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재난 시 서비스

Search Result 163,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Development of Urban Regeneration Data Platform for Sharing Disaster Data (재난재해 데이터 공유를 위한 도시재생 데이터 플랫폼 개발)

  • Shin, Yonghyeon;Lee, Sangmin;Yang, Do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480-480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도시재생지역의 재난재해 위험성 및 회복성 분석과 현황 분석을 위한 기초 데이터의 관리와 활용성 증대를 목적으로 데이터를 등록하고 다운로드 할 수 있는 공유 플랫폼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도시재생 데이터 플랫폼은 재난재해, 지역현황, 문서 항목으로 구분하여 도시재생 정보를 서비스한다. 재난재해 항목은 폭우, 폭설, 폭염, 강풍, 지진 5개 자연재해 유형과 이로 인해 추가 피해가 발생할 수 있는 화재, 붕괴, 폭발 사회재난 3개 유형으로 구성되어있으며, 총8 종류의 재난재해 유형에 대한 위험성과 회복성 분석 DB를 제공한다. 지역현황 정보에서는 유휴공간 및 지역자산정보 등 도시재생 현황분석에 필요한 행정(통계)데이터, 시설물정보 등을 제공한다. 아울러 본 연구를 통해 산출되는 논문 및 보고서 등을 문서 항목에서 서비스한다. 데이터셋 등록 시, 시스템에 설정된 재난재해 유형, 시설물 등을 선택해 카테고리를 분류하고, 이력관리를 목적으로 데이터명과 생산년월 등에 대한 필수항목을 입력해야만 등록이 가능하도록 설정하였다. 또한 GIS 기반 공간자료 등록 시에는 가시화 서비스를 위하여 공간자료의 포맷과 좌표체계, 생산년월, 생산기관 등을 필수 입력하도록 하였으며, GIS tool을 활용한 자료 분석에 어려움이 없도록 하였다. 쇠퇴지역의 재난재해 대비/대응을 위한 도시재생 데이터 플랫폼은 금년 시범운영 후, 차년에는 클라우드 서비스 기능을 탑재해 계정 권한과 장소에 제약을 받지 않고 도시재생 업무를 수행하는 모든 사용자가 재난재해 정보를 비롯한 도시재생 관련 정보를 수집·활용할 수 있는 데이터 공유의 장을 구현함으로써 도시재생지역의 효과적인 재난재해 대비/대응 체계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 PDF

Design of Indoor Disaster Prevention System Based on Ontology using BLE (Ontology 기반 BLE를 이용한 실내 재난방재 시스템 설계)

  • Lee, Jae-Pil;Lee, Jae-Gwang;Mo, Eun-su;Lee, Jun-hyeon;Lee, Jae-Kw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5.04a
    • /
    • pp.199-202
    • /
    • 2015
  • 본 논문은 재난 방재 시 실내의 지하시설, 음영지역의 재난 상황 정보에 대하여 원활한 서비스 제공에 대해 제안 하였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가 공유하는 자연재해 발생 정보를 자동적으로 감지하고, 수집된 정보를 분석하여 FOAF 기반으로 소셜 네트워크와의 관계 및 특성을 이끌어내어 연계가 용이하도록 온톨로지 추론을 설계하였다. 또한 사용자의 분석된 정보에 따라 기관 및 개인에게 정보를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의 설계를 제시하여, 재난 방재 시 BLE 센서를 이용한 재난재해 정보를 재난환경 주변의 사람들에게 실시간으로 알려주는 시스템을 제시하였다.

Development of an Application for Life Safety Continuity Method based on National Point Numbers and NFC (국가지점번호와 NFC 기반의 생활안전 연속성 지원을 위한 APP 개발)

  • Cheung, Chong-Soo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5 no.2
    • /
    • pp.282-291
    • /
    • 2019
  • Purpose: In recent, mobile technology, as an axis of the fourth industry paradigm, is evolving into our daily life, economic activities and disaster safety management. However, since the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is insufficient, it is difficult to response the emergency situation adequately in the golden tim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method to fine precisely the location of people who are in need of an emergency in the event of accidents and disasters. Method: This study investigates and compares existing literature and safety apps for national index number NFC application development. In addition, the system structure and the design method through the element technology through analysis of necessary function of the demander were carried out.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developed as a design and system that can be implemented in both direction and function to inform the location for emergency situation or disaster reporting in mobile. Conclu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disaster safety location service which can be utilized by the citizens in case of crisis by unifying the address system and integra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using NFC.

