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재배지역

Search Result 2,393,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Domestic Cultivation Research Trend in Yacon (야콘의 국내 재배 동향)

  • Kim, Su-Jeong;Nam, Jung-Hwan;Jin, Yong-Ik;Hong, Soo-Young;Chang, Dong-Chil;Jeong, Jin-Cheol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2.05a
    • /
    • pp.16-16
    • /
    • 2012
  • 야콘의 국내 새로운 소득 작목으로 도입하고자 재배 면적, 농가 수 등의 재배 동향을 조사 분석하였다. 야콘은 국화과의 다년생 초본식물로서 땅속에서 붉은 구슬 모양 관아로 번식한다. 땅속의 덩이뿌리인 괴근은 고구마와 비슷하고 잎줄기는 해바라기와 흡사하다. 다년생 초본으로 분류되지만 우리나라처럼 초겨울에 동상해가 자주 발생하는 곳에서는 식물체가 고사하기 쉬우므로 일년생으로 재배하기도 한다. 야콘은 배처럼 아삭아삭 씹히며 단맛이 있고 수분이 많아 시원함을 주는데 열을 가하여 조리하면 연근 같은 맛이 난다. 우리나라의 야콘은 농촌진흥청에 의해 1985년에 처음으로 도입되어 1986년과 1987년에 시험연구를 거쳐 강원 충북 경북 등의 농가에 최초로 보급되었다. 야콘이 도입된 초창기에는 재배 방법이 확립되지 않아 널리 재배되지 못하였다. 최근 10년간 야콘의 재배 면적과 재배 농가 수는 급격하게 늘어났다. 1999년에는 상주 영주 강릉 강화 등의 일부 지역의 10여 농가에서 8ha정도 재배하였으나, 2009년에는 447농가, 166ha로 각각 약 45배, 20배씩 증가하였다. 지역별 재배 면적은 경북 59ha(35%), 강원 30ha(18%), 경기 20ha(12%)로 경북, 강원, 경기의 순이었다. 재배 농가 수는 서울에서 가까운 경기도 지역이 117개 농가(26%)로 가장 많았고, 강원 69개 농가(15%), 경북 54개 농가(12%)로 경기, 강원, 경북의 순이었다. 야콘 재배농가의 경력은 평균 7년이었으며, 특히 2000년 이후 재배를 시작한 농가가 전체의 68%로 야콘 재배가 최근 들어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단위면적당 수량은 5,506kg/10a으로서 감자나 고구마보다 2~3배 많았다. 소득은 2,041천 원/10a으로 감자와 고구마에 비해 두 배 이상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 PDF

Hydroge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Wangjeon-ri PCWC area, Nonsan-city, with an Emphasis on Water Level Variations (논산시 왕전리 수막재배지역의 지하수위 변화)

  • Cho, Byong-Wook;Yun, Uk;Lee, Byeong-Dae;Ko, Kyung-Seok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22 no.2
    • /
    • pp.195-205
    • /
    • 2012
  • We evaluated the results of pumping tests, the amount of groundwater used by Protected Cultivation with Water Curtain (PCWC), and monthly depth to water table (DTW) at the Wangjeon-ri area, Nonsan City, to elucidate the cause of a decrease in pumping rate during the winter PCWC season. The transmissivity and storage coefficient at eight sites where the major aquifer is alluvium, vary from 119.9 to $388.1m^2/d$ and $1.5{\times}10^{-4}$ to $5.5{\times}10^{-4}$, respectively. The pumping rate for PCWC during three months (Dec. to Feb.) averaged about $8,100m^3/d$ and the maximum water level in the area varied by about 10 m. Groundwater levels had fully recovered by August-five months after pumping for PCWC had ceased. These observations indicate that the pumping rate during the winter PCWC season was excessive compared with groundwater productivity in the area. Groundwater level in the central PCWC area varied from -3.0 to 4.38 m, exceeding the water level of the Nosung Stream for only three months (Aug. to Oct.). This result indicates that Nosung Stream recharges the area during the period from November to July. To solve the problem of reduced pumping rate during the winter PCWC season, it would be necessary to reduce the amount of groundwater used for PCWC or to develop an artificial recharge system using recycled groundwater.

