this research proposed a backup system for a disaster recovery. Previous backup method is that if database update occurs, this record is saved in redo log, and if the size of record file is over than expected, this file is saved in archive log in order. Thus, it is possible to occur errors of data loss from the process of data backup which change in real time while changes of database occur. Suggested backup system is back redo log up to database of transaction log in real time, and back a record that can be omitted from previous backup method up to archive log. When recover the data, it is possible to recover redo log in real time online, and it minimizes data loss. Also, throughout multi thread processing method data recovery is performed and it is designed that system performance is improved. To verify stability of backup system CPN(Coloured Petri Net) is introduced, and each step of backup system is displayed in diagram form, and th e stability is verified based on the definition and theorem of CPN.

Optimized Transaction Commit Protocol for 2-Safe Approach in Remote Backup Systems (원격 백업 시스템에서 2-Safe 방식을 위한 최적화된 트랜잭션 완료 프로토콜)

  • Lee, Chang-Hee;Cho, Haeng-Ra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2.11c
    • /
    • pp.1717-1720
    • /
    • 2002
  • 원격 백업 시스템은 주 시스템에서 재해가 발생했을 때 주 시스템의 데이타를 안전하게 복구하고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유지시켜주기 위해 원격지에 주 시스템의 복사본을 두는 시스템이다. 주 시스템과 백업 시스템의 데이터를 동일하게 유지하기 위한 정책으로 1-Safe 방식과 2-Safe 방식을 들 수 있다. 1-Safe 방식은 주 시스템에서 트랙션을 완료한 후 백업 시스템에 완료 트랜잭션의 결과를 반영하는 방식이고, 2-Safe 방식은 트랜잭션이 주 시스템과 백업 시스템에서 동시에 완료하는 방식이다. 1-Safe 방식은 주 시스템에서 트랜잭션 처리 시간이 빨라진다는 장점을 갖지만, 재해가 발생했을 경우 백업시스템에 반영되지 않은 완료 트랜잭션이 존재할 수 있다는 단점을 갖는다. 이와는 달리 2-Safe 방식의 경우 트랜잭션 처리 시간은 증가하지만, 주 시스템과 백업 시스템 두 곳에서 동시에 완료 트랜잭션의 안정성이 보장된다는 장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완료 트랜잭션의 안정성을 보장하는 2-Safe 방식을 위한 최적화된 트랜잭션 완료 프로토콜인 O2PC를 제안한다. O2PC는 주 시스템과 백업 시스템간에 메시지 전송 오버헤드와 로그 기록 오버헤드를 최소화함으로써 2-Safe 방식의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 PDF

Analyzing the Occurrence Trend of Sediment-Related Disasters and Post-Disaster Recovery Cases in Mountain Regions in N orth Korea Based on a Literature Review and Satellite Image Observations (문헌 및 위성영상에 기초한 북한의 산지토사재해 발생경향 및 복구사례 분석)

  • Kim, Kidae;Kang, Minjeng;Kim, Suk Woo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110 no.3
    • /
    • pp.419-430
    • /
    • 2021
  • This study investigated spatiotemporal trends of sediment-related disasters in North Korea from 1960 to 2019 and post-disaster recovery cases based on a literature review and satellite images. Results showed that occurrence status of sediment-related disasters was initially externally reported in 1995 (during the Kim Jongil era); their main triggering factor was heavy summer rainfall. Furthermore, forest degradation rat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population density (R2 = 0.4347, p = 0.02) and occurrence number of sediment-related disasters was relatively high on the west coast region, where both variables showed high values. This indicates that human activity was a major cause of forest degradation and thus, significantly affected sediment-related disasters in mountain regions. Finally, sediment- related disasters due to shallow landslides, debris flow, and slow-moving landslides were observed in undisturbed forest regions and human-impacted forest regions, including terraced fields, opencast mines, forest roads, and post-wildfire areas, via satellite image analysis. These disaster-hit areas remained mostly abandoned without any recovery works, whereas hillside erosion control work (e.g., treeplanting with terracing) or torrent erosion control work (e.g., check dam, debris flow guide bank) were implemented in certain areas. These findings can provide reference information to expand inter-Korean exchange and cooperation in forest rehabilitation and erosion control works of North Korea.

Study on Design Technology for Disaster Management System for Super Long Span Bridge (초장대교량의 재난관리시스템 설계기술에 관한 연구)

  • Yun, Jung-Hyun;Kim, Moon-Ok;Jang, Min-Hee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10.04a
    • /
    • pp.437-440
    • /
    • 2010
  • 연육 연도교에 주로 건설되는 초장대교량은 시설물 특성상 이용객들의 대피공간이 제약받고 태풍, 해일 등 자연재해에 노출이 많기 때문에 다른 공공시설물보다 재난에 취약한 구조물이다. 최근 공공시설물의 건설동향은 구조물이 장대화 되어가고 있어 재난 발생시 예상 위험이 점점 더 커지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외 장대교량의 재난사고와 재난관리 사례연구를 통해 초장대교량에서 관리되어야 할 재난을 정의하였다. 초장대교량의 재난은 자연재해와 인적재해로 구분할 수 있는데, 자연재해로는 안개, 강설, 결빙, 강풍, 지진, 해일이 있으며 인적재해로는 교통사고, 화재, 테러, 선박충돌, 구조물 파괴 및 재료열화가 있다. 또한 초장 대교량에서 발생 가능한 모든 사고의 잠재가능성을 분석하여 가상의 재난관리 시나리오를 작성하였다. 이 시나리오는 예방, 대비, 대응 및 복구로 구분되는 관리단계별 실행계획 수립에 기초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 PDF

