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재해경감

Search Result 189,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SDGs approach towards Building Resilience to Disaster and Climate Change (재해에 대한 리질리넌스 확보를 위한 지속가능개발목표의 이행)

  • Hong, Ilpyo;Park, Jih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77-77
    • /
    • 2016
  •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수문기상학적인 극한 사상들은 점점 대형화되고 있고, 그 발생빈도 또한 잦아지고 있다. 인구의 증가와 급격한 도시화, 자산 가치의 증가 등으로 물과 관련된 재해로 인한 피해는 점점 더 규모가 커지고 있다. 홍수와 가뭄, 허리케인, 쓰나미와 같이 물과 관련된 재해는 그 영향을 받는 사람들의 수로 본다면 지구상의 재해 중 90%를 차지하고 있을 만큼 그 규모가 크다 할 수 있으며, 전세계적으로 물관련 재해로 인한 재산상의 피해를 약 1,000억 달러 규모로 추산하고 있는데, 2030년에는 그 현재의 두 배가 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이와 같은 재해로 인한 피해는 개도국이나 최빈국뿐만 아니라 관련 인프라가 잘 구축되어 있는 선진국 또한 예외는 아니다. 2015년 9월 UN 세계지속가능 정상 회의에서 각국의 수반들 또한 17개의 "지속가능개발목표(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를 채택함으로서 post-2015 아젠다가 세계를 지속가능하고 균형 있게 바꾸어 나가기 위해서 취해야 하는 가장 시급하고 필요한 과감한 혁신적인 조치임을 인식하였다. 재해경감과 지속가능개발은 2005년 채택된 "효고프레임웍(Hyogo Framework for Action) 2005-2015"에서 도 중요하게 다루어 졌다. 2015년 3월 제3차 세계재해경감대회에서 채택된 "센다이 프레임웍(Sendai Framework for Disaster Risk Reduction) 2015-2030"은 Post-2015 개발의제의 첫 번째 합의 결의안이라 할 수 있으며, 인명피해의 실질적인 감소와 재해에 의한 영향으로 피해 보는 사람들의 수를 줄이고, 경제적 손실과 대형 인프라 피해의 경감을 주요 타겟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리질리언스의 중요성은 SDGs의 Goal 11인 "안전하고 지속가능한 도시와 정주지 조성(Make cities and human settlements inclusive, safe, resilient and sustainable)"에서 강조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골에서 재해로 부터의 리질리언스 확보에 대한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재해 위험을 경감시키기 위해서 국제적으로, 지역적으로 또는 국경을 넘어서는 협력 관계의 구축이 중앙정부나 지방정부를 비롯한 국가적으로 절대적으로 필요한 노력이라 할 수 있다. 특히나, Post-2015 개발 아젠다에 대한 기후변화와 재해경감을 위한 금융지원을 포함한 최빈국, 개도국, 군소 도서국가들과 중견국 선진국들의 양자간이나 다자간 협력 채널을 통한 역량 강화가 필요하다.

  • PDF

A Study on the Strengthening of Disaster Response Capacity to Prevent Social Disasters (사회재난 예방을 위한 재난 대응역량 강화방안 연구)

  • Choi, Suk-Chan;Kim, Duck-Ho;Chong, Cheu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11a
    • /
    • pp.189-190
    • /
    • 2023
  • 본 논문은 최근 발생된 주요 사회재난에 대해 살펴보고 재해경감활동차원에서 대응 및 개선 방안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동안 국회의 입법 활동은 물론이거니와 국가, 지자체 또한 크고 작은 재난에 대해 그때마다 각종 대책을 쏟아내고 있지만 재난을 근본적으로 예방 또는 방지하는 데는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이는 최근 발생된 이태원 10.29 참사에서 볼 수 있듯이 사회재난은 자연재해와는 달리 재난의 예측 어려움은 물론이거니와 전혀 예상하지 못한 상황에서 재난이 발생할 수 있음을 감안하여 재해경감을 위한 충분한 대책을 마련하는 등 예방 활동을 사전에 전반적으로 강화하여 나갈 필요가 있다. 특히 이태원 10.29 참사는 안전대책, 매뉴얼이 제대로 작동되지 않은 총체적인 안전 불감증의 대표적인 사례로 볼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PDCA 사이클을 중심으로 재난 예방 및 발생 가능성 최소화를 위한 재해경감활동 차원에서 대응방안을 모색하고 개선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PDF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CMS, Daily Risk Index, and the Serious Disaster Punishment Act in a National Critical Infrastructure Energy Company (국가핵심기반시설 에너지기업에 도입된 BCMS, 일일위험지수와 중대재해처벌법의 관계 연구)

