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재사용성

검색결과 7,134건 처리시간 0.053초

클래스의 재사용을 위한 정보 분석 및 품질 척도 (Information Anlaysis and Quality Metrics for Reusing Classes)

  • 김재생;송영재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26권3호
    • /
    • pp.393-400
    • /
    • 1999
  • 클래스에 관한 재사용 관련 정보는 기능.환경면에서 정보와 품질 메트릭 정보로 구분할 수 있다. 기능.환경면에서 정보는 재사용 부품의 기능과 구현 환경에 관한 정보이며, 품질메트릭 정보는 재상용 부품들의 재사용성을 가시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정보이다. 클래스의 재사용성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클래스의 절차적이고 객체지향적인 특성들을 모두 고려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클래스에 관한 재사용성 관련 정보를 소개하고 품질 메트릭 정보를 정량화시키는 정의식들을 제안하고, 클래스 코드로부터 기능.환경면으로 정보와 품질 메트릭 정보를 추출 및 측정하였다

엔터프라이즈아키텍팅을 통한 시스템 컴포넌트 품질향상 방법

  • 임남규;이태공
    • 전자공학회지
    • /
    • 제35권10호
    • /
    • pp.19-30
    • /
    • 2008
  • 지금까지 개발된 대다수의 정보시스템은 시스템 품질 요소인 상호운용성, 이식성, 확장성 및 재사용성 등이 극히 미흡하여 통합성이 부족할 뿐 아니라 과도한 유지보수비를 요구하고 있다. 더구나 이러한 시스템의 컴포넌트들은 엔터프라이즈 범위에서 개발되지 않아서 해당 시스템 외에서는 재사용을 할 수 없다. 정보기술아키텍처 및 엔터프라이즈아키텍처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출현하였다. 본 논문은 엔터프라이즈아키텍팅 개념을 기반으로 시스템 컴포넌트의 품질을 향상 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는 것으로, 먼저 아키텍팅개념을 발전시킨 엔터프라이즈아키텍팅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둘째, 시스템 컴포넌트의 품질 요소를 정의하기 위하여 시스템기반 상호 운용성, 이식성, 확장성, 및 TCO개념을 시스템 컴포넌트개념으로 재정의 하였으며, 셋째, 이를 기반으로 시스템 컴포넌트의 품질 요소인 재사용성을 정의하였고, 마지막으로, 엔터프라이즈아키텍팅에 의해 시스템 컴포넌트의 재사용성이 향상됨을 보여주었다.

  • PDF

컴포넌트 복잡도, 특화성 및 재사용성 측정을 위한 메트릭 (Software Component Metris for Complexity, Customizability, and Reusability)

  • 이숙희;조은숙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3권4호
    • /
    • pp.71-82
    • /
    • 2002
  • 최근 컴포넌트에 기초한 소프트웨의 발전은 효과적인 새로운 소프트웨어의 발전 시류로서 받아들여지고 있다 1990년대 후반에 컴포넌트에 기초한 소프트웨어 공학(CBSD)의 도입이래 CBSD의 연구는 주로 컴포넌트의 모델링과 방법론, 구조및 컴포넌트 플랫폼에 초점이 맞춰져 왔으나, 시장에서 필요한 컴포넌트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다양한 특성의 컴포넌트를 명시하기 위한 측정기준을 제시하는 것이 더욱 중요해졌다. 이 논문에서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의 복잡성. 특화성, 재사용성 등을 측정하는 기준을 제시할 것이다. 복잡성 기준(metrics)은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비교하고 측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을 것이며 특화성 기준을 컴포넌트들이 조직의 특별한 요구조건을 얼마나 효율적이고 광범위하게 맞출 수 있느냐를 측정하는데 이용되어진다. 재사용성은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재사용학 수 있는 정도를 측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 PDF

객체 지향 패러다임에서의 코드 재사용을 위한 응집도 레벨 식별 모범 사례 (Best Practice on identifying the level of cohesion for reusing source code in object-oriented paradigm)

  • 변은영;박보경;장우성;김영철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6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455-458
    • /
    • 2016
  • 소프트웨어의 재사용은 소프트웨어 개발의 품질과 생산성을 높이고 개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재사용을 위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소스 코드에서 재사용성이 높은 모듈을 추출하기 위해 모듈화에 적합한 소스 코드를 식별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우리는 코드 가시화를 적용한다. 정량적 지표인 응집도 지표와 추출하여 코드의 복잡도와 재사용성을 판단한다. 본 논문에서는 객체 지향 패러다임에서 응집도를 재정의 하여 제안하고 모듈 단위를 메소드로 정의하여 모듈의 응집도를 추출한다. 이를 통해 모듈화가 가능한 코드의 재사용과 복잡한 코드의 리팩토링이 가능하도록 한다.