농업기술 - 벼 이화명나방 피해양상과 관리요령

  • Baek, Chae-Hun
    • 농업기술회보
    • /
    • v.49 no.3
    • /
    • pp.36-36
    • /
    • 2012
  • 최근 벼 재배지역의 일부 품종에서 이화명나방에 의한 피해양상 및 피해정도가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그동안 발생량과 피해가 적었던 이화명나방이 벼 품종 및 재배환경의 변화로 일부지역에서 발생량 및 피해가 많아 문제해충으로 대두되고 있어 각별한 관리대책이 요구된다.

  • PDF

The history of ginseng cultivation in Ganghwa area (강화 지역의 인삼 재배 역사)

  • Lee, Sungdong
    • Journal of Ginseng Culture
    • /
    • v.2
    • /
    • pp.9-16
    • /
    • 2020
  • Ginseng was first addressed ever in the medical record in HyangYakGooGupBang (鄕藥救急方), the oldest Korean medical book published in Kingdom of Goryeo (918-1392) when Ganghwa was the provisional capital city at the time. It is believed that ginsengs in Ganghwa were planted and cultivated from 1100s. Intensive ginseng production in Ganghwa began when Ganghwa became the special district of the Kaesong Ginseng Union (開城人蔘組合) in 1920s, this intensive production continued till the Korean War in 1950. After the Korean War ended in 1953, ginseng production was resumed. In 1967, Ganghwa Ginseng Association (江華蔘業組合) was founded. The total acreage of ginseng harvested was nearly 200 ha in 1967 and it increased to ha 900 in 1974. By mid-1970s, Ganghwa became the largest ginseng region in Korea by total production and acreage. Most of ginseng roots cultivated in Ganghwa are six years old. Ganghwa, which was already well-known for red ginseng productions, has become even more famous for ginseng production.

The Influence of Soil Characteristics and Sweet Potato (Ipomoea batatas L.) Varieties on Fiber Content (재배지역 토양특성과 고구마 품종의 섬유질 함량 차이)

  • Park, Won;Chung, Mi Nam;Lee, Hyeong-Un;Kim, Tae Hwa;Kim, Su Jung;Nam, Sang Sik
    •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
    • v.67 no.3
    • /
    • pp.172-179
    • /
    • 2022
  • Sweet potato varieties with high fiber content in the storage root have poor texture when steamed or roasted. This study investigates the difference in fiber content among sweet potato varieties by soil and climate. The average fiber content of 'Hogammi', 'Sodammi', 'Pungwonmi', 'Danjami', and 'Jinyulmi' cultivars from the samples collected at farms in Haenam, Muan, and Unbong, Korea were 95.71, 66.73, 44.55, 40.55, and 38.53 mg/100g FW, respective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ite-specific conditions and varieties. Based on the degree of visual fibrousness, 'Hogammi' has an average of 3.6-4.0 with many thick stringy fibers. The fiber content of the 'Hogammi' cultivar was measured across 19 sites representing the main sweet potato growing regions of Korea. The fiber content was between 115.82 and 114.6 mg/100g in Haenam 2 and Boryeong 1, and 87.46 mg/100g in Hamyang. However, the fiber content at the remaining 16 sites was within the range of 94.63-108.52 mg/100g, although there were some site-level differences. The fiber content of the sweet potato storage root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soil phosphorus (R2 = 0.58**), organic matter (R2 = 0.52*), and pH (R2 = 0.51*), which had a significance of 1% and 5%. The fiber content of sweet potato storage roots was found to have increased with increasing phosphorus content, organic matter and pH in the soil. However, there was no correlation with the amount of precipitation, days of precipitation and hours of sunshine with the fiber content of sweet potato at the selected sites.