Classification of Statistical Error Types Through Analysis of Wind and Flood Damage History Data (풍수해 피해이력 자료 분석을 통한 통계적 오류유형 분류)

  • Kim, Ku-Yoon;Lee, Mi-Ran;Lee, Jun-W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135-136
    • /
    • 2022
  • 최근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태풍 및 국지성 집중호우 등 자연재해 발생빈도가 증가함에 따라 풍수해로 인한 인명피해와 재산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재해연보를 통해 자연재난 피해이력 통계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당해연도 자연재해상황을 기간별, 시도별, 수계별, 월별, 원인별 총괄통계와 인명피해, 시설피해와 관련된 피해면적, 피해액, 복구액 등 세부내용으로 구성하여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행정안전부는 국가재난정보시스템을 통해 취합된 지자체 피해이력 통계자료를 입력하고 있는데 입력하는 과정에서 누락, 오기 등의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경제적 손실이 증가하고 있는 풍수해 재난이 발생하게 될 경우 피해비용 집계, 피해액 산정 등 정확한 자료로서 구축되지 않으면 연구 및 분석을 수행하기 위한 통계자료로서 활용될 수 없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1985년부터 2018년까지 재해연보에 대해서 기간별-시군구별 자료분석을 통해 피해이력 데이터 오류 유형에 대해 분류하였다.

  • PDF

Application of GIS in Typhoon Risk Assessment (태풍 피해 예측을 위한 지리정보시스템의 활용)

  • Lee, Seung-Su;Jang, Eun-Mi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7.10a
    • /
    • pp.185-191
    • /
    • 2007
  • 최근 10년간 발생한 자연재해 중 태풍의 피해는 전체의 60%를 넘을 정도로 풍수해의 피해는 막대하며, 지속적 산업화와 개발로 인해 피해 규모 역시 매년1조원 이상을 상회하고 있어, 자연재해에 대한 피해 경감 노력이 매우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최근 풍수해의 피해 사전에 예측함으로써 예방 및 대비는 물론 재해 발생에 따른 응급 대응 및 복구의 효율성을 제고하고자하는 과학적 방법론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태풍에 의한 피해 예측은 위험도(Hazard)의 추정, 피해 대상 자료의 구축(Inventory) 및 피해대상의 취약도(Fragility)의 세 가지 요소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위험도는 자연재해의 특성인 강우, 풍속 등을 물리적으로 모델링함으로써 추정할 수 있으며, 피해 대상 자료는 공공 및 사유 시설물을 총 망라함으로써 피해의 사회, 경제적인 피해 규모 예측에 활용된다. 각각의 피해 대상이 위험도에 따라 갖는 취약도는 최종 피해 및 손실 규모의 평가 자료로 이용된다. 이때 위험도의 추정 및 피해 대상 자료의 구축을 위한 핵심적인 방법론으로서 지리정보시스템의 활용이 크게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태풍 피해 예측을 위한 자연재해 위험성 평가 방법론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인 자연 지형, 지표의 특성 및 활용도, 피해 대상인 인공 시설물 등의 자료항목을 분류하고 태풍 피해 예측 기술의 핵심 요소로서의 지리정보시스템 활용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Development of the Practical System for the Automated Damage Assessment (재해 피해조사 자동화를 위한 실용시스템 구축)

  • Jin, Kyeonghyeok;Kim, Youngbok;Choi, Woojung;Shim, Jaehyu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ocietal Security
    • /
    • v.1 no.2
    • /
    • pp.73-78
    • /
    • 2008
  • Recently, large scale natural disasters such as floods and typhoons due to climate change have been occurring all over the world causing severe damages. Among the various efforts to reduce and recover damages, recently, advanced information technology and remote sensing techniques are applied in disaster management. In this study, a real-time automated damage estimation system using information technology and spatial imagery was developed to accomplish prompt and accurate disaster damage estimation. This system is able to estimate the damage amounts of public facilities such as roads, rivers, bridges automatically through spatial imageries including ground based digital images, aerial photos, satellite images of disaster sites. Based on these spatial imageries, the damage amounts are analyzed in the Web-GIS based analysis system. Consequently, the digital damage reports such as digital disaster information sheets and damage maps can be made promptly and accurately. This system can be a useful tool to carry out prompt disaster damage estimation and efficient disaster recovery.

