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재난대응 의사결정

Search Result 89,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Development of Disaster Response Inventory Construction Technology Using Open Data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재난 대응 인벤토리 구축 기술 개발)

  • Choi, Soo Young;Kim, Jin Man;CHoung, Yun J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393-393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자연재해 발생 시 신속하고 효율적인 재난 대응 의사결정을 지원하기 위하여 재난 재해 정보와 시설물 정보, 공간정보 등이 융합된 통합 인벤토리를 구축하고자 한다. 재난대응 의사결정 지원을 위하여 시설물의 중요도, 위험도, 피해액 산정에 필요한 원천 데이터를 공공데이터포털(data.go.kr)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였다. 공공데이터포털의 데이터셋은 파일데이터와 오픈 API, 표준데이터와 국가중점데이터를 제공하고 있다. 파일데이터는 22,306건, 오픈 API는 2,505건, 표준데이터는 58건의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국민, 기업 등 수요 중심으로 개방의 효과성과 시급성 등이 높은 41개 분야의 국가중점데이터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개발된 국내외 다양한 사례와 가공데이터를 공공데이터 활용사례를 통하여 공유하고 있다. 인벤토리 구축을 위하여 국가중점데이터와 데이터카테고리의 국토관리, 재난안전, 산업고용, 공공행정 등 다양한 공공데이터를 검토하여, SOC 시설물과 건축물의 정보를 수집하여 시설물의 중요도와 위험도, 피해액 평가 등 필요 목적에 맞게 최적화 하여 구축하였다. 또한 구축된 다양한 정보와 시설물 평가 모듈간의 원활한 데이터 수급을 위한 연계 모듈과 관리 모듈을 개발하여 구축된 데이터 정보를 표준화하여 유지 관리 할 수 있도록 인벤토리를 구축하였다. 이러한 재난대응 의사결정 지원 통합 인벤토리는 재난대응 의사결정을 신속하고도 효율적으로 가능하게 함으로써 방재업무 지원 및 대국민 서비스를 가능하게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Research on Assessment of Impact of Big Data Attributes to Disaster Response Decision-Making Process (빅데이터 속성이 재난대응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Min, Geum Young;Jeong, Duke Hoon
    • The Journal of Society for e-Business Studies
    • /
    • v.18 no.3
    • /
    • pp.17-43
    • /
    • 2013
  • This research is to assess the relationship Big Data attributes and disaster response process. The hypothesis are designed to form decision making between situation awareness and disaster response by defining major attribute of Big Data(Volume, Variety, Velocity, Complexity). It is proved whether there is a moderating effect in cause-and-effect relationship by visualizing Big Data. To test the hypotheses, it was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f civil servants in charge of disaster-related government employees, and collected 320 data(without 12 undependable responses). The research findings are suggested the attributes of accumulation, expandability, flexibility, real-time, analytical, combination of Big Data have a strong effect on disaster manager's situation awareness.

A Development Plan for Integrated Inventory Management System to Support Decision Making for Disaster Response (재난대응 의사결정 지원을 위한 인벤토리 통합 관리 시스템 구축 방안)

  • Choi, Soo-Young;Gang, Su-Myung;Kim, Jin-Man;Oh, Eun-Ho;Jo, Myung-Hee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7 no.4
    • /
    • pp.179-188
    • /
    • 2014
  • Social overhead capital (SOC) facilities are being threatened continuously by abnormal climate events that are increasing globally. For disaster response, rapid decision making on evacuation routes and other matters is critical. For this purpose, spatiotemporal information that combine data on disasters and SOC facilities needs to be utilized. This information is separately collected by government agencies and public organizations, and is not managed in an integrated manner. For rapid disaster response, an integrated management of separately collected disaster data and the creation of such information as the safety and damages on SOC facilities are required. To achieve this goal, it is essential to build inventories that integrate all the related information to support decision making indispensable for disaster response. In this study, a development plan for an integrated inventory management system based on the management and connection of inventories to support rapid decision making for disaster response is proposed. This system can collect and standardize data related to disasters and SOC facilities that are being managed separately and provide integrated information in line with the needs of users. The proposed system can be used as a decision making tool for proactive disaster response.

A Study on Wildfire Disaster Response based on Cases of International Disaster Safety Management Systems (해외 재난 안전관리 시스템 사례기반 산불재난대응 연구)

  • Lee, Jihyun;Park, Minsoo;Jung, Dae-kyo;Park, Seunghee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40 no.3
    • /
    • pp.345-352
    • /
    • 2020
  • Forest fires generate many types of risk as well as a wide and varied range of damage. Various studies and systems have emerged in response to wildfire disasters. International wildfire disaster safety management systems apply advanced technologies such as utilizing big data, GIS-based systems, and decision-making systems. This study analyzes South Korea's and other countries' forest fire disaster safety management systems, and suggests alternatives for wildfire disaster safety management in Korea. First, a means of integrating information, including field information, obtained by domestic agencies is proposed. Second, a method of applying big data to the disaster response system is proposed. Third, a decision-making system is applied to an existing GIS-based system. When applying the above countermeasures to Korea's existing disaster safety management system, various information and data can be visualized and thus more easily identified, leading to more effective decision-making and reduced fire damage.

