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재해경감활동관리체계

Search Result 24,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Supplier Management Research for Disaster Mitigation Activities and Prevention of Major Disasters (재해경감활동과 중대재해예방을 위한 공급자 관리 연구)

  • Kim, Sang-D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71-72
    • /
    • 2022
  • 본 연구는 발주기관과 사내 공급자의 재해경감활동관리체계 연계성 강화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기업재난관리표준에 정하고 있는 공급자 전략에 대한 요구사항을 파악하고, 발주기관과 공급자의 적용사례를 검토 분석하여 재해경감활동관리체계의 연계성 강화를 위한 절차를 도출한다. 기업재난관리표준의 요구사항인 공급자 전략에 대하여 명확히 정의하고, 연계성 강화를 위해서 발주기관과 공급자가 적용하는 절차와 그 절차에 의하여 산출된 결과물을 공유하는 표준화된 절차가 필요하다는 시사점에 대한 해결방안을 연구하였다. 공급자의 재해경감활동관리체계 수립 절차중 중요한 절차의 연계성 강화를 위한 개선안을 제안하였으며, 제안된 내용과 절차를 기업재난관리표준과 관련 규범에 반영할 것을 제시한다

  • PDF

A Study on the Link between the Serious Accidents Punishment Act and the Enterprise Disaster Management Standard: Focused on the Serious Industrial Accidents (중대재해처벌법과 재해경감활동관리체계 연계방안 연구 - 중대산업재해 중심)

  • Lee, Byoung-Lim;Kim, Sang-Duk;Choi, Jae-Wook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8 no.3
    • /
    • pp.660-671
    • /
    • 2022
  • Purpose: This study is intended to confirm the business disruptive risk in the Serious Accidents, and propose a plan to comply with the Serious Accidents Punishment Act through the Disaster Mitigation Activity Management System. Metho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case studies, the requirements and characteristics of each of the Serious Accidents Punishment Act, the Disaster Mitigation Activity Management System, and ISO 45001 were compared and analyzed, and implications were derived. Result: The business disruption and financial adverse effects caused by industrial accidents were identified. Based on this and by using the Disaster Mitigation Activity Management System, measures to link the documentation requirements of the the Serious Accidents Punishment Act to the Disaster Mitigation Activity Management System, and to manage the implementation records of the Serious Accidents Punishment Act's duty were derived. Conclusion: When establishing and operating the Disaster Mitigation Activity Management System, it can not only comply with the Serious Accidents Punishment Act but also contribute to maintaining business continuity and ESG management through the prevention of various disasters and the minimization of secondary damage, etc.

A Linkage Plan between the Serious Accidents Punishment Act and the Enterprise Disaster Management Standard: Focused on the Serious Industrial Accidents (중대재해처벌법과 재해경감활동관리체계 연계방안 - 중대산업재해 중심)

  • Lee, Byoung-Lim;Choi, Jae-Wo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79-80
    • /
    • 2022
  • 중대재해처벌법(이하 "동법" 병기) 시행 전후로 동법에 대응하기 위한 정부 지원과 학계 연구는 많이 진행되어 왔으나, 대부분은 사전 예방에 치중되어 재해 발생 이후 기업 운영상의 리스크 관리나 피해경감 등을 위한 연구가 부족하였다. 중대재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사전 예방이 우선이지만 재발방지 및 추가 피해 최소화 노력도 뒤따라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재난 및 업무중단성 사고에 대하여 예방, 대비, 대응 및 복구활동에 필요한 문서화된 관리체계를 규정하고 있는 재해경감활동관리체계(이하 "동 체계" 병기)를 활용하여 중대재해처벌법을 준수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the Survey on the Preparation Status of Business Continuity(Mature Level) (재해경감활동 준비상태(성숙도) 조사의 효과성 고찰)

  • Yang, 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73-74
    • /
    • 2022
  • 본 논문은 재해경감을 위한 기업의 자율 활동 지원에 관한 법률의 기업재난관리표준에 따라 재해경감활동관리체계를 수립함에 있어 최초 단계인 재해경감활동 준비상태(성숙도) 조사의 효과성을 분석하고자 함이 목적이다. 일반적으로 기관의 준비상태(성숙도)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재해경감활동의 도입 수준이 결정된다. 그러나 현재 수행되는 준비상태(성숙도) 조사 문항은 문항 간의 중요도를 고려하지 않아 결과에 대한 신뢰성 및 변별력 저하, 재해경감활동관리체계 수행 단계별 차별성이 고려되지 않은 문제점을 야기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공기업 'K사'의 준비상태(성숙도) 조사의 사례에 대해 기존 결과와 조사 문항의 가중치를 반영한 결과의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문항 간 변별력 부재로 인한 결과의 신뢰성 부족과 그로 인한 준비상태(성숙도) 조사 대상자의 동일 응답 가능성을 배재할 수 없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A Proposal of the Disaster Mitigation Activity Management System Model for Strengthening Disaster Prevention Activities (재난 예방활동 강화를 위한 재해경감활동관리체계 모델 제안)

  • Kim, Sang Duk;Kim, Chang Soo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5 no.4
    • /
    • pp.502-513
    • /
    • 2019
  • Purpose: This study intends to review the procedures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plan for disaster mitigation activities and the system for the management of disaster mitigation activities for the requirements of the enterprise disaster management standard. Method: The requirements, including the activities of each stage of disaster management defined within the scope of the corporate disaster management standard, were identified, the operational cases of 'A' institution were reviewed, and the targets of continuous planning were reviewed to meet the requirements. Result: It was reviewed that the contents and procedures of each phase of disaster management, which is a requirement of the enterprise disaster management standard, are clearly defined, and a task continuity plan is established for each stage of activity. Conclusion: Conclusion : The PDCA model including the activities of each stage of disaster management activities was presented for the requirements of the enterprise disaster management standard, and the disaster mitigation activity management system model of the broad concept of disaster management including prevention and preparedness plans for disasters was presented.