  • PDF

Development of Web-based Flood Prevention Information system (Web 기반 홍수방재정보시스템 개발)

  • Yeo, Woon-Ki;Seo, Young-Min;Jang, Kyung-Soo;Jee, Hong-Kee;Lee, Soon-Ta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795-799
    • /
    • 2007
  • 최근 정보통신산업이 급속도로 발전함에 따라 Internet을 이용하여 각종 정보를 쉽게 얻을 수 있게 되어 수자원 분야에도 정보의 공유와 자료의 통합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재해정보를 효율적이고 직관적으로 표현하기 위해서 방재업무에 GIS를 도입하고 있다. Internet을 통한 손쉬운 정보의 취득은 효율적인 재해관리에 매우 중요하며, 자료의 효율적인 관리와 표현을 위한 GIS기법 또한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Internet과 GIS를 결합하여 보다 많은 사람들이 신속하고 정확한 재해정보를 얻을 수 있게 하며, 방재 업무에 활용토록 하여 재해에 의한 주민들의 생명의 위협과 재산피해를 줄이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효과적인 재해관리를 위해서는 계획과 관련된 정보, 재해발생 이력, 대상지역의 각종 정보가 통합되어 실시간으로 전달될 필요가 있다. 또한 이러한 정보들을 빠른시간내에 이해하고 분석하여 대책을 수립하고 시행해야한다. Internet GIS는 비상상황에 대비한 계획과 대처 그리고 복구사업에 있어 가장 정확하고 신속한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다. 즉, Internet GIS는 방대한 양의 정보를 효과적이고 지능적으로 분석이 가능하며, 이해하기 쉬운 그래픽 기반의 자료를 보여주므로 방재업무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Internet GIS를 방재정보 시스템에 이용할 경우 에 있어 장점, 약점, 기회, 위기에 대한 SWOT분석을 실시하였다. Internet이라는 환경의 장점을 그대로 이어받아 비용면에서 효과적이며 적용범위와 사용자층도 넓어지게 된다. 또한 누구나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어 협력체계 또한 쉽게 구축할 수 있으며 빠른 정보의 교환이 가능하다. 하지만, 인터넷에 의존한다는 점에 있어 서버가 자연재해에 노출될 경우 시스템 자체가 제 기능을 할 수 없으며 여러명이 동시에 서버에 접속을 하기 때문에 컴퓨터에 부하가 많이 걸리는 모델링이나 복잡한 분석은 실시하기 어려우며, 대용량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대역폭이 확보 되어야 한다. 또한, Internet 환경으로 개발을 해야되기 때문에 데스크탑용 GIS에 비해 개발속도가 느리며 개발 초기비용이 많이 들게 된다. 하지만, 네트워크 기술의 발달과 모바일과의 연계 등으로 이러한 약점을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인터넷 GIS를 이용하여 홍수재해 정보를 검색, 처리, 분석, 예경보할 수 있는 홍수방재정보 시스템을 구축토록 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Comprehensive Diagnostic System for Disaster in Decline Areas (쇠퇴지역 재난재해 종합진단 시스템 프로토타입 개발)

  • Shin, Yonghyeon;Lee, Sangmin;Yang, Do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479-479
    • /
    • 2021
  • 최근 기상이변으로 인한 자연재해 발생이 증가하고 있고, 그에 따라 도시의 재난 대응력 강화가 국내에서는 물론 국제적으로도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특히 쇠퇴지역은 재난재해 발생 시 인적·물적 피해가 일반 지역 보다 상대적으로 크며, 복구에도 많은 시간과 예산이 소요되므로 대응책 마련을 위한 도시재생지역의 정밀한 재난재해의 위험성 분석 기술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시재생사업 대상지(311개)에 대한 재난재해 유형별 위험성 및 회복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는 종합진단 기법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한 프로토타입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재난재해의 범위는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을 준용하여 이에 도시재생사업 시행에 영향을 받아 재난재해 발생에 따른 위험정도가 변화할 가능성이 높은 자연재해 (폭우, 폭염, 폭설, 강풍, 지진)5종과 사회재난 (화재, 붕괴, 폭발) 3종 총 8종으로 정의하였다. 종합진단 기법은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 위험도 평가 방법을 준용하여 위험요소 (위해성·취약성·노출성)와 대비·대응요소 (회복성)로 구분하고, 전문가 자문회의를 거쳐 재난재해에 특히 취약한 쇠퇴지역의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종합진단지수 산정식을 개발하였다. 또한 쇠퇴지역 재난재해 종합진단 시스템은 도시재생 업무를 수행하는 사용자가 신속히 정보를 분석하고 활용에 용이하도록 Web-GIS 기반으로 설계하였으며, 종합진단 기법에 의해 산정된 분석결과를 100m × 100m 격자 단위의 등급으로 가시화한다. 분석 결과는 지속적인 연구 개발을 통해 최적의 도시재생사업 의사결정 지원 서비스를 위한 기초 분석 자료로 연계하여 활용되며, 분석 DB는 클라우드 서비스 기반의 도시재생 데이터 플랫폼을 통해 공유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