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재한외국인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초

재한 외국인 민간경호의 성장요인 분석 -한국계 중국인의 사회자본을 중심으로- (Analysis of Growth Factors of Foreign Private Security in Korea: Focusing on the Social Capital of Korean-Chinese)

  • 박정훈
    • 시큐리티연구
    • /
    • 제56호
    • /
    • pp.107-124
    • /
    • 2018
  • 국내 민간경호는 질적 산업으로 양산화 되기보다는 국내 업체들 간의 과열 경쟁으로 소수 업체를 제외하고 영세한 업체로 난립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한국계 중국인은 자체적으로 자국민을 위한 업무 영역을 만들어 국내 업체들과의 차별화된 산업으로 전문화되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본 연구는 재한 외국인 민간경호의 성장요인을 분석하고 선의 경쟁을 하는 한국 민간경호와 한국계 중국인 민간경호를 시작으로 협업을 통한 성공적인 활성화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계 중국인 경호활동의 성장을 불안감 없이 인정해야 하는지 둘째, 한국계 중국인 경호활동이 한국 내 필요한 이유를 찾기 위한 분석과 연구 지속적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셋째, 한국계 중국인 경호활동의 장점과 단점을 분석하여 한정되어 있는 국내 경호활동에서 벗어나기 위한 노력 중의 하나로 언어 능력 향상이 필요하다. 어렵다면 언어 구사가 가능한 인재를 발탁하여 경호활동 가능자로 배출해야 한다. 넷째, 한국계 중국인 경호활동과 국내 경호활동의 협업 활성화를 위하여 한국계 중국인에 대한 인식이 우선 변화되어야하며, 경쟁속의 경호활동이 아닌 서로를 이해하고 상부상조하는 회사 대 회사로 인정하는 관계 개선이 시급하다.

재한외국인의 주거실태 및 주거만족도에 관한 연구 -서울, 경기 지역을 중심으로- (A Study on Housing Situation and Residential Satisfaction of Foreigners in Korea -Focusing on Seoul and Kyonggi Province-)

  • 김영주;박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574-586
    • /
    • 2019
  • 본 연구는 재한외국인의 주거실태와 주거만족도를 조사하고 이들의 주거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도에 거주하는 재한외국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132부의 설문을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응답자들은 대부분 중국국적으로 평균연령은 45.7세였다. 주택소유형태는 90% 이상이 차가였으며, 주택유형은 단독주택이 가장 많았다. 전반적인 주거만족도 점수는 3.43점으로 보통 이상이었으나 주차공간과 노후도, 공간구성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낮았다. 주거만족도 변수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 '공간계획 및 구성,' '시설설비,' '생활편의시설,' '생활환경,' '주거비부담'과 관련된 5개 요인이 도출되었다. 이들 5개 요인이 주거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중회귀분석 결과 '공간계획 및 구성'과 관련된 요인의 영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재한 외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 비교 연구 -중국, 베트남, 몽골, 일본 유학생들을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n the acculturation of international students studying in Korea: focusing on Chinese, Vietnamese, Mongolian, Japanese international students)

  • 김현진
    • 한국어교육
    • /
    • 제29권4호
    • /
    • pp.31-63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aspects of acculturation and the acculturative strategies of Chinese, Vietnamese, Mongolian, Japanese international students in Korea and to explore the correlation between acculturative strategies and acculturation as well as between acculturative factors and acculturation. The analysis revealed (i) that all of the international students from four countries adapted well to Korean culture in order of contentment to the collegiate life, personal factors, Korean living culture, social factors, Korean classes. Further, (ii) frequently used acculturative strategies of Chinese, Mongolian students were in the order of separation, marginalization, and assimilation while the most often used acculturative ones of Vietnamese and Japanese students were in the order of marginalization, separation and assimilation. In addition, (ⅲ) the acculturation of international students from four countries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personal factors, Korean living culture, contentment to the collegiate life, and (iv) the acculturation of Chinese student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eparation strategy. In contrast,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marginalization strategy and the acculturation of Mongolian and Japanese students.

재한 미국인의 주택계획을 위한 사례조사 (A Case Study for the House Planning of Americans Living in Korea)

  • 장상옥;신경주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39호
    • /
    • pp.72-82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sidential culture of Westerners who reside in Korea. For this study,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s were used. Case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10 households through depth-interviews and observations. Houses were sampled purposively to represent the middle-class American home in Jinhae and Jinju of Korea. This result would be helpful to create useful database for designing and remodeling future desirable housing plan for Westerners in Korea. Furthermore, this would be useful to develop checklist items for Korean immigrant's housing plan who reside in Western country.

재한 외국인 유학생의 구강건강관리실태 - 중국인 유학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oral health behavior of international students in Korean universities - with a focus on Chinese students -)

  • 김선주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7-26
    • /
    • 2012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ctual state of oral health behaviors of Chinese students studying in Korea to promote their oral health and provide useful reference materials for expanding dental care services and improving relevant systems. Methods : This research was based on self-filling survey which 413 chinese students in Chungbuk in Korea from April 1 to July 15, 2011. Surveye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x^2$-test, t-test and one-way ANOVA using SPSS WIN 12.0 program and its signification level was 0.05. The following shows the results of this study. Results : In the event of those who didn't use oral hygiene supplies, the largest group didn't use the devices since they didn't know about them well or they didn't need to use. Regarding links between experience of using oral hygiene devices and concern for oral health, those who used oral hygiene devices showed more interest in oral health(p<.001). Conclusions : Accordingly it now is required to develop a more specific and systematic oral health program and to offer administrative assistance for foreign students during their stay in Korea.

코로나19 시기 재한 중국인 유학생들의 온라인 수업경험에 대한 질적 분석 (Qualitative Analysis of Chinese University Students' Online Learning Experience in Korea During the Covid-19 Pandemic)

  • 김주영;구예성;백춘애;박정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633-642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외국인 유학생들의 온라인 수업 경험을 탐색하기 위하여 합의적 질적연구(CQR)의 절차와 방법에 따라 연구를 수행하였다. 2020년 1학기와 2학기, 국내 대학에 재학한 중국 국적 유학생으로 모집하여 총 15명에 대해 온라인 심층면담을 실시했으며, 4개 영역별로 13개 범주와 36개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외국인 유학생들은 온라인 수업의 편의성과 맞춤학습을 장점으로, 학습동기 및 집중력 저하를 단점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수업에서 학업량과 학업투자 시간 증가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온라인 학습을 위해 개인적인 학습전략 활용과 함께 친구 및 학교로부터의 도움을 함께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유학생들은 온라인 수업에서 수업 수업공지 및 안내관련 문제와 수업환경 및 기술적 어려움, 교수자와의 상호작용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온라인 학습 개선 필요 사항에서는 교수자의 수업이해 및 향상 참여 유도 필요, 학생 스스로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강화와 수업 환경측면에서 수업 안내 및 학습지원강화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