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재생용 사업

Search Result 65,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Survey of Natives Resettlement Consciousness in Urban Regeneration Project -Centered on the Re-Maintenance Promotion District of Asan City- (도시재생사업 추진에 있어 원주민 재정착 의식조사 -아산시 재정비촉진지구를 중심으로-)

  • Koo, Si-O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0 no.4
    • /
    • pp.282-291
    • /
    • 2010
  • This study is carried out in order to suggest the effective method to enhance the resettlement of natives for re-maintenance promotion district of Asansi. This study is carried out through current status survey, native survey, and examining related laws, and the result of study is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intention of resettlement for the residents and merchants who live in the project district, 84% of residents and 80% of merchants wish to resettle. Second, in order to enhance the rate of resettlement, driving project to satisfy the demands of residents and merchants is needed. For this, house supplying policy and complex design technique for corresponding this tendency is needed because they prefer to live a single houses or housing attached to shopping street of 100 million won valued below as well as apartments,. And new types of business which can activate the function of the old city are needed, but making commercial space where current merchants can constantly do business activities is demanded. Third, the expansion of urban regeneration concept which have economics, society, culture, welfare and community as well as physical environment improvement are emphasized is needed. Fourth, the role of government for urban regeneration should be strengthened,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 should be supported. Government needs to constantly support including financial supporting in order for the regeneration of regional city, and especially should scout for the policies which community can be maintained and should support first. For this, utilizing public lands inside project district into leading project, government should utilize into "constructing rental houses for natives", inducing the leading key facilities. Fifth, various plan techniques for the resettlement of natives of other advanced countries should be examined and be achieved.

Automatic control trial run of 54MW power energy storage system for frequency regulation of power system (전력계통 주파수조정용 54MW 전력에너지저장장치 제어기의 자동제어 시운전)

  • Lim, Geon-Pyo;Jeon, Woong-Jae;Han, Hyun-Gyu;Park, Chan-Wook;Im, Ji-Hoon;Chang, Byung-Hoo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5.07a
    • /
    • pp.635-636
    • /
    • 2015
  • 한전에서는 전력계통과 연계한 대용량 배터리 에너지저장장치(Energy Storage System)에 전력을 저장하였다가 전력계통의 최대 부하 보상, 주파수 조정, 신재생에너지 출력 평준화 등에 이용하고 있다. 배터리를 이용한 에너지저장장치의 실용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한국전력공사 전력연구원 ESS연구사업단에서는 제주시 조천변전소에 4MW급 실증단지를 건설하여 시험을 진행하여 왔다. 최근에는 52MW 배터리 에너지저장장치를 전력계통의 주파수 조정용으로 사업화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연구도 진행하고 있다. 한국전력공사 전력연구원에서는 서안성, 신용인 변전소에 건설을 완료하여 시운전 중인 52MW 배터리 에너지저장장치 사업에 관련된 기술개발을 위하여 전력연구원에 24MW용 제어시스템, 조천변전소에 28MW용 제어시스템을 개발하여 관련기술을 서안성, 신용인 변전소 에너지저장장치에 적용하여 자동제어 시운전을 수행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주파수조정용 52MW 배터리 에너지저장장치의 시운전 내용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

