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재난 관리

Search Result 1,842,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A Study for Enhancing Disaster Operations Management at Seoul Emergency Operations Center - Focused on the Education and Training for Firefighters of Seoul (서울종합방재센터 상황실 재난상황관리능력 제고 방안 - 서울특별시 소방공무원 교육훈련을 중심으로)

  • Park, Soonil;Park, Chanseok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4 no.4
    • /
    • pp.480-491
    • /
    • 2018
  • Purpose : This study aims to suggest social support composed of organizational support and managerial support would be systematically managed to enhance Disaster Operations Management at Seoul Emergency Operations Center. Method : Emotional labor was used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used as a dependent variable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Results : First, in the aspect of organizational support, the objective evaluation of disaster situation management, disaster situation management emotional labor reduction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 development, monitoring of disaster situation management, quality improvement and work imbalance mitigation of firefighters, and emergency coordination managers are needed for systematic work management for emotional labor settlement. Secondly, it is necessary to select competent firefighters in the level of managerial support, to prepare healing measures for structured phased emotional labor for firefighters, and to have counseling competency for managers for emotional labor firefighting officers. Conclusion : In order to improve disaster management ability,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to improve organizational commitment based on social support.

Study on Design Technology for Disaster Management System for Super Long Span Bridge (초장대교량의 재난관리시스템 설계기술에 관한 연구)

  • Yun, Jung-Hyun;Kim, Moon-Ok;Jang, Min-Hee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10.04a
    • /
    • pp.437-440
    • /
    • 2010
  • 연육 연도교에 주로 건설되는 초장대교량은 시설물 특성상 이용객들의 대피공간이 제약받고 태풍, 해일 등 자연재해에 노출이 많기 때문에 다른 공공시설물보다 재난에 취약한 구조물이다. 최근 공공시설물의 건설동향은 구조물이 장대화 되어가고 있어 재난 발생시 예상 위험이 점점 더 커지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외 장대교량의 재난사고와 재난관리 사례연구를 통해 초장대교량에서 관리되어야 할 재난을 정의하였다. 초장대교량의 재난은 자연재해와 인적재해로 구분할 수 있는데, 자연재해로는 안개, 강설, 결빙, 강풍, 지진, 해일이 있으며 인적재해로는 교통사고, 화재, 테러, 선박충돌, 구조물 파괴 및 재료열화가 있다. 또한 초장 대교량에서 발생 가능한 모든 사고의 잠재가능성을 분석하여 가상의 재난관리 시나리오를 작성하였다. 이 시나리오는 예방, 대비, 대응 및 복구로 구분되는 관리단계별 실행계획 수립에 기초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 PDF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the Disaster Safety Management System (통합적 재난안전관리체계 구축에 관한 연구)

  • Kang, Heau-Jo
    • Journal of Advanced Navigation Technology
    • /
    • v.14 no.2
    • /
    • pp.260-265
    • /
    • 2010
  • In this paper, we study of the disaster safety management system and find recognition comprehensions and the problem points which are basic in our system. We dedicate this research on improvement analysis and main discussion issues of the system that based on diagnostics in developed countries' system. By taking some essential points of advanced like systems, we construct our own system. Beside that it is proposed to solve problems and find improvement issues by comparing with advanced systems.

Development of a Comprehensive Model of Disaster Management in Korea Based on the Result of Response to Sampung Building Collapse (1995), - Disaster Law, and 98 Disaster Preparedness Plan of Seoul City - (우리나라 사고예방과 재난관리 모형 개발을 위한 연구)