Monitoring of Soil Pollutant Loadings in Greenhouse and Conventional Farming Practices (시설재배지와 관행재배 지역의 토양 내 오염부하 모니터링)

  • Hong, Eun-Mi;Choi, Jin-Yong;Yoo, Seung-Hwan;Kang, Moon-Seong;Jang, Jeong-Ryeo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448-448
    • /
    • 2012
  • 농경지의 잔류비료나 농약 등의 비점오염원은 강수 또는 관개를 함에 따라 지표 및 지하 유출과 함께 거동함으로써 토양 내에 집적됨과 동시에 지하수 수질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히, 최근 고부가가치 농산물 수요의 증가로 전국적으로 확대되고 있는 시설재배의 경우 노지재배와는 상이한 유출 및 침투 특성을 가지고 있음과 동시에 과다시비로 인한 오염원의 토양 내 집적이 심각한 수준이나, 이에 대한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설재배지와 관행재배 지역의 토양 내 비점오염원 오염부하량을 평가하고 지하침투 과정을 평가하기 위하여 시설재배지와 관행재배지의 비교 평가가 가능한 포장 및 광역단위 시험포장을 연구대상지역으로 선정하였다. 모니터링 대상지역에서 토양수, 토양수분, 관개량, 기상조건 등을 측정하기 위한 장비를 설치하여 비점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하였고, 한달에 두 번 모니터링을 통하여 자료 수집 체계를 확립하였다. 시설재배지 및 관행재배지 토양 및 토양수 수질 분석 결과, 시설재배지 내 영양물질 농도가 관행재배지와 비교하여 전반적으로 높았으며, 특히, 하부토층으로 내려갈수록 영양물질의 농도 및 편차가 크게 나타났다. 향후 본 시험포장에서의 지속적인 모니터링 및 샘플링을 통하여 시설재배지 토양내 비점오염원의 침투 과정을 분석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지하침투 영향 및 오염부하량 모델링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Characteristics of Nutritional Components in Astringent Persimmons according to Growing Region and Cultivar (떫은감의 재배지역과 품종에 따른 영양성분 특성)

  • Bian, Lin-Lin;You, Su-Yeon;Park, Jeongjin;Yang, Soo Jin;Chung, Hyun-J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44 no.3
    • /
    • pp.379-385
    • /
    • 2015
  • The nutritional components of astringent persimmons according to growing region (five different regions) and cultivar (Daebong and Bansi) were analyzed. The analyzed nutritional components were proximate compositions, insoluble and soluble dietary fibers, vitamin C, carotenes (${\beta}$-carotene and lycopene), free sugars (glucose, fructose, and sucrose), sugar alcohols (xylitol, sorbitol, and mannitol), minerals (Na, Mg, K, Ca, Mn, Fe, and Zn), organic acids (tartaric acid, malic acid, citric acid, and succinic acid), tannic acid, total phenolic compounds, and flavonoids. Daebong and Bansi, which are representative cultivars of astringent persimmons grown in Korea, exhibit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nutritional components. Insoluble dietary fibers, ${\beta}$-carotene, fructose, sucrose, mannitol, potassium, malic acid, succinic acid, and total phenolic compounds were present at higher levels in Daebong as compared to Bansi. On the other hand, Bansi was rich in moisture, crude protein, vitamin C, Ca, Mn, tartaric acid, and flavonoids. Nutritional components were highly influenced by growing region. Daebong grown in region A was greater in ${\beta}$-carotene, sorbitol, mannitol, zinc, and total phenolic compounds among the all other tested persimmons grown in five different regions. The crude protein, Na, Ca, Mn, tartaric acid, and flavonoids were highest in Bansi grown in E regi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eongyang pepper (Capsicum annuum L.) according to Cultivation Region (재배지역별 청양고추의 품질 특성)

