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재배면적

검색결과 1,046건 처리시간 0.04초

작부체계(作付體系) 개선(改善)에 관(關)한 조사연구(調査硏究)(I) (Studies on the Improvement of the Cropping System (I))

  • 최창열
    • 농업과학연구
    • /
    • 제10권1호
    • /
    • pp.61-73
    • /
    • 1983
  • 경지(耕地)의 이용율(利用率)을 높이면서 식량작물(食糧作物)의 증산(增産)을 위하여 현행작부체계(現行作付體系)를 개선(改善)할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얻고자 충남지방(忠南地方)을 도시근교(都市近郊)(대덕(大德) 천원군(天原郡)), 평야지역(平野地域)(논산(論山) 당률군(唐律郡)), 해안지역(海岸地域)(서산(瑞山) 보령군(保寧郡)), 및 산간지역(山間地域)(공주(公州) 청양군(靑陽郡))으로 구분(區分)하여 각(各) 지역별(地域別)로 10호(戶)의 농가(農家)를 선정(選定) 계(計)400호(戶)의 농가(農家)에 대(對)하여 1982년(年)에 재배(栽培)한 전답(田沓)의 작부양식(作付樣式)과 그 이용(利用) 상황(狀況)을 조사분석(調査分析)하였는데 그 결과(結果)를 다음과 같이 요약(要約)한다. 1) 밭의 평균이용율(平均利用率)은 161.9%이었는데 평야지역(平野地域)은 188.9%로 그 이용율(利用率)이 가장 높았고 도시근교(都市近郊)는 152.0%로 가장 낮았다. 2) 밭에서 재배(栽培)된 작목수(作目數)는 32종(種)이었는데 밭의 총식부면적중(總植付面積中) 콩의 재배면적(栽培面積) 비율(比率)이 18.8%로서 가장 높았고 다음은 보리가 15.4%, 고추는 13.1% 그리고 배추가 10.1% 등이었으나 도시근교(都市近郊)에서는 고추, 평야지역(平野地域)과 해안지역(海岸地域)에서는 콩, 산간지역(山間地域)에서는 보리의 재배면적비율(栽培面積比率)이 가장 높았다. 3) 논의 평균이용율(平均利用率)은 115.6%이었는데 도시근교(都市近郊)는 140.0%로 그 이용율(利用率)이 가장 높았고 해안지역(海岸地域)은 108.2%로서 가장 낮았다. 4) 논에서 재배(栽培)된 작목수(作目數)는 12종(種)이었는데 수도(水稻)를 제외(除外)하면 보리의 재배면적(栽培面積)이 가장 넓어서 총식부면적(總植付面積)의 5.0%를 차지하고 있으며 다음은 딸기가 4.0%이었으나 도시근교(都市近郊)에서는 딸기, 기타지역(其他地域)에서는 보리의 재배면적(栽培面積)이 가장 넓었다. 5) 밭의 작부유형(作付類型)은 1년(年)1작형(作型)과 1년(年)2작형(作型)으로 나타났는데 1년(年)2작형(作型)은 다시 작물간(作物間)의 조합(組合)에 따라서 38형(型)으로 분류(分類)되며 기중(其中) 대맥(大麥)+대두형(大豆型)의 재배면적(栽培面積)은 1년(年)2작면적(作面積)의 35.0%를 차지하고 있으나 도시근교(都市近郊)에서는 이 형(型)의 재배면적(栽培面積)이 좁은 반면(反面) 채소류간(菜蔬類間)의 조합면적(組合面積)이 넓었다. 6) 논의 1년(年)2작형(作型)은 다시 6개형(個型)으로 나뉘는데 수도(水稻)+맥류형(麥類型)의 재배면적(栽培面積)이 1년(年)2작면적(作面積)의 42.8%로 가장 높은 비율(比率)을 차지하고 있으나 도시근교(都市近郊)에서는 이 형(型)의 재배면적(栽培面積)이 좁고 수도(水稻)+과채류(果菜類)의 재배면적(栽培面積)이 가장 넓었다. 한편 답이작면적(沓裏作面積)은 1년(年)2작면적(作面積)의 76.3%로서 답전작면적(沓前作面積)보다 현저히 넓었다. 7) 밭의 작부조합(作付組合)에 있어서는 동과(同科) 또는 근록작물(近綠作物)로서 윤작특성(輪作特性)이 근사(近似)한 작물간(作物間)의 불합리(不合理)한 재배조합면적(栽培組合面積)이 19.09ha에 달(達)했다. 8) 밭에서의 식량작물(食糧作物) 재배면적(栽培面積)은 88.92ha인데 반(反)하여 채소류(菜蔬類)는 93.70ha, 그러고 공운작물(工芸作物)이 21.80ha로서 식량작물(食糧作物)의 재배면적(栽培面積)이 채소류(菜蔬類)의 재배면적(栽培面積)보다 좁았다. 9) 1910년(年)부터 1980년(年)까지 연구보고(硏究報告)된 보문중(報文中) 1134건(件)을 분석(分析)한 결과(結果) 우리나라에서의 작부(作付) 체계(體系)에 관(關)한 연구(硏究)는 답이작중심(沓裏作中心)으로 이루어졌고 연구(硏究) 목적(目的)은 14개(個)로 분류(分類)할수 있었는데 파종기(播種期), 파종량(播種量), 시비량(施肥量), 이식기(移植期), 작휴법(作畦法), 파종방법(播種方法) 및 품종선발(品種選拔) 시험(試驗) 등이 대부분(大部分)이었다.