  • Kang, Shin-Woo;Kim, Duck-Ho;Cheung, Cho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11a
    • /
    • pp.167-168
    • /
    • 2023
  • 에너지분야 국가핵심기반시설에서 산업재해 및 업무중단 사고예방을 위해 재해경감활동관리체계(BCMS)에서 일일위험지수 재난안전관리 프로그램을 자체개발 운용하여 정부의 중대재해 감축 로드맵의 핵심적인 4대 전략 중 하나인 사업장에서 유해위험요인에 대한 자기규율적인 예방관리체계의 확립한 사례를 제시하였다. 이에 대한 신뢰성 검증을 위해 중대산업재해 감축효과에 영향을 미친 사업장의 BCMS, 일일위험지수 및 중대재해처벌법 간의 관계성을 연구한 결과, 제도 간 개념의 관련성이 높으며, 상호 보완적이고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동종 사업장에서 재해경감활동관리체제의 일일위험지수를 활용한다면 중대재해예방관리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nalysis of Domestic Policy Trend and Role of Science and Technology After Sendai Framework for Disaster Risk Reduction (센다이프레임워크 전환에 따른 재해위험경감 관련 국내 정책동향변화 및 과학기술의 역할)

  • Choi, Yoonjo;Hong, Seunghwan;Lee, Su Jin;Sohn, Hong-Gyoo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7 no.4
    • /
    • pp.765-773
    • /
    • 2017
  • With the end of the HFA (Hyogo Framework Action) in 2015, SFDRR (Sendai Framework for Disaster Risk Reduction) was adopted as a new agenda for disaster risk reduction at the 3th WCDRR (World Conference on Disaster Risk Reduction), held in March 2015. Continued understanding of the international agenda for reducing disaster risk is critical to disaster risk reduction at the national level as well as international level. Therefore, in this study, we analyzed major changes in the international agenda for disaster risk reduction as the transition from HFA to SFDRR, and analyzed South Korea's major achievements in the HFA and the implementation status of SFDRR in South Korea. In addition, SFDRR emphasizes the rol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 policy making, and examined research trends in science and technology. 49.9% of the efforts were made to prevent the disasters during the disaster management stage, and plans related to priority 1 (40.4%) and 4 (35.8%) were mainly promoted.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for disaster management were analyzed as active, but 79.7% of the tasks were related to priority 4, a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ll four priorities. Recently, disaster management using next-generation disaster prevention technologies such as satellite technology and big data is required, and it is expected that it will contribute effectively to mitigate disaster risk through establishment of education and policy to support it.

A Study on the International Disaster Management Strategies and Standard Support System for Global Disaster Occurrence (세계적 재난 발생에 따른 국제방재전략 및 표준지원체계 조사·연구)

  • Park, Dugkeun;Oh, Jeongrim;Song, Youngkarb;Lee, Minseok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ocietal Security
    • /
    • v.2 no.3
    • /
    • pp.25-30
    • /
    • 2009
  • The magnitude and frequency of international disaster recovery aids and supports by the United Nations and other donor countries to least developed countries are increasing due to the emerging risks such as super typhoons and consequently worsened impacts by those disasters. With emergency recovery aids, systems for disaster mitigation and preparedness are also needed to the countries hit by disasters. Through the KOICA programs, the Korean government is trying to establish an effective disaster support system for disaster-hit countries. This study reviews current post-disaster aid systems of various countries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proposes improved disaster aid system for the Korean government. The improved system can be used in the assistance of effective and enlarged international recovery activities promoting Korean government's status in the international disaster management society.