  • Hwang, In-Guk;Kim, Ha-Yun;Lee, Jun-Soo;Kim, Haeng-Ran;Cho, Myeoung-Cheoul;Ko, In-Bae;Yoo, Seon-Mi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40 no.9
    • /
    • pp.1340-1346
    • /
    • 201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proximate composition, mineral content, pH, acidity, color, ASTA value, free sugar content, and capsaicinoid level of Cheongyang pepper (Capscium annuum L.) cultivated in 13 different regions. For proximate composition of Cheongyang pepper, protein, lipid, and ash contents showed wide ranges of 12.74~19.98%, 4.54~7.17%, and 6.07~9.81%, respectively. Calcium, magnesium, iron, sodium, and potassium are major minerals found in Cheongyang pepper. Further, pH, total acidity, a value, and ASTA value showed wide ranges of 4.86~5.26, 2.10~4.25%, 28.89~37.12, and 76.54~139.57, respectively. Free sugars were fructose (8.55~17.06%) and glucose (3.25~10.47%), but sucrose and maltose were not detected. Capsaicin and dihydrocapsaicin contents were in the range of 100.27 to 261.54 mg% and 51.01 to 84.58 mg%, respectively. Capsaicinoid contents were above 200 mg% for the 11 cultivation regions. According to our results, Cheongyang pepper may be affected by environmental conditions such as different cultivation region more than genotype.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Ligusricum chuanxing Hort. according to Cultivation Environment (재배지 환경에 따른 토천궁의 생육특성)

  • Hong Woo Park;Ki Yoon Kim;Dae Hui Jeong;Hyun-Jun Kim;Chung Ryul Jung;Yurry Um;Kwon Seok Jeon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0.08a
    • /
    • pp.98-98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약재로 사용되는 천궁 중 토천궁(Ligusricum chuanxing Hort.)에 대한 지역별 생육환경을 확인하고 이에 따른 지상부 및 지하부 생장과의 상관관계를 규명하여 토천궁의 적정 재배지역 확인 및 지속 가능한 안정적인 한약재 생산에 대한 기초자료로 사용함에 있다. 토천궁이 주로 재배되고 있는 봉화군, 영양군, 평창군과 더불어 기후변화에 의한 재배지 이동을 고려하여 고위도 지역인 인제군을 포함한 4지역의 재배지를 선정하였으며, 생육특성을 비롯 기상 및 토양환경을 분석하여 토천궁의 생육특성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4지역의 재배지 중 지상부와 지하부의 전체적인 생육은 평창지역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확인되었다. 그리고 생육특성과 기상환경과의 상관관계에서 대기 및 토양온도가 지상부의 전체높이, 줄기직경, 지하부의 생육특성과 P < 0.01수준에서 유의적인 음의 상관관계, 잎의 길이 및 너비와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일사량이 높아질수록 잎의 크기를 제외한 생육특성이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는데 이는 대기 및 온도의 상승으로 인한 잎의 증발산율 상승과 일사량에 따른 잎의 광합성량의 차이에 의한 결과라 사료된다. 또한 토양특성과의 상관관계에서 OM과 N, P, K는 지상부의 전체 높이와 줄기 직경을 비롯한 지하부의 생육특성과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는데 근권의 토양시료를 사용하여 분석한 것이라 실질적으로 토천궁의 생육에 필요한 토양의 성분이 OM과 N, P, K이며, 토천궁에 의해 흡수되었다고 판단되는데 생육이 가장 우수했던 평창지역 토양 내 OM(1.69%)과 N(0.09%), P(897.72mg/kg), K(0.21cmol+/kg)의 수치가 타 지역 대비 상대적으로 낮게 측정된 결과가 본 실험에서 확인된 생육에 대한 OM, N, P, K의 함량과 부의 상관관계를 지지하며,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토천궁의 재배지 선정 및 재배기술 정립에 활용할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