  • Lee, In-Sook
    • Research in Community and Public Health Nursing
    • /
    • v.11 no.1
    • /
    • pp.289-316
    • /
    • 2000
  • 우리나라의 경우 지역사회 재난 관리계획과 훈련이 보건의료적 모형이라기 보다는 민방위 모형에 입각하기 때문에 사고 현장에서의 환자 중증도 분류, 합리적 환자배분 및 이송, 병원 응급실에서의 대처 등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으며, 지역사회가 이에 즉각적으로 반응할 수 없다. 본 연구는 삼풍 붕괴사고 시에 대응방식과 그 후의 우리나라 응급의료 체계를 분석함으로써 대형사고 예방과 재난관리를 위한 우리나라 응급의료체계의 개선방안과 간호교육에서의 준비부분을 제시하고자 한다. 1 삼풍 사고 발생시에는 이를 관장할 만한 법적 근거인 인위적 재해에 관한 재난관리법이 없었다. 따라서 현장에서는 의학적 명령체계를 확보하지 못했기 때문에 현장에서의 응급 처치는 전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현장에서의 중증도 분류. 응급조치와 의뢰, 병원과 현장본부 그리고 구급차간의 통신 체계 두절, 환자 운송 중 의료지시를 받을 수 있도록 인력, 장비, 통신 체계가 준비되지 못하였던 점이 주요한 문제였다. 또한 병원 응급실에서는 재난 계획이 없거나 있었더라도 이를 활성화하여 병원의 운영 체계를 변환해가지 못하였다. 2. 삼풍백화점 붕괴사고 한달 후에는 인위적 재해에 대한 재난관리법이 제정되고, 행정부 수준별로 매년 지역요구에 합당한 재난관리 계획을 세우도록 법으로 규정하였다. 재난 관리법에는 보건의료 측면에서의 현장대응, 주민 참여, 응급 의료적 대처, 정보의 배된. 교육/훈련 등이 포함되어 있어야 한다. 그러나 법적 기반이 마련된 이후에도 한국 재난 계획 내에는 응급의료 측면의 대응 영역은 부처간 역할의 명시가 미흡하며, 현장에서의 응급 대응과정을 수행할 수 있는 운영 지침이 없이 명목상 언급으로 그치고 있기 때문에 계획을 활성화시켜 지역사회에서 운영하기는 어렵다. 즉 이 내용 속에는 사고의 확인 /공고, 응급 사고 지령, 요구 평가, 사상자의 중증도 분류와 안정화, 사상자 수집, 현장 처치 생명보존과 내과 외과적 응급처치가 수반된 이송, 사고 후 정신적 스트레스 관리, 사고의 총괄적 평가 부분에 대한 인력간 부처간 역할과 업무가 분명히 제시되어 있지 못하여, 사고 발생시 가장 중요한 연계적 업무 처리나 부문간 협조를 하기 어렵다. 의료 기관과 응급실/중환자실, 시민 안전을 책임지고 있는 기관들과의 상호 협력의 연계는 부족하다. 즉 현재의 재난 대비 계획 속에는 부처별 분명한 업무 분장, 재난 상황에 따른 시나리오적 대비 계획과 이를 훈련할 틀을 확보하고 있지 못하다. 3. 지방 정부 수준의 재난 계획서에는 재난 발생시 보건의료에 관한 사항 전반을 공공 보건소가 핵심적 역할을 하며 재난 관리에 대처해야 된다고 규정하고 있다. 그러므로 보건소는 지역사회 중심의 재난 관리 계획을 구성하고 이를 운영하며, 재난 현장에서의 응급 치료 대응 과정은 구조/ 구명을 책임지고 있는 공공기관인 소방서와 지역의 응급의료병원에게 위임한다. 즉 지역사회 재난 관리 계획이 보건소 주도하에 관내 병원과 관련기관(소방서. 경찰서)이 협동하여 만들고 업무를 명확히 분담하여 연계방안을 만든다. 이는 재난관리 대처에 성공여부를 결정하는 주요 요인이다. 4 대한 적십자사의 지역사회 주민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은 연중 열리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교육주제는 건강증진 영역이며. 응급의료 관리는 전체 교육시간의 8%를 차지하며 이중 재난 준비를 위한 주민 교육 프로그램은 없다. 또한 특정 연령층이 모여있는 학교의 경우도 정규 보건교육 시간이 없기 때문에 생명구조나 응급처치를 체계적으로 배우고 연습할 기회가 없으면서 국민의 재난 준비의 기반확대가 되고 있지 못하다. 5. 병원은 재난 관리 위원회를 군성하여 병원의 진료권역 내에 있는 여러 자원을 감안한 포괄적인 재난관리계획을 세우고, 지역사회를 포함한 훈련을 해야 한다. 그러나 현재 병원은 명목상의 재난 관리 계획을 갖고 있을 뿐이다. 6. 재난관리 준비도를 평가할 때 병원응급실 치료 팀의 인력과 장비 등은 비교적 기준을 충족시키고 있었으나 병원의 재난 관리 계획은 전혀 훈련되고 있지 못하였다 그러므로 우리나라 재난 관리의 준비를 위해서는 현장의 응급의료체계, 재난 대응 계획, 이의 훈련을 통한 주민교육이 선행되어야만 개선될 수 있다. 즉 민방위 훈련 모델이 아닌 응급의료 서비스 모델에 입각한 장기적 노력과 재원의 투입이 필요하며,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대응 준비와 이의 활성화 전략 개발, 훈련과 연습. 교육에 노력을 부여해야 한다. 7. 현장의 1차 응급처치자에 대해서는 법적으로 명시하고 있는 역할이 없다. 한국에서는 응급구조사 1급과 2급에 대한 교육과 규정을 1995년 이후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에서 정하고 있다. 이 교육과정은 미국이 정하고 있는 응급구조사 과정 기준과 유사하지만 실습실이나 현장에서의 실습시간이 절대적으로 부족하다. 덧붙여 승인된 응급구조사 교육 기관의 강사는 강사로서의 자격기준을 충족할 뿐 아니라 실습강사는 대체적으로 1주일의 1/2은 응급 구조차를 탑승하여 현장 활동을 끊임없이 하고 있으며, 실습은 시나리오 유형으로 진행된다. 그러므로 우리나라의 경우 응급 구조사가 현장 기술 인력으로 역할 할 수 있도록 교과과정 내에서 실습을 강화 시켜야하며, 졸업생은 인턴쉽을 통한 현장 능력을 배양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8. 간호사의 경우 응급전문간호사의 자격을 부여받게 됨에 따라, 이를 위한 표준 교육 지침을 개발함으로써 병원 전 처치와 재난시 대응할 수 있는 역량을 보완해야 한다. 또한 현 자격 부여 프로그램 내용을 고려하여 정규자격 간호사가 현장 1차 치료자(first responder)로 역할 할 수 있도록 간호학 교과과정을 부분 보완해야한다.