인공재난: 재난 대응을 위한 에이전트 시뮬레이션의 연구동향

  • Lee, Gi-Heon;Kim, Chang-Uk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9 no.5
    • /
    • pp.27-36
    • /
    • 2012
  • 본 연구는 재난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피해를 미리 파악하여 대비할 수 있는 새로운 예측 방법론인 인공 재난에 대해 소개한다. 인공 재난은 재난이 발생할 수 있는 지역의 환경, 발생하는 재난의 변화, 재해를 입고 이에 반응하는 사람들의 행동을 설계하여 인위적으로 재난 상황을 실험해 볼 수 있는 에이전트 기반 시뮬레이션 모형이다. 인공 재난은 재해를 최소화하는 의사결정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기에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인공 재난의 특정과 분류 별 연구(재난 환경 연구, 재난 확산 연구, 재난 대응 연구)를 소개한다. 그리고 현재 정보 통신 인프라 기반 위에서 대용량 자료를 활용한 향후 연구들을 전망한다.

The need to introduce a Common Operating Picture(COP) for disaster response in the event of a disaster (재난발생시 재난대응을 위한 공통작전상황도(COP) 도입 필요성)

  • Cho, Jung Yun;Song, Ju Il;Jang, Cho-Rok;Jang, Mun-Yeop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358-358
    • /
    • 2020
  • 2016년 경주지진, 2018년 밀양 세종병원 화재사고, 2019년 강원도 동해안 산불, 2020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재난까지 매년 다양한 유형의 재난이 발생하면서 재난대응에 대한 관심 역시 커지고 있다. 정부는 물론 각 지자체에서 재난유형별로 재난대응 매뉴얼에 따라 체계적으로 해당 재난에 대한 대응을 실시하고 있으나 중앙 상황실과 현장 간 소통의 어려움, 의사결정의 지연 등으로 인해 신속한 대응방안 수립 및 피해상황 파악에 있어서 미흡한 대처를 보여주어 질타를 받기도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중앙 상황실과 현장 간의 원활한 소통과 재난으로 발생한 피해현황 및 응급복구 계획 등을 신속하게 수립할 수 있도록 군부대에서 사용하고 있는 공통작전상황도(Common Operating Picture, 이하 COP)의 개념을 재난대응 체계에 도입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공통작전상황도는 미군이 군사적인 대응을 위하여 정보공유 차원에서 처음으로 사용되었으며, 미국연방재난관리청(Feder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이하 FEMA)이 현재 재난상활 발생 시 의사결정을 지원하기 위한 시스템으로 개발하여 활용하고 있다. 이를 구성하는 요소들은 재난발생시 가장 기초적인 정보(신고사항, 기상정보, 시민제보 등) 뿐 만 아니라 현장에 관한 정보(구체적인 대응상황, 요구사항 등)까지 다루어지고 있으며, 결국 공통작전상황도는 이를 모두 관리할 수 있는 하나의 통합플랫폼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재난상황에서 공통작전상황도를 활용한 해외사례 분석과 국내 도입 시각 재난유형별로 공통작전상황도에 필요한 정보요소들을 1차적으로 확인함으로써 새로운 재난대응 시스템의 필요함을 강조하고자 한다.

  • PDF

Development Plan of Facility Importance, Risk, and Damage Estimation Inventory Construction for Assisting Disaster Response Decision-Making (재난대응 의사결정 지원을 위한 시설물 중요도·위험도·피해액 산정 인벤토리 구축 방안 연구)

  • CHOI, Soo-Young;GANG, Su-Myung;JO, Yun-Won;OH, Eun-Ho;PARK, Jae-Woo;KIM, Gil-Ho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9 no.1
    • /
    • pp.167-179
    • /
    • 2016
  • The safety of SOC facilities is constantly under threat by the globally increasing abnormal climate. Responding to disasters requires prompt decision-making such as suggesting evacuation paths. For doing so, spatio-temporal information with convergence of disaster information and SOC facility information must be utilized. Such information is being collected separately by the government or related organizations, but not collectively. The collective control of the separately collected disaster information and the generation of SOC facility safety and damage information are required for prompt disaster response. Also, as disaster information requires spatio-temporal convergence in its nature, the construction of an inventory that integrates related information and assists disaster response decision-making is required. A plan to construct a facility importance, risk, and damage estimation inventory for assisting prompt disaster response decision-making is suggested in this study. Through this study, the disaster and SOC facility-related data, which are being managed separately, can be collected and standardized. The integrated information required for the estimation of facility importance, risk, and damage can be provided. The suggested system is expected to be used as a decision-making tool for proactive disaster response.