업계소식 - 서민부담 완화를 위한 DME혼합연료 시범보급사업

  • 한국LP가스공업협회 프로판사업팀
    • LP가스
    • /
    • v.22 no.5
    • /
    • pp.34-37
    • /
    • 2010
  • 국가 에너지원의 다원화와 환경공해 저감은 정부의 저탄소 녹색성장 정책과 에너지 안보를 위해 달성해야만 하는 필수불가결한 과제로 자리 매김한지 오래이다. 또한, 화석연료의 환경문제 유발과 석유자원의 고갈위기 등으로 인해 이를 대체할 수 있는 신재생에너지 개발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으며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친환경 연료로써 DME(Dimethyl ether)에 대한 관심이 날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높은 세탄가를 지니고 물성이 LPG와 유사하여 디젤차량 및 LPG 대체 연료, 연료전지 등의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고 수송 저장 수단, 인프라 구축 등의 장애가 적다는 장점이 있으며, LPG와 물리적 특성이 비슷해 기존 LPG 인프라를 개조하지 않고도 LPG와 혼합해 난방 및 취사뿐 아니라 차량 연료용으로도 시범사업이 활발히 추진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밖에도 액화상태로 저장 운송 등의 취급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한국가스공사의 경제성 분석 결과, 본격 보급시 LPG대비 20~30% 저렴하게 공급가능하다고 판단되어짐에 따라 LPG사용자 부담을 완화할 수 있는 기대를 가지게 한다. 이에 우리협회는 지경부 한국가스공사등과 함께 프로판에 DME가 20%의 혼합된 DME혼합연료 소비자에게 보급하는 시범사업을 전개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진행된 내용과 향후 계획등을 소개함으로써 DME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한다.

  • PDF

Analysis of Battery ESS Technology and its Effects for Generation Constraint (발전제약완화용 배터리 ESS 효과 분석 및 기술 적용)

  • Jung, Solyoung
    • KEPCO Journal on Electric Power and Energy
    • /
    • v.7 no.1
    • /
    • pp.45-50
    • /
    • 2021
  • 우리나라 서해안 및 동해안지역에는 대규모 발전단지가 집중되어 운영 중이며 이 발전단지들의 발전력을 송전하고 있는 765kV 송전선로 2 회선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송전선로의 용량부족으로 인해서 수 GW 규모의 발전력을 불시에 탈락시키도록 보호체계(SPS, Special Protection System)가 운영 중이다. 이 SPS 가 동작하여 대규모 공급능력이 불시에 상실되면 급격한 주파수 하락이 발생하게 되어 저주파수계전기(Under Frequency Relay, UFR)가 동작할 수 있기 때문에 SPS 탈락 발전기의 출력을 상시에 감소시키는 제약비발전(Constraint off)을 시행하고 있다. 이 제약비발전으로 인해 매년 수천억원의 제약비용이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제약을 완화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배터리 에너지저장장치(BESS)를 적용하는 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이는 "발전제약완화 에너지저장장치(이하 발전제약완화용 ESS) 사업"으로 불리며 전국 19 개 변전소에 총 1.4GW(2C-Rate)의 에너지저장장치가 설치되는 국내 최대규모의 BESS 사업이다. 향후 송전망 확충에 의해서 발전제약이 해소되는 경우 주파수 조정용, 재생에너지 변동성 완화용 등의 다목적 ESS 로 활용될 계획이다. 본 보고서에서는 발전제약완화 ESS 사업의 기술적 효과를 실효치 기반의 시뮬레이션(PSS/E v33.3)을 통해서 검토하였다.

태양광 발전용 PCS의 개발 동향

  • Choe, Jong-Seon
    • KIPE Magazine
    • /
    • v.15 no.3
    • /
    • pp.25-29
    • /
    • 2010
  • 현대중공업 전기전자시스템사업본부는 전력계통의 송배전전분야에 걸쳐 꾸준한 기술개발로 최고의 품질을 갖는 중전기기를 생산하는 Global Leader로써 성장하였다. 최근에는 신 재생에너지 분야 사업에 집중하여 태양광발전, 풍력발전, 조력발전의 연구개발을 활발히 진행 중에 있으며, 이러한 분산발전의 핵심기술인 PCS 개발에 매진하고 있다. PCS의 핵심은 전력전자기술을 기반으로 고품질의 전력을 계통으로 역송전하는 기술이다. 계통 연계형 태양광 PCS는 계통에 연계되어 운전되므로 전력계통의 이상 유무를 감지하여 전력계통의 보호협조 기능을 갖는 전력변환장치이다. 그래서 단순히 인버터라 부르지 않고 PCS (Power Conditioning System)라 부른다. 이는 일반적인 인버터 제어와 더불어 제어동작에서 계통의 안정성을 최우선으로 고려하여야 하며, 효율을 최대화하여 고객에게 최대의 수익을 창출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이러한 계통과 연관된 인버터 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태양광 발전분야가 급속도로 성장하는 계기가 되었다. 본 논문은 현대중공업 제품을 중심으로 태양광 발전용 PCS의 개발 동향을 소개하고자 한다.