The study on the functions for design and development of Public institutions Disaster mitigation management and support system (공공기관 재해경감활동관리체계 구축 지원프로그램 설계 및 개발을 위한 필요기능 연구)

  • Kim, Minji;Kim, Doyeon;Lee, Miseon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2 no.1
    • /
    • pp.32-39
    • /
    • 2016
  • We analyze BCM, COOP and other exotic advanced cases for making supporting programs relates with Disaster mitigation management in Public area. The outcome from this study explains what are requirements for proper activating the programs and what we need. In conclusion, we could understand importances of BIA, RA, Disaster mitigation activities, Contingency plan, Training, Correspond to disaster, Management of document except for system managing functions. It will be helpful to build supporting programs by meeting most of requirements of BCM at the same time.

A Plan to Increase the Role of the Organization in Terms of the Disaster Response System (재난대응 체계 측면에서 조직의 역할 증대 방안)

  • Oh Jong-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69-70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안보위협의 변화 즉 차 산업혁명, 기후변화 등으로 예상치 못한 상황에서 빈번하게 나타나고 다양·복합·대형화로 대응의 어려움에 따라 재난대응 조직의 역할 증대를 위한 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국가위기관리 조직과 재난관리책임기관H기업에 대한 조직의 역할 분석, 재난(사고)발생 시 재난대응 체계를 살펴보고 재해경감활동관리체계 관리활동에서의 재난(사고)대응체계 측면의 조직의 역할 증대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CMS, Daily Risk Index, and the Serious Disaster Punishment Act in a National Critical Infrastructure Energy Company (국가핵심기반시설 에너지기업에 도입된 BCMS, 일일위험지수와 중대재해처벌법의 관계 연구)

  • Kang, Shin-Woo;Kim, Duck-Ho;Cheung, Cho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11a
    • /
    • pp.167-168
    • /
    • 2023
  • 에너지분야 국가핵심기반시설에서 산업재해 및 업무중단 사고예방을 위해 재해경감활동관리체계(BCMS)에서 일일위험지수 재난안전관리 프로그램을 자체개발 운용하여 정부의 중대재해 감축 로드맵의 핵심적인 4대 전략 중 하나인 사업장에서 유해위험요인에 대한 자기규율적인 예방관리체계의 확립한 사례를 제시하였다. 이에 대한 신뢰성 검증을 위해 중대산업재해 감축효과에 영향을 미친 사업장의 BCMS, 일일위험지수 및 중대재해처벌법 간의 관계성을 연구한 결과, 제도 간 개념의 관련성이 높으며, 상호 보완적이고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동종 사업장에서 재해경감활동관리체제의 일일위험지수를 활용한다면 중대재해예방관리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Study on Directions to Unify Continuity of Operation Plan and Disaster Reduction Activity Plan through Improvement of Enterprise Disaster Management Standard (기능연속성계획과 재해경감활동계획의 일원화를 위한 기업재난관리표준의 개선 방안에 대한 연구)

  • Cho, Jong-yeun;Cheung, Cho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11a
    • /
    • pp.185-186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재난 및 안전관리기본법」에서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를 대상으로 의무적으로 세우는 "기능연속성계획"과 「재해경감을 위한 기업의 자율활동 지원에 관한 법률」에서 기업을 대상으로 자율적으로 수립하고 있는 "재해경감활동계획"에 대한 일원화를 위한 「기업재난관리표준」에 대한 개정안의 구성체계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현행 「기업재난관리표준」의 미비점들을 도출하고, 해당 미비점을 바탕으로 「기업재난관리표준」의 목차에 대한 사전적 개정안을 도출하였다.

  • PDF

Research on Improving the Method of Establishing a Disaster Reduction Activity Management System linked with In-house Suppliers (사내 공급자와 연계된 재해경감활동관리체계 구축방법 개선 연구)

  • Kim, Sang Duk;Kim, Chang Soo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7 no.2
    • /
    • pp.365-374
    • /
    • 2021
  • Purpose: This study aims to study the reinforcement of the connection between the ordering agency and the in-house supplier's disaster reduction activity management system. Method: The requirements for the supplier strategy specified in the enterprise disaster management standard were identified, the application cases of agency A and supplier B were reviewed, and procedures for reinforcing the linkage of the disaster reduction activity management system were derived. Result: In order to clearly define the supplier strategy, which is a requirement of the enterprise disaster management standard, and to reinforce the linkage, it was studied that the procedure applied by the ordering agency and the supplier, and a standardized procedure for sharing the results produced by the procedure were necessary. Conclusion: Among the procedures for establishing a disaster reduction activity management system for in-house suppliers, an improvement plan was proposed to reinforce the linkage of important procedures, and the proposed contents and procedures were suggested to be reflected in the enterprise disaster management standards and related nor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