  • PDF

가지 격리상재배시 급액량이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mount of Nutrient Solution Supply on the Growth and Yield in Isolated Bed Culture of Eggplant)

  • 김주;장익;최동칠;정종성;김치선;최정식;최영근;배종향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03년도 춘계 학술대회 논문집
    • /
    • pp.98-103
    • /
    • 2003
  • 우리나라의 가지 재배면적은 1970년 2,815ha이었던 것이 그 후 점차 줄어들어 2001년은 866ha가 재배되고 있고, 시설재배면적은 1970년 27ha로 전체면적의 1%도 채 안되는 매우 적은 면적이었으나 2001년에는 전체면적의 33%에 가까운 284ha가 재배되고 있다. 연간 총생산량으로 보면 1970년에 비하여 큰 차이가 없다. 이는 노지재배의 10a당 수량이 적을 때는 892kg 많을 때는 2,782kg 이나 시설재배의 10a당 수량은 1,617-4,294kg으로 노지재배에 비해 시설재배의 수량이 많기 때문이다(M.A.F. 2001). (중략)

  • PDF

아열대 작물의 국내 재배동향 및 주산지 분석 (Analysis on the Cultivation Trends and Main Producing Areas of Subtropical Crops in Korea)

  • 정우석;김성섭;채용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2호
    • /
    • pp.524-535
    • /
    • 2020
  • 본 연구는 국내 아열대 작물의 재배동향을 분석하여 주산지를 도출하고, 정책지원 및 후속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 분석결과, 망고를 제외한 나머지 아열대 작물의 재배면적은 정체 또는 감소세를 보였다. 망고와 용과의 주산지는 제주도, 파파야는 경상남도, 강황은 전라남도에 재배면적이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구아바와 여주는 재배면적과 농가수가 미미하여 주산지의 정의가 어렵고, 아열대 채소인 여주와 강황은 상위 재배면적을 차지한 시군의 분포가 넓은 것으로 나타났다. 모든 작물에서 상위 10개 지역의 재배면적 비중이 높게 나타났으나, 상위 10위권을 매년 유지한 지역은 절반에 그쳤다. 이는 아열대 작물의 도입과 포기, 재배면적의 확대와 축소가 빈번함을 의미한다. 아열대 작물의 보급과 확대는 향후 기후변화에 대한 농업 부문의 선제대응과 농가 신소득 창출의 측면에서 당위성을 가진다. 정부와 농촌진흥기관은 상위 재배면적이 유지되는 지역을 중심으로 재배기술을 정립하고, 재배면적이 축소되는 지역의 기술적 원인을 규명할 필요가 있다. 또한 농가경영 컨설팅을 위한 기초자료의 구축, 지역별 생육 여건을 고려한 맞춤형 재배기술 개발에 연구지원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일조부족이 백침계 오이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ow Light Intensity on the Growth and Yield in Cucumber.)

  • 성기철;이상규;강용구;김광용;이재욱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02년도 추계 심포지엄 및 학술발표 논문집
    • /
    • pp.270-273
    • /
    • 2002
  • 우리나라의 오이 수출은 1985년을 시작으로 2.5톤의 신선오이가 일본에 수출되었으며, 이후 재배면적과 수출량이 계속 증가되어 2001년 재배면적은 146ha에 이르렀고 수출량 8.2톤, 수출금액 11,465천불로 2000년 대비 각각 42%, 16%가 증가하였다. 수출오이의 이러한 증가 추세는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전망되며 일본의 재배면적 및 생산량 감소로 연간 10,000톤 내외는 지속적으로 수출이 가능할 것으로 추정된다. (중략)

  • PDF

부추재배 기계화에 관한 연구 (Study on Mechanization of Chinese Leek Production)