The Construction Strategy for EV Charging Star-Network of Nationwide Based on Renewable Resource (신재생에너지 기반의 전국단위 전기차 충전 Star-Network 구축 전략)

  • La, Hong-Wook;Hwang, WooHyun;Lee, Kyung-Yun;Kim, Suk-Cheol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5.07a
    • /
    • pp.43-44
    • /
    • 2015
  •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친환경 전기차의 확산이 전 세계적으로 가속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우리나라는 전기차 20년까지 20만대를 보급할 계획이다. 한전은 이러한 정부 정책에 앞장서기 위해 전기차 충전인프라 확산 비즈모델을 개발하고, 전국 단위의 구축을 계획하고 있다. 전국에 충전인프라를 확산하기 위해 민간참여형 충전서비스 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며, 한전 자체적으로 전국에 Star-Network 형태로 전기차 충전망을 구축하여 사내 업무용과 일반인들도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또한 태양광 등 신재생을 이용한 전기차 충전으로 주행하도록 함으로써 온실가스를 제로화시키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전국 단위에 전기차 충전망을 구축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 전기차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한다.

  • PDF

A Development of Cold-Mixed Reclaimed Asphalt Pavement Materials (도로포장용 상온 재생 아스팔트 혼합물 개발)

  • Lee, Jong-Man;Kim, Nak-Seok;Kim, Wan-Sang;Hong, Eun-Cheol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9 no.3
    • /
    • pp.1-7
    • /
    • 2009
  • In order to use recycled aggregate as pavement base or subbase materials, the US and many other European countries have started research since the early 1980s. Korea also had a recycle idea as a plan for the vast amount of construction wastes due to the downtown renovation in the 1990s, but was not put into practical use. After the resources saving and recycle expedition law in 1994, wastes from construction sites that have more than a certain amount of construction budget were recycled as pavement base and subbase materials, but now, researches are being conducted to use them as paving materials. The use of construction wastes is meaningful in many ways. It helps the natural conservation and aggregate consumption, and also improves pavement performance. This research presents a development of cold-mixed reclaimed asphalt pavement materials using recycled aggregates.

Combustion of refuse derived solid fuel in a pilot scale CFBC (Pilot 규모 CFBC에서의 폐기물 고형연료 연소시험)

  • Shun, Dowon;Bae, Dal-Hee;Jo, Sung-Ho;Lee, Seung Yong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6a
    • /
    • pp.207.2-207.2
    • /
    • 2010
  • 자원자원의 절약과 재활용 촉진에 관한 법률에 폐기물 고형연료에 관한 조항 등 폐기물 고형연료에 관한 제반 규정이 도임된 2006년 이후 폐기물 고형연료 에너지화에 대한 관심이 크게 대두되고 정부 및 산업계의 사업추진이 활발하게 진행되어 오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최초로 RDF를 전용으로 연소하는 pilot plant급 순환유동층 보일러를 제작 건설하고 RDF 연료를 연소하여 성능특성과 운전특성을 연구 분석한 것이다. 연구 과정에서 8ton/h급 순환유동층 보일러를 독자적으로 설계하고 건설하였으며, 건설 전 과정을 연구진이 감리하고 관리하였다. 보일러의 스팀사양은 $450^{\circ}C$와 38ata로 하였다. 또한 시운전 및 정상운전을 위한 운전체계를 자체적으로 수립하였다. 설치된 보일러는 장시간의 운전과 반복 실험을 통해 상용 규모 보일러의 설계 자료를 확보하였다. 운전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국내에서 생산되는 RPF와 RDF 각 일종을 입수하여 연소실험을 수행하고 그 특성 자료를 비교하였다. 폐기물 고형연료는 순환유동층 보일러에서 뛰어난 연소 특성을 나타내었으며 배연특성도 양호하였다. 성형된 RDF는 장기간의 운전에서도 안정적인 연소특성을 나타내었다. 다만 HCl의 배출 특성은 환경 규제치를 넘어 섰으며 별도의 배가스 처리기술을 적용하여 환경기준을 맞출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60ton/h급 상용규모 RDF 전용 순환유동층 보일러를 설계하였다. 보일러의 용량은 10MWe 발전과 12ton/h 증기 공급에 적합한 규모로 산업체나 지역난방용 열병합 보일러에 적합한 사양이다.