UML을 이용한 효율적인 온톨로지 재사용에 관한 연구

  • 이지홍;양진혁;손종수;정인정
    •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65-269
    • /
    • 2006
  • 차세대 웹의 중심기술인 시맨틱 웹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컴퓨터가 지식을 추론하고 처리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지식표현방법인 온톨로지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이러한 온톨로지 생성의 중요성이 점차 커져 가는 실정에 따라, 생성된 온톨로지들의 재사용을 위한 방법이 관련 연구들 사이에 중요한 과제로 떠오르기 시작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온톨로지의 재사용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우리가 제안하는 방법은 온툴로지를 사용자가 이해하기 쉽고 편집이 용이한 그래프 형태로 표현하는 방법으로 온톨로지를 UML로 변환하여 UML을 통한 온툴로지 재사용 방안을 제안한다. 우리가 제안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OMG의 MDA 개념을 기반으로 기존에 생성된 온톨로지를 XML 파서를 이용하는 방법을 통하여 XMI로 변환한다. XMI로 변환된 온툴로지는 UML 도구를 사용하여 재사용 할 수 있다. UML로 변환된 온톨로지는 위 과정을 역으로 다시 수행함으로써 온톨로지로 변환된다. 이렇게 UML로 변환된 온톨로지는 UML의 장점을 그대로 가지게 된다. 이미 널리 사용되고 가독성과 편집력 그리고 상호 운용성이 높은 UML을 이용하여 온톨로지의 재 사용성을 높이고자 하는데 있다. 즉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온톨로지의 전체 구조와 의미를 파악하는데 도움을 주며 편집 또한 용이하다. 이러한 방법을 바탕으로 UML을 통해 온톨로지를 쉽게 사용자의 온톨로지에 대한 이해와 수정을 도와 온톨로지의 재 사용성을 높이고 사용자간의 공유를 용이하게 만들 수 있다.

  • PDF

컴포넌트의 재사용과 확장성을 위한 개발 방법 (A Study of Development Method for Component Reuse & Extension)

  • 이은서;이경환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9D권5호
    • /
    • pp.837-846
    • /
    • 2002
  • 컴포넌트 개발 시에 속성과 행위에 대한 공용성과 가변성을 분석하여 재사용과 확장성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므로 공용성과 가변성이 분석된 컴포넌트는 기능과 적합성의 불일치를 줄이고자하는 목적에서 사용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영역에 의하여 존재하는 컴포넌트의 공용성과 가변성을 분석해서, 컴포넌트의 기능을 행위분석에 의하여 추출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에 의하여 컴포넌트의 재사용과 확장성을 연구하고자 한다.

컴포넌트 워크플로우 가변성의 정형 명세 및 모델링 기법 (Formal Specification and Modeling Techniques of Component Workflow Variability)

  • 이종국;조은숙;김수동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29권10호
    • /
    • pp.703-725
    • /
    • 2002
  • 컴포넌트는 소프트웨어 개발의 복잡성을 감소시키는 효과적인 방법으로 평가되고 있다. 그러나 소프트웨어 개발 시 컴포넌트를 사용하여 기간 단축과 비용 절감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컴포넌트의 재사용성이 향상되어야 한다. 업무 단위로 컴포넌트를 설계하여 컴포넌트 안에 업무 워크플로우를 포함하는 것은 컴포넌트의 재사용성을 향상시키는 효과적인 방법이다. 워크플로우가 내장된 컴포넌트는 업무 단위로 재사용되기 때문에 개발 기간 단축과 비용 절감 효과가 크다. 몇 몇 컴포넌트 방법론에서 워크플로우를 내장한 컴포넌트 설계 기법의 필요성을 제시했다. 그러나 컴포넌트 개발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좀 더 실용적이고 구체적인 기법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컴포넌트를 통한 워크플로우의 재사용을 위해 패밀리 멤버간의 가변적인 워크플로우를 컴포넌트에 내장하여 재사용성을 높이는 기법을 제안한다. 제시된 기법은 워크플로우와 워크플로우 가변성에 대한 정형명세를 통해 복잡한 워크플로우의 설계를 단순화한다. 또한 정형 명세를 통해 워크플로우 가변성 간의 불일치를 해결하고 가변성의 결합도를 낮춘다. 정형 명세와 UML을 사용한 컴포넌트 모델링의 산출물은 컴포넌트 구현 소스 코드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것을 돕는다. 따라서 제시된 설계 기법은 개발자의 생산성을 높이고 컴포넌트의 재사용성을 향상시킨다. 본 논문에서는 설계 기법과 함께 예제를 통해 컴포넌트 워크플로우 명세와 설계 기법의 타당성을 입증한다.