  • PDF

A Proposal of the Disaster Mitigation Activity Management System Model for Strengthening Disaster Prevention Activities (재난 예방활동 강화를 위한 재해경감활동관리체계 모델 제안)

  • Kim, Sang Duk;Kim, Chang Soo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5 no.4
    • /
    • pp.502-513
    • /
    • 2019
  • Purpose: This study intends to review the procedures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plan for disaster mitigation activities and the system for the management of disaster mitigation activities for the requirements of the enterprise disaster management standard. Method: The requirements, including the activities of each stage of disaster management defined within the scope of the corporate disaster management standard, were identified, the operational cases of 'A' institution were reviewed, and the targets of continuous planning were reviewed to meet the requirements. Result: It was reviewed that the contents and procedures of each phase of disaster management, which is a requirement of the enterprise disaster management standard, are clearly defined, and a task continuity plan is established for each stage of activity. Conclusion: Conclusion : The PDCA model including the activities of each stage of disaster management activities was presented for the requirements of the enterprise disaster management standard, and the disaster mitigation activity management system model of the broad concept of disaster management including prevention and preparedness plans for disasters was presented.

Recent Contributions by Geographers to Natural Hazards Mapping and Mitigation (자연재해의 지도화와 피해경감 방안에 관한 지리학자들의 최근 성과)

  • Rosenfeld, Charles L.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3 no.spc
    • /
    • pp.721-728
    • /
    • 1998
  • UN은 1990년대를 전세계적인 자연재해 감소를 위한 10년(IDNDR)으로 지정하고 이러한 취지로 제네바에 사무국을 개설했다. 그에 대한 반응으로 국제 과학 연합회는 IGU를 통해 여러 지역에서의 지리적 연구를 지원하고 있다. IGU는 1992년에 개최된 제 27차 IGC에서 자연재해연구 분과를 개설하여 지리학에 있어서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는데 강조를 두는 다양한 자연재해 프로젝트에 지리학자들을 포함시키려는 노력을 시작했다. 지리학자들은 IDNDR에 중요한 공헌을 하고 있는데, 특히 재해 관리를 위한 GIS의 영역과 지도화와 재해 평가를 위한 원격탐사, 재해 반응에 대한 GPS의 이용 등이 이에 포함된다. 지리학자들은 지도화와 재해를 경감시키려는 노력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이미 재해를 입은 지역에 대해 복구 계획을 세우고 있다. CONAHA는 2000년에 서울에서 개최되는 제 29차 IGU에서 UN에 의해 시작된 안건을 지지하게 됨으로 그 역할을 마무리하게 될 것이다. 영구적인 공헌 중에는 1998년에 산악 재해에 관한 발간을 시작으로 자연재해에 관한 책 시리즈와 UNESCO에 의해 발간된 Life Systems 백과사전 내용 중 자연재해에 대한 부분이 포함된다는 것이다

  • PDF

The study on the functions for design and development of Public institutions Disaster mitigation management and support system (공공기관 재해경감활동관리체계 구축 지원프로그램 설계 및 개발을 위한 필요기능 연구)

  • Kim, Minji;Kim, Doyeon;Lee, Miseon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2 no.1
    • /
    • pp.32-39
    • /
    • 2016
  • We analyze BCM, COOP and other exotic advanced cases for making supporting programs relates with Disaster mitigation management in Public area. The outcome from this study explains what are requirements for proper activating the programs and what we need. In conclusion, we could understand importances of BIA, RA, Disaster mitigation activities, Contingency plan, Training, Correspond to disaster, Management of document except for system managing functions. It will be helpful to build supporting programs by meeting most of requirements of BCM at the same time.

기업 사이버재난 관리를 위한 재해경감활동계획 수립

  • Lee, Young-Jai;Lee, Sung-Joong
    • Review of KIISC
    • /
    • v.20 no.4
    • /
    • pp.42-51
    • /
    • 2010
  • Government legislates a private sector preparedness act related to disasters such as natural, technological, and social ones. According to the law, it announces new standard for private sector preparedness. This paper illustrates a mitigation action plan based on the standard in terms of a cyber disaster. This plan includes organization, policy, assessment, impact analysis, strategy, plan, action, evaluation, and feedback. It will also help for business to mitigate a cyber disaster. Private sector accreditation and certification preparedness program which introduces on the law is the realization that enterprise disaster management will be expected as a great tipping-poi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