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Analysis of the Effects of Fuel-transition in Transportation Sector: Focusing on Business Cars

수송부문 연료전환 효과 분석: 사업용 승용차 부문을 중심으로

  • 김재엽 (에너지경제연구원 전력정책연구팀) ;
  • 김비아 (에너지경제연구원 가스정책연구팀) ;
  • 박명덕 (에너지경제연구원 집단에너지연구팀)
  • Received : 2020.09.01
  • Accepted : 2020.11.12
  • Published : 2020.12.31

Abstract

Broad effects of fuel-transition in all type of ground transportation have occurred with the help of the advances in electric vehicle (EV) technologies and the increases in EV supply. This research estimates the economic benefit of air environmental improvements, which results from the fuel-transition of high-mileage business cars(taxies) in metropolis. If we consider power production sector for EV operation, some air pollutants will be produced. In this respect, this research takes both the mixture of power sources in power production level and the driving pattern of business cars into account when investigating the economic benefit in air environment resulted from the fuel-transition of business cars(taxies). According to our results, the business cars' fuel transition from LPG to electricity brings about 21.5₩/km (8.6million won/year) of economic benefit in air environment. These results emphasize the necessity and appropriateness of public polices for expanding power production with renewable energies and facilitating EV distribution.

전기차 관련 기술 발달과 보급 확대로 화물, 이륜차 등 일반승용 부문을 넘어 육상수송 전반에 걸친 연료전환 효과가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는 대도시에서 긴 주행거리를 운행하는 사업용 승용차(택시)의 연료전환에 따라 발생하는 대기환경편익을 택시의 운행특성과 충전전력의 발전원별 비중을 동시에 반영하여 추정하였다. 분석 결과 LPG를 연료로 하는 택시의 연료 전환 효과는 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을 기초로 한 발전원별 비중을 고려했을 때 약 21.5원/km로 분석되었으며, 택시 한 대가 출고되어 폐차될 때까지의 전체 운행거리를 기준으로 할 때 약 860만 원 수준으로 추정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최근 국내외에서 활발히 추진되고 있는 재생에너지발전 및 전기자동차 보급 확대 정책의 필요성 및 당위성을 보여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논문은 에너지경제연구원 2019년도 기본과제 "E-Mobility 성장에 따른 석유·전력·신재생에너지 산업 대응전략 연구(전력)(1/4)"와 2020년도 기본과제 "E-Mobility 성장에 따른 석유·전력·신재생에너지 산업 대응 전략 연구(전력)(2/4)"의 주요 결과를 활용하여 작성하였습니다. 아울러 본 논문의 보완을 위해 아낌없는 도움을 주신 익명의 심사위원들께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References

  1. 강만옥.한진석.신동원.강선아, "환경성.형평성을 고려한 수송용 에너지 적정가격 설정 및 세수 활용 방안",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9.
  2. 고준호.기현균.정상미, "친환경차 보급 동향과 서울시 정책 방향", 서울연구원, 2017.
  3. 관계부처 합동,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 2020.
  4. 김재경, "자동차의 전력화 확산에 대비한 수송용 에너지가격 및 세제 개편 방향 연구", 에너지경제연구원, 2017.
  5. 박명덕.김재엽.김비아, "E-Mobility 성장에 따른 석유.전력.신재생에너지 산업 대응전략 연구(전력)(1/4)", 에너지경제연구원, 2019.
  6. 산업통상자원부, "제3차 에너지기본계획", 2019.
  7. 산업통상자원부, "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 2017.
  8. 안기정.김영범, "택시운송원가 분석 및 요금체계 개선 학술 용역", 서울연구원, 2017.
  9. 안소은.문난경.김진옥.조윤량, "PM2.5 조기사망의 대기오염물질․오염원별 피해비용 산정",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9.
  10. 이근대.박명덕.정연제.신힘철.양정호, "발전원별 균등화 발전원가 산정에 관한 연구", 한국전력거래소, 2018.
  11. 이동규.박명덕.조성진.정연제.전호철.이창훈, "발전용 에너지 제세부담금 체계 합리적 조정방안 연구", 한국조세재정연구원, 2018.
  12. 이동규.정준환.조철근.임재규.김주영.한진석.이창훈, "수송용 에너지 상대가격 합리적 조정방안 연구", 한국조세재정연구원, 2017.
  13. 전호철, "에너지전환정책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환경편익 추정연구", 자원.환경경제연구, 제28권 제2호, 2019, pp. 307-326.
  14. 전호철, "전기자동차 보급에 따른 지역간 오염물질 및 온실가스 배출 영향 분석",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7.
  15. 조상민.이승문, "E-Mobility 성장에 따른 석유.전력.신재생에너지 산업 대응 전략 연구(신재생에너지)(1/4)", 에너지경제연구원, 2019.
  16. 한국에너지공단, 2019 "2019 자동차 에너지소비효율 분석집".
  17. BNEF, "Electric Vehicle Outlook 2019," 2019.
  18. EPRI, "EPRI executive summary: environmental assessment of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s, Volume 2: United States air quality analysis based on AEO-2006 assumptions for 2030," 2007.
  19. European Commission (ExternE Project), "Externalities of Energy," Vol. 10, 2005.
  20. Graff Zivin, J. S., M. J. Kotchen, and E. T. Mansur, "Spatial and Temporal Heterogeneity of Marginal Emissions: Implications for Electric Cars and Other Electricity-Shifting Policies," Journal of Economic Behavior and Organization, Vol. 107, 2014, pp. 248-268. https://doi.org/10.1016/j.jebo.2014.03.010
  21. Holland, S. P., E. T. Mansur, N. Z. Muller, and A. J. Yates, "Are There Environmental Benefits from Driving Electric Vehicles? The Importance of Local Factors," American Economic Review, Vol. 106, No. 12, 2016, pp. 3700-3729. https://doi.org/10.1257/aer.20150897
  22. International Energy Agency(IEA), "Global EV Outlook 2019," IEA Publication, 2019.
  23. Jeon, W., S. Cho, and S. Lee, "Estimating the Impact of Electric Vehicle Demand Response Programs in a Grid with Varying Levels of Renewable Energy Sources: Time-of-use Tariff Versus Smart Charging," Energies, Vol. 13, No. 17, 2020.
  24. McCarthy, R. and C. Yang, "Determining marginal electricity for near-term plug-in and fuel cell vehicle demands in California: Impacts on vehicle greenhouse gas emissions," Jouranl of Power Sources, Vol. 195, No. 7, 2010, pp. 2099-2109. https://doi.org/10.1016/j.jpowsour.2009.10.024
  25. Parry, I., D. Heine, E. Lis, and S. Li, "Getting energy prices right: from principles to practice," International Monetary Fund. 2014, p. 1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