  • 전현종;홍종태;최용;김영근;한길수
    • 한국농업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업기계학회 2002년도 하계 학술대회 논문집
    • /
    • pp.102-107
    • /
    • 2002
  • 최근 국민의 식생활이 향상되면서 신선채소류의 수요가 날로 증대되어 국내 부추의 재배 면적도 '92년 199㏊, '94년 729㏊ '99년 1,073㏊로 꾸준히 재배면적이 증가되고 있으며, 부추의 재배면적 확대와 집중출하 등으로 인한 가격의 등락이 심한 편이어서 부추생산의 안정적 기반을 위해서는 기계화를 통한 생산비 절감, 출하시기 및 출하량 조절을 통해 가격의 안정을 도모해야 한다. (중략)

  • PDF

벼도열병에 대한 품종의 지속저항성 발현요인에 관한 연구 1. 벼도열병에 대한 지속저항성 품종 개발 (Factors Affecting the Expression of Durable Resistance of Rice Cultivars to Blast Caused by Pyricularia grisea Sacc. 1. Selection of Durably Resistant Cultivars for Rice Blast)

  • 라동수;오정행;류재당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231-236
    • /
    • 1996
  • 한국에서 재배되고 있는 벼 품종의 도열별에 대한 지속저항성 품종을 조기에 선발, 보급할 수 있는 방법을 보색하기 위하여 1985년부터 1994년까지 온실 유묘검정, 밭못자리 및 포장검정을 통하여 저항성 정도를 평가하고 재배면적과 재배기간을 참고로 하여 지속저항성 품종을 선발하였다. 도열병에 대한 저항성 품종으로는 다양한 레이스에 침해되면서 개체당 병반수 20개 이내, 밭못자리검정에서는 평균 발병정도 5이하, 본답에서의 잎도열병은 병반면적율 0.5%이하, 이삭도열병 발생은 이병수율 5% 이내로 병발생이 비교적 적은 섬진벼, 팔공벼 및 동진벼를 선발하였고, 지속저항성 품종으로는 재배기간이 10년 이상 유지되면서 재배면적은 전체재배 면적의 2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품종 중 장기간 동안 저항성을 발현하는 동진벼를 선발하였다.

  • PDF

지역별 재배규모별로 본 재래종 옥수수의 특성조사(II) (II. Kernel Characters of Korean Indigenous Corn Lines (Zea maize L.) in Respect of Geographical and Cultural Magnitude)

  • 최봉호;이인섭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33-140
    • /
    • 1978
  • 현재 농민들에 의해 전국적으로 재배되고 있는 재래종 옥수수를 가지고 양질 다수성인 옥수수 품종육성을 위한 육종재료로 이용하기에 앞서 전국의 109영군에서 수집된 907재 옥수수 이삭의 입에 대한 형태를 조사하고 또 이들 형태가 재배규모(재배면적과 103당 생산량)와는 어떤 연관성이 있는가를 알기 위해 조사분석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옥수수의 재배규모에 따라 우리나라의 옥수수 재배는 강원도와 기타지역으로 이대 구분되며 강원도의 옥수수 재배면적은 전면적의 평균 27%인데 반하여 기타 지역은 5% 미만에 지나지 않았다. 2. 재배면적률이 높은 지역과 낮은 지역에서의 10a당 생산량, 이삭의 무게, 이삭당 입중, 이삭의 크기 입의 연질성과 비중에 있어서 뚜렷한 차이가 있었다. 즉 옥수수가 많이 재배되는 곳에서의 이들 특성은 옥수수 재배면적률이 낮은 곳에서의 그것들 보다 훨씬 높은 수치를 가졌다. 3. 옥수수가 많이 재배되는 곳에서 조사한 특성들의 수치가 높았다는 것은 농민들의 재배기술이 보다 발달하였다기 보다는 옥수수를 보다 많이 재배함으로서 옥수수의 자식을 막고 가능한 한의 방임수분의 기회를 많이 주었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4. 조사한 특성들의 균일도에 있어서도 최소치와 최대치간에 차이가 컸고 특히 현재 장여되고 있는 황색 마치종에 비하여 균일도 뿐만 아니라 절대치에 있어서도 과반에 미치지 않았다. 5. 다만 입의 연질성에 있어서는 재래종들이 일반적으로 경질성이었는데 반하여 외래종은 연질성이라 할 수 있었다. 6. 입의 비중이 있어서는 재래종과 도입마치종이 비슷하였다. 7. 옥수수입의 크기에 있어서는 강원도지역의 옥수수는 다른 지역에서의 그것보다 평균 이배 가량 켰다. 8. 조사한 특성상호간의 관계를 지역적으로 나누어 본 결과 옥수수 재배면적과 10a당 수량은 옥수수가 많이 재배되는 곳에서는 r=0.85로 높았으나 옥수수의 재배가 그리 많지 않았던 지역에서는 이 두 변이간에 상관계수가 0.5이하였다. 이와 같은 경향은 특성들의 옥수수 재배면적에 대한 상대적 기여도에서도 확인되었다. 9. 10a당 수량과 이삭의 무게에 있어서 옥수수 재배가 많은 곳(강원도)에서는 낮은 상관을 보였으나 재배가 낮은 곳(E지역)에서는 r=0.7로 높았다. 상대적 기여도에 의해서도 동일한 결과를 얻었다. 10. 기타 입의 크기는 다른 모든 특성과 높은 정의 상관을 보였다. 11. 입의 크기가 재배면적이나 10a당 생산량에 미치는 상대적 기여도도 다른 특성에 비해서 훨씬 컸고 지역에 따라 정도에 차이가 있었다.