  • PDF

Proposal of Improved Application and Utilization of Satellite Imagery for Disaster Management (재난관리분야 위성영상 활용성 및 적용성에 관한 제언)

  • Cho, Myeong Heum;Park, Young Jin;Kim, Kye Hyun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2a
    • /
    • pp.64-64
    • /
    • 2011
  • 최근 전 세계적으로 구제역, 화산, 지진재해 등 장기적이고 광역적인 재해 재난의 심각성을 반영하는 듯 다양한 기술개발과 재난관리 적용성에 관한 연구가 전개되고 있다. 그 가운데 인공위성에 대한 가치와 활용에 대한 기대치가 높아짐에 따라 국내외로 신속한 재난대응 및 광역적 피해지역에 대한 조기분석 등에 관한 다양한 지원체계구축에 대한 연구가 심화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재해 재난에 대한 인공위성의 활용성 및 실무적 대안마련에 대한 검토가 시작되고 있으며, 특히 재해시 영상의 확보 및 분석과 의사결정지원 등 재난관리 프로세스에 대한 정부부처의 활용방안 마련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재난총괄기관인 소방방재청은 국립방재연구소에 방재영상분석팀을 신설하였다. 2010년 1월 HAITI 지진피해, 2010년 12월 삼척 산불모니터링, 2011년 1월 포항 폭설피해 등의 재해 재난 분석을 통해 의사결정지원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위성영상 분석기술은 국외기관과 비슷한 실정이나, 본질적으로는 영상촬영 및 수급문제 해소에 있다고 하겠다. 현재, 지구관측센터(KEOC) 및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서도 이와 같은 수급체계에 대한 문제의식을 공유하고 있다는 점은 재난관리업무 담당자로서 고무적이고 개선에 대한 희망이 밝다. 향후 본 연구를 기반으로 우리나라 재난관리업무에 있어 위성영상을 기반으로 하는 선제적이고 과학적인 재난관리기법이 개발되고 방재분야의 위성영상활용의 위상이 높게 제고 되었으면 한다. 이와 관련하여 본 논문에서는 현재 전 세계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인공위성들을 대상으로, 시 공간 해상도별 분포도를 작성하여 인공위성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특히, 한국항공우주연구원과 소방방재청에서 2010년 10월에 가입한 국제재해관리를 위한 위성영상활용 협력기구인 International Charter에서 재해 재난관련 위성영상 분석 및 현황을 조사하여 재난유형별 활용성을 검토하였다. 마지막으로 조사 분석된 내용을 토대로 위성영상을 통한 재난관리 분야에 적합한 업무 프로세스를 도출하였다. 또한, 재해발생지역에 대한 신속한 위성영상의 확보와 정량적 피해규모 파악에 따른 응급 복구지원이 가능한 대응전략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 PDF

A study of the Domestic Trend in the law and institutions of International Standard Disaster Management -Focusing on ISO/TC 292- (재난관리 관련 국제표준별 국내 법·제도 동향 -ISO/TC 292 중심으로-)

  • Yun, Junyoung;Min, Geumyoung;Jung, Dukhoon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1 no.2
    • /
    • pp.287-296
    • /
    • 2015
  • In this study, international standards in disaster management and the management of the relevant International Standards Organizations(ISO), in particular ISO / TC 292 (Security- Safety) research subcommittee to look at international standards of relevant international standards for disaster management trends, each international domestic law related to the standard were researched.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Authority as a Ministry of Public Safety and Security (formerly the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has continued to prepare a plan for applying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relevant to the international standards. As the disaster management international standard continues to be established, disaster management agencies need to continue to keep pace with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o find ways to introduce international standards.