Development of SNS-based resident participation contents using satellite image situation board linkage and display system (위성영상 상황판연계·표출시스템 적용 SNS 기반 주민참여 콘텐츠 개발)

  • Sang Min Lee;Eun Jeong Kim;Mi Rae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456-456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위성영상 상황판연계·표출시스템 적용을 위한 SNS 주민참여 콘텐츠를 개발하고, 재난대응 표준위기관리절차 기반의 주민참여정보 활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재난상황관리에 있어 SNS의 활용을 통한 주민참여 확대적용 방안을 모색하고자 재난 대비·대응 관련 공공 및 정부부처에서 활용 중인 SNS 채널을 조사하였으며, 상황관리에 SNS를 적용한 선행사례를 분석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SNS를 적용한 예방안전 및 피해복원 확대 적용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신속한 위기대응을 위한 보조적인 의사결정 지원도구로서의 콘텐츠를 제안하였다. 먼저, 예방안전 및 피해복원 확대 적용을 위해 SNS에 주민들이 작성한 게시글을 웹 크롤링과 데이터 마이닝을 통해 분석하여 재난 상황인지와 상황판단 및 피해범위 추정에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였고, 이를 상황판연계·표출시스템에서 표출하기 위한 예시화면을 설계하였다. 또한, 연구 1차년에 수행했었던 위성영상을 활용한 재난상황대응 표준위기관리절차 중 위성영상정보에 주민참여정보를 연계·중첩하여 재난의 전조감지 단계부터 확산양상 및 피해범위를 확인하고, 재난기록을 분석하여 추후 발생된 재난에 선제적으로 대비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주민참여 기반 SNS 콘텐츠 적용을 위한 우선 해결사항으로는 재난상황판단 시, 정보의 정확성과 신뢰성 측면에서 의사결정을 위한 보조도구로서 활용을 할 것인지에 대한 중앙재난안전상황실과의 충분한 협의가 필요하며, 상황실에서 해당 콘텐츠를 활용하게 될 경우, SNS 정보의 행정망 방화벽 허용가능여부에 대한 추가 분석설계가 필요한 상황이다. 이를 위해 금년 연구수행에서 상황실 실무자 수요조사를 통해 SNS 정보 활용에 대한 반영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 PDF

재난대응 물류에 관한 연구동향: 네트워크 구성 및 공급계획 모형

  • Jeong, Seok-Jae;Min, Dae-Gi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9 no.5
    • /
    • pp.50-61
    • /
    • 2012
  • 1970년대 해상 재난에 처음 도입된 이후 최적화 모형은 재난 대응 물류 문제에 효과적으로 활용되었다. 문헌 연구 기법을 이용하여 본 논문은 재난대응 물류 분야의 최적화 모형을 검토하였다. 재난대응 활동은 재난 발생 이전과 이후로 구분하여 검토할 수 있다. 사전 활동으로 긴급 대피, 위치 선정, 비축품 관리 등을 고려할 수 있으며, 사후 활동은 복구품 배분, 비축품 조정 등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재난대응 활동과 관련하여 물류 문제를 네트워크 구성과 공급계획으로 구분하여 문헌연구를 수행하였다. 모형의 형식과 의사결정 사항을 중심으로 문헌을 체계적으로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문헌조사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향후 자율적 대응이 가능한 재난대응 물류 구조를 구성하기 위한 연구 주제를 제시하였다.

A Study of Disaster Preparation Training System for the Industry (재난안전 현장훈련시스템에 관한 연구)

  • Kim, Kun-H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179-180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재난안전 대비 현장훈련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하여 현황을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현재 일반적으로 이뤄지고 있는 훈련은 실제 재난상황을 고려하지 않은 형식적인 훈련으로 재난유형 및 발생상황에 부적합한 훈련장소 및 시간에 실시하고 있다. 현재는 사전 공개된 훈련시나리오에 따른 연출된 보여 주기식 훈련으로 실제 재난상황이 발생할 때 의사결정 권한을 가진 지휘권자가 훈련에 불참하는 조직문화가 가장 먼저 해결되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형재난에 대한 대응능력을 강화하고 재난으로부터 국민을 보호하기 위한 안전훈련이 범국가적으로 진행되는 가운데 '안전한국훈련'을 에너지부분에서도 전국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미국, 일본의 재난대응훈련의 특징은 우리나라와 같이 평가지표 틀에 맞춘 시나리오를 개발하지 않고 있으며 시나리오 구성도 세분화하지 않고 단지 상황 설정과 대응 메시지, 돌발 메시지 등으로 위기대응 능력을 평가하고 있다는 것이다. 에너지산업 현장용 재난대비 훈련시스템 개발 및 구축은 국가안전 관리 측면에서도 매우 중요하다. 국가 차원의 종합 재난대응 및 인프라 제공을 위한 다수의 정보화사업이 추진되고 있으나 재난 정보를 활용한 사전 예방, 신속한 상황 전파, 정보공동 활용 및 대응 미진에 대한 종합적 진단이필요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