  • PDF

An Analysis of the Effects of Fuel-transition in Transportation Sector: Focusing on Business Cars (수송부문 연료전환 효과 분석: 사업용 승용차 부문을 중심으로)

  • Kim, Jae Yeob;Kim, Bia;Park, Myung D.
    •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 /
    • v.29 no.4
    • /
    • pp.443-468
    • /
    • 2020
  • Broad effects of fuel-transition in all type of ground transportation have occurred with the help of the advances in electric vehicle (EV) technologies and the increases in EV supply. This research estimates the economic benefit of air environmental improvements, which results from the fuel-transition of high-mileage business cars(taxies) in metropolis. If we consider power production sector for EV operation, some air pollutants will be produced. In this respect, this research takes both the mixture of power sources in power production level and the driving pattern of business cars into account when investigating the economic benefit in air environment resulted from the fuel-transition of business cars(taxies). According to our results, the business cars' fuel transition from LPG to electricity brings about 21.5₩/km (8.6million won/year) of economic benefit in air environment. These results emphasize the necessity and appropriateness of public polices for expanding power production with renewable energies and facilitating EV distribution.

기존 도시의 U-City 구축 필요성 및 고도화 방안

  • Han, Seon-Hui;Im, Yong-Min;Lee, Jae-Yong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1 no.8
    • /
    • pp.3-9
    • /
    • 2014
  • '08.3월 U-City법이 제정되었고, '09년에 U-City법에 근거한 제1차 유비쿼터스도시종합계획 (이하 U-City종합계획)이 수립되었다. 이후 계획에 따라 U-City R&D, U-City시범도시 지원사업 등이 추진되었으며, 기술, 서비스, 인력양성, 산업지원, 법제도 개선 등 다양한 부문에 U-City 지원 정책이 시행되었다. 이로 인해 국내 U-City 사업이 활발히 추진되었으나 주로 공공 주도의 신도시를 중심으로 구축되어 과도한 건설비용 및 관리운영비 부담, 중복투자 등의 다양한 문제를 발생하게 된다. 결국 신도시 조성 개발이익을 통한 U-City 구축은 건설경기의 침체와 함께 심각한 위기를 맞게 된다. 하지만 새정부 출범 이후 U-City는 창조경제 대표사업으로 채택되어 재도약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되었고 정부는 지역경제 활성화의 일환으로 도시재생사업에 U-City를 접목하는 등 U-City 부흥을 위한 시도를 지속적으로 하고 있다. 특히 신도시 개발로 치우쳐서 발생된 기존도시와의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해 다각도로 해결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이에 현 시점에서는 기존도시에 초점을 맞추어 U-City 방향을 살펴보는 연구가 필요하며, 기존 신도시형 U-City가 추구했던 정보통신 위주의 계획에서 벗어나 지역특성 및 수준 등을 고려한 도시계획적 측면으로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고에서는 국내외 스마트시티 동향을 파악하고 우리나라의 신도시개발형 U-City 구축 현황의 문제점을 진단하여 기존도시형 U-City 구축의 필요성을 도출하였다. 이를 토대로 실효성 있는 기존도시 U-City 구현을 위하여 도시계획적 관점에서의 고도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