  • PDF

중국의 쌀 생산, 유통 및 이용 현황 (Rice Production, Distribution and Utilization in China)

  • Xiyuan, Liao
    • 식품저장과 가공산업
    • /
    • 제1권1호
    • /
    • pp.5-16
    • /
    • 2002
  • 쌀은 중국에서 중요한 식량작물로 제9차 5개년 계획(1966-2000년) 동안 재배면적 31.4백만 ha이며 생산량은 단위 ha당 6,303kg으로 198백만톤에 이르며 이는 재배면적으로는 식량작물의 $27.7\%$, 그리고 생산량으로는 전체식량작물의 $40\%$를 각각 점하고 있다. 이러한 재배면적과 생산량은 각각 세계전체 면적과 생산량의 $20.7\%$$33.7\%$를 차지하는 많은 량이다. 중국의 남부지역은 전지역의 $73.5\%$가 이모작으로 재배되며 주품종은 Indica이다. 중국의 중부지역은 이모작과 일모작의 재배형태가 2:3으로 공존하고 있으며 양쯔강 이북은 주로 일모작의 형태이다. 중국의 쌀 재배면적은 1960년대 이후 점차 증가하다가 1980년대 후반부터 정체되었다가 최근 90년대 말에 이르러서는 재배면적의 감소가 가속화되고 있으나 단보당 생산량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2001년 중국의 쌀 소비량은 138백만톤으로 이의 $85.2\%$는 식량용으로, $5.8\%$는 사료용으로, $1.3\%$는 가공용, $1.5-2.0\%$는 수출용으로 그리고 $1.2\%$는 종자용으로 소비되었다. WTO체제에 들어서도 중국의 쌀 생산에는 크게 영향을 받지 않을 것으로 여겨지는데 그 이유로는 충분한 생산능력과 자급률, 쌀의 낮은($4\%$) 국제교역비율, 총생산량에 대한 낮은 쿼터비율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WTO체제 가입에 따른 압력 또한 존재하는 것이 사실인데 그것은 낮은 품질, 국제가격보다 높은 국내가격 등을 들 수 있다. 향후 중국 쌀의 발전적 전략들로는 쌀의 안정적 발전을 지속하는 일, 쌀 재배구조 조정과 함께 높은 미질을 가지는 품종육종, 기계화를 비롯한 경작기술의 발달, 쌀과 부산물 가공기술의 개발연구, 특정기능을 함유하는 유전공학적 기술의 적용, 토지와 도시화 그리고 식량순환에 시스템의 개혁 등 과학기술을 고양하는 일 등을 들 수 있다.

  • PDF

친환경농업 - 녹비작물 헤어리베치의 다양한 파종기술

  • 전원태
    • 농업기술회보
    • /
    • 제49권6호
    • /
    • pp.34-34
    • /
    • 2012
  • 녹비작물은 화학비료를 대 체하여 친환경 농산물 생산이 가능한 식물자원이다. 최근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수요가 많아지면서 녹비작물의 재배면적 또한 증가하고 있다. 국립식량과학원에서는 녹비작물 헤어리베치의 재배면적을 확대하고자 다양한 파종방법을 개발하였다.

  • PDF

(3)중국의 대두 재배 현황

  • 이부용
    • 식품기술
    • /
    • 제14권3호
    • /
    • pp.56-60
    • /
    • 2001
  • 중국은 대두의 원산지로서 기록에 의한 3000여년의 재배 역사를 가지고 있으나, 실제적인 재배 역사는 4000~5000년에 이른다. 기원전 5세기 전에 한국으로 전해지고 세계 각국에 전해졌다.대두는 고지방, 고영양 작물로서 인류가 섭취하는 주요 단백질원이다. 세계 각 국은사회 발전과 인류의 영양에 대한 요구에 따라 대두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따라서 급속한 재배 면적 증가 속도로 1999년 세계 대두 재배 면적은 7205.2만 $hm^2 , 총생산량은 15774.4만톤, 단위 면적당 생산량은 2189.3kg/$hm^2이며 농산물 교역량 중 우위를 차지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