정적/동적 분석 기반의 재사용 메트릭과 가시화 구축 (Constructing A Visualization & Reusable Metrics based on Static/Dynamic Analysis)

  • 변은영;손현승;문소영;장우성;박보경;김영철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7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621-624
    • /
    • 2017
  • 소프트웨어의 적용 분야가 다양화되면서 시장 환경의 변화와 사용자 요구사항의 다양화가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부족한 시간, 예산, 인력 문제로 고품질의 소프트웨어 개발은 더 어려워졌다. 이런 문제의 해결을 위해 레거시 시스템의 모듈을 재사용하여 고품질화하고자 한다. 기존에는 정적 분석 기반의 재사용 모듈/덩어리 식별만 이루어졌지만, 실제 실행 환경에서 적용되는 동적 분석 기반의 재사용 식별이 더욱 중요하다. 이를 위해, 재사용 메트릭을 정의하고 재사용 모듈/덩어리 자동식별 및 가시화를 제안한다. 이는 새로운 프로젝트 개발의 재사용성을 높여, 신뢰성과 생산성 향상시키고 품질 개선에 기여한다.

Effects of Different Plasticizers on Some Properties of Biodegradable Starch-based Foams

  • Cha, Jea-Yoon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28권2호
    • /
    • pp.143-150
    • /
    • 2003
  • 전분 완충재의 물리적, 기계적 특성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들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기존의 플라스틱 완충재와 비교하면 더 많은 노력이 요구되어진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전분 완충재의 물리적 기계적 특성에 대한 유연제(plasticizers)와 첨가제(additives)의 영향을 규명하였다. 전분과 합성수지 그리고 여러 유연제 또는 첨가제를 혼합한 뒤 Brabender사의 일축 압출기를 이용하여 여러 축속도(60~120 rpm)에서 압출 가공한 후 물리적, 기계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전분 완충재의 밀도(bulk density)와 압축성(bulk compressibility)은 혼합물에서 물의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지만, 복원성(bulk resiliency)은 조금 감소하였다. 측정되어진 전분 완충재의 특성은 변형전분(hydroxypropylated starch)의 사용으로 향상되었다. 또한, glycerol, glycerol monostearate 그리고 alkylglucosides의 첨가도 전분 완충재의 밀도와 압축성을 증가시켰다. 염화철(II) 0.5%을 포함한 전분 완충재는 첨가제를 포함하지 않은 전분 완충재에 비하여 밀도 42%와 압축성 58%가 각각 감소한 반면, 복원성은 13%포인트 증가하였다. 변형전분과 염화철(II)이 첨가된 전분 완충재는 기존의 플라스틱 완충재에 비하여 밀도와 압축성은 떨어지지만, 대체 사용되어질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 보호재의 성능에 대한 실험적 평가 (An Experimental Evaluation on Performance of Surface Protector for Concrete Structures)

  • 남용혁;정영준;장석환;안영기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0권5호
    • /
    • pp.157-163
    • /
    • 2006
  • 본 연구는 콘크리트를 보호하기 위해서 발수성 프라이머와 마감 코팅재룰 사용한 이중 표면보호 방식을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기존의 경우에는 발수제가 가장 마지막 도장재로 사용된다. 그러나 본 연구는 발수제가 자외선에 약한 결점을 보완하고자 발수제 도장 후에 마감재가 도장되는 순서로 시공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조합의 표면 보호재와 기존 표면 보호재를 비교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표면 보호재의 부착 성능은 발수제 위에 보호재가 시공되어도 본 연구에서 사용된 다른 보호재와 마찬가지로 KS F 4936-' 03을 만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모든 보호재는 콘크리트를 보호하는 성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발수성 프라이머와 마감 코팅재를 함께 도포한 경우 염소이온 침투 저항성 및 이산화탄소에 의한 중성화 저항성이 본 연구에서 사용된 다른 표면 보호재에 비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