A Study on Improvement of the against Large-scale Disasters of the Municipal Police System (자치경찰제도 도입에 따른 대형 재난 대응 실태 및 개선방안)

  • Shin, Jae-Hun;Lee, Jae-M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327-330
    • /
    • 2022
  • 이 연구는 자치경찰제도 도입에 따른 재난대응 실태를 살펴보고 개선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의 연구로서 연구의 완성을 위하여 경찰의 재난대응 매뉴얼과 관련 통계자료, 법령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개선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자치경찰제도가 도입됨에 따라 기존의 범죄예방 및 기타 치안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많은 변화가 발생하였다. 자치경찰제도는 기존의 중앙통제식 경찰제도에서 벗어나 각 지역의 실정에 맞도록 경찰을 운용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자치경찰제도 도입에 따라 많은 기대와 우려가 공존하고 있는 상황에서 자치경찰제도의 취약점이라고 볼 수 있는 대규모 인력이 동원 상황 발생 시 대응에 대하여 여전히 의문을 가지고 있다. 그 중 대형 대난 발생 시 자치경찰의 역할이 대하여 살펴본 결과, 현재 경찰이 대형재난 발생 시 대형재난 현장에서 2차 피해 예방을 위한 현장 통제 및 추가적인 재난 피해 예방, 요구호자 구조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그러나, 자치경찰의 경우 대규모 재난에 대응하기가 쉽지 않은 탓에 대형재난에 취약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이 연구에서는 대형 재난 발생 시 기본적인 경찰의 재난 현장 통제 및 2차 피해 예방활동과 함께 인근 지역 자치경찰과 협동 재난 대응 활동 및 컨트롤 타워 등 제안과 같은 방안을 제안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wake-up T-DMB emergency broadcasting service (자동인지 T-DMB 재난방송 서비스)

  • Lee, Yong-Tae;Park, So-Ra;Lee, Yong-Hoon;Lim, Bo-Mi;Paek, Myung-Sun;Lim, Hyung Soo;Kim, G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2.07a
    • /
    • pp.142-144
    • /
    • 2012
  • T-DMB는 개인용, 휴대용, 이동형의 디지털방송매체로서의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최근들어 수신기 보급 증가로 새로운 재난방송 매체로 부상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T-DMB 기반 재난방송 기술은 T-DMB를 시청하고 있어야만 재난정보 수신이 가능하다는 한계를 갖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기존 T-DMB를 시청해야만 재난정보 수신이 가능한 기존 T-DMB 재난방송 서비스의 한계를 뛰어 넘어 재난발생시 수신기가 자동으로 재난방송신호를 인지하여 T-DMB를 시청하지 않더라도 재난정보를 제공하고 평상시 지역정보, 날씨 등 공공서비스 정보를 제공하는 T-DMB 재난방송 서비스 기술을 소개한다.

  • PDF

A Study on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of the Interface of Indoor Alarm Broadcasting System (옥내경보방송시스템 연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연구)

  • Lee, Seung-Hyung;Ahn, Byung-Dug;Lee, Won-Seok;Min, Se-H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8.06a
    • /
    • pp.285-287
    • /
    • 2018
  •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지진이 발생하는 등 각종 재난의 발생 빈도가 증가하고 있어 이에 대비하는 사회적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특히, 재난발생 시 일반 대중들에 전달되는 경보와 방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국내 재난경보방송시스템은 오랜 역사를 거쳐 정부와 지자체가 관심을 가지고 구축해 왔으며, 인구가 밀집되어 있는 장소나 여름철 집중호우가 예상되는 유원지 등에 집중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옥외를 중심으로 경보방송을 서비스하고 있었으나 건물 내부에는 경보나 방송이 전달되지 못하여 재난발생 시 대규모 피해가 예측되므로 옥내경보방송 서비스의 필요성이 중요하게 인식되었고 최근에는 지자체 별로 활발하게 시스템 설치가 진행되고 있다. 옥내경보방송은 구내방송시설인 전관방송시스템과 연계되어 서비스하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본 저자도 이에 동의하는 바이다. 그러나 전관방송시스템은 오랜 동안 이와 같은 필요성이 없는 상태에서 구축되어 왔고 제조사 별로 외부장비의 연계 방식에 대하나 규격이 다르게 발전해 왔다. 따라서 옥내경보방송장치와 전관방송시스템을 연계하기 위해서는 장비의 제어와, 오디오 인터페이스(interface)가 필수적 요소이므로 이를 반드시 연계하여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옥내경보방송장치와 전관방송시스템들의 인터페이스를 위해 문제점들을 분석하고 이들의 개선방안에 대해 연구한다. 또한 연계 규격의 표준화에 대한 필요성을 강조하여 각 제조사들이 연계 규격을 준수하고 보다 많은 국민들이 재난경보방송 서비스를 누릴 수 있도록 제언한다.