A Study on the Analysis of the National Disaster and Safety Management Statistics and Establishment of an Integrated System for Disaster Management Standardization in Korea (재단관리표준을 위한 국가재난 및 안전관리 국가통계분석 및 통합시스템 구축방안 연구)

  • Park, Dugkeun;Oh, Jeongrim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ocietal Security
    • /
    • v.2 no.2
    • /
    • pp.55-61
    • /
    • 2009
  • The statistics of disaster and safety control which have been produced by NEMA(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and other related agencies have some problems which show redundancies and the lack of connections. These problems can result in disbelief of disaster-management related policies and cause uncertainties on standardization. One of the main problems is caused by the lack of an integrated system that can coordinate available statistical resources. The objectives of this paper are to propose possible ways for the rearrangement of statistics categories, the improvement of statistics indicators and the integration of statistics of disaster and safety management based on the improvement of related laws and regulations. Through the integrated system for an efficient production of disaster and safety-related statistics, it will be possible to establish more accredited disaster-management policies based on the scientific statistics and international standard.

  • PDF

A Study on the Linkage of Public-private Organizations in Disaster Management in Rural Area (농촌지역의 재난관리 민관조직 연계방안 연구)

  • Lee, Youngkune;Park, Miri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2 no.4
    • /
    • pp.321-328
    • /
    • 2016
  •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and the status of disaster management in rural area were analyzed. Through this study, we tried to find ways to cooperate with public and private organizations to manage disaster in rural areas. In order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e of disaster management in rural areas, we surveyed the residents and disaster management officials of local governments. As a result of the survey, both public servants and residents answered that it is difficult for residents to participate in disaster management. This is due to lack of time due to agriculture as the main business. The SWOT analysis and strategy of rural disaster management were deriv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se surveys. In addition, five types of disaster management network and two types of operation were propos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management plan of the rural disaster management public-private network in the rural area. Further research is needed in depth on each of the operational measures in the future.

공공안전을 관리를 위한 국내외 국가기반시설(CIP)의 복합재난 관리 방안

  • Kim, Yong-Tak;Gwon, Hyeon-Han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4 no.6
    • /
    • pp.65-72
    • /
    • 2017
  • 국가기반시설의 기능 상실은 신속한 재난 대응 및 복구를 불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국가안보의 심각한 위협요인으로 작용한다. 본고에서는 국가주요시설의 체계적 위험도 관리를 위한 DB 현황 조사 및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국내외 국가기반시설의 취약성 평가 절차를 조사 분석하였다. 조사에 따르면 선진국의 경우 다양한 기반시설 분야에 적합한 재난관리 방법론을 연구하고 그에 적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여 재난 예방, 관리, 분석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국가에서 관리되는 시스템의 활용범위와 같이 시스템의 대부분이 상황전파 및 재난신고접수와 사후 피해 상황 보고 등의 복구진도관리 위주로 운용되고 있으며 취약성 분석 및 시설체계관리의 효율성을 증대하는 기능은 미비하여 복합적인 재난 유형에 적합한 관리체계가 마련되어 있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다양한 국내외 체계 및 사례를 조사하여 국가기반시설 간 상호의존성을 고려한 복합재난 관리 체계를 소개하였다.

Supplier Management Research for Disaster Mitigation Activities and Prevention of Major Disasters (재해경감활동과 중대재해예방을 위한 공급자 관리 연구)

  • Kim, Sang-D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71-72
    • /
    • 2022
  • 본 연구는 발주기관과 사내 공급자의 재해경감활동관리체계 연계성 강화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기업재난관리표준에 정하고 있는 공급자 전략에 대한 요구사항을 파악하고, 발주기관과 공급자의 적용사례를 검토 분석하여 재해경감활동관리체계의 연계성 강화를 위한 절차를 도출한다. 기업재난관리표준의 요구사항인 공급자 전략에 대하여 명확히 정의하고, 연계성 강화를 위해서 발주기관과 공급자가 적용하는 절차와 그 절차에 의하여 산출된 결과물을 공유하는 표준화된 절차가 필요하다는 시사점에 대한 해결방안을 연구하였다. 공급자의 재해경감활동관리체계 수립 절차중 중요한 절차의 연계성 강화를 위한 개선안을 제안하였으며, 제안된 내용과 절차를 기업재난관리표준과 관련 규범에 반영할 것을 제시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