  • PDF

광대역통합망(BcN) 구축 추진에 따른 비상통신 기능고도화 방안

  • 김성연;김상완;전덕중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1 no.8
    • /
    • pp.129-143
    • /
    • 2004
  • 재난은 다양한 원인에 의하여 예측 불가능하게 발생되고 있다. 정보화의 진전에 따라 네트워크는 모든 경제활동의 근간이 되어 있으며, 재난이 발생하면 재난복구 및 구난 활동 등에 통신기능의 활용도가 더욱 높아진다. 특히 통신 장애를 일으키는 통신재난이 발생하면 그 파급효과는 빠르고, 넓게 확산되는 경향을 보인다. 본 고에서는 표준단체에서 비상통신과 관련하여 표준화 활동을 수행하고 있는 동향을 살펴보고 비상통신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능요구사항 및 광대역통합망 구축 시 비상통신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고려해야 할 기능에 대해서 기술한다.

A Study on Optimized Emergency Alert Broadcasting Message based Terrestrial UHDTV for Disaster Vulnerable Populations (지상파 UHDTV 기반 취약계층 맞춤형 재난경보 방송메시지 확장 방안 연구)

  • Kim, Nayeon;Bae, Byung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9.06a
    • /
    • pp.127-128
    • /
    • 2019
  • 우리나라는 현재 지상파 UHDTV 재난경보 방송서비스에 관한 연구를 진행 중에 있다. 한편, 노인, 장애인 등 재난취약계층은 재난 발생 시 최초 상황의 인지와 대응에 어려움을 겪어 일반 대중과의 재난 대응 격차는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본 논문에서는 연구가 진행중인 지상파 UHDTV 재난경보 방송서비스를 기반으로 재난약자 그룹의 재난 상황 판단, 피난에 도움이 되는 맞춤형 미디어 전달이 가능한 재난메시지 확장 방안을 제안하며, 재난약자의 최적대피 및 대피형평성을 확보하기 위한 연구로 활용될 것을 기대한다.

  • PDF

A Study on the Status of Emergency Alert Message Service in Japan (일본 재난문자 서비스 현황 연구)

  • Jeong, Sang Gu;Jung, Woo-sug;Lee, Yong-T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20.07a
    • /
    • pp.229-231
    • /
    • 2020
  • 재난 상황 발생 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재난 발생에 대한 신속한 경보와 재난 상황에 대응할 수 있는 정보를 알리는 것이 중요한 요인이다. 이를 위해 여러 국가에서는 음성, 영상, 문자 등 다양한 형태로 재난 상황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는 기술에 대해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이러한 기술 중 휴대전화의 문자전송 기능을 기반으로 재난 정보를 전달하는 기술은 스마트폰에 대한 보급률 증가와 기지국 기반 전송으로 재난 발생 범위에 대한 근접한 정보 제공 기능을 갖춘 대표적인 재난 정보전달 기술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재난문자 서비스에 대한 일본 현황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기술적으로 고도화되어야 할 방향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 PDF

재난통신용 주파수 후보대역과 효율적 활용방안

  • Lee, Sang-Yun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1 no.10
    • /
    • pp.19-24
    • /
    • 2014
  • 광대역 기술을 적용한 재난통신망 구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이에 필요한 주파수 자원 확보에 관해서도 활발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미국, 유럽 등 주요국을 중심으로 LTE를 이용한 광대역 시스템용 주파수가 분배가 논의되고 있고, 국제 조화 주파수 대역을 결정하는 ITU-R에서도 광대역 PPDR 주파수 대역 분배를 논의 중에 있다. 재난통신용 주파수 대역 선정을 위해서는 재난통신용도의 활용 적합성이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하고, 경제적 망 구축 가능성, 국제적 조화 주파수 여부, 적기 활용 가능성 등이 검토되어야 한다. 이러한 사항을 고려할 때 국내에서 활용 가능한 대역으로는 700MHz 대역이 가장 적합한 후보대역으로 판단된다. 주파수 활용이 평시, 재난시에 따라 크게 변하는 재난통신용 트래픽 특성을 고려할 때 평시의 효율적 주파수 활용방안 강구가 필수적이다. 이에 따라 철도, 연안선박 광대역 서비스 등과 연계하여 재난통신망 주파수의 이용 효율성을 증대할 뿐만 아니라 공공 사물인터넷 등 다양한 공공용 서비스 개발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