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재난대응활동

Search Result 148,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A Plan to Increase the Role of the Organization in Terms of the Disaster Response System (재난대응 체계 측면에서 조직의 역할 증대 방안)

  • Oh Jong-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69-70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안보위협의 변화 즉 차 산업혁명, 기후변화 등으로 예상치 못한 상황에서 빈번하게 나타나고 다양·복합·대형화로 대응의 어려움에 따라 재난대응 조직의 역할 증대를 위한 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국가위기관리 조직과 재난관리책임기관H기업에 대한 조직의 역할 분석, 재난(사고)발생 시 재난대응 체계를 살펴보고 재해경감활동관리체계 관리활동에서의 재난(사고)대응체계 측면의 조직의 역할 증대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재난대응 물류에 관한 연구동향: 네트워크 구성 및 공급계획 모형

  • Jeong, Seok-Jae;Min, Dae-Gi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9 no.5
    • /
    • pp.50-61
    • /
    • 2012
  • 1970년대 해상 재난에 처음 도입된 이후 최적화 모형은 재난 대응 물류 문제에 효과적으로 활용되었다. 문헌 연구 기법을 이용하여 본 논문은 재난대응 물류 분야의 최적화 모형을 검토하였다. 재난대응 활동은 재난 발생 이전과 이후로 구분하여 검토할 수 있다. 사전 활동으로 긴급 대피, 위치 선정, 비축품 관리 등을 고려할 수 있으며, 사후 활동은 복구품 배분, 비축품 조정 등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재난대응 활동과 관련하여 물류 문제를 네트워크 구성과 공급계획으로 구분하여 문헌연구를 수행하였다. 모형의 형식과 의사결정 사항을 중심으로 문헌을 체계적으로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문헌조사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향후 자율적 대응이 가능한 재난대응 물류 구조를 구성하기 위한 연구 주제를 제시하였다.

A Study on the Strengthening of Disaster Response Capacity to Prevent Social Disasters (사회재난 예방을 위한 재난 대응역량 강화방안 연구)

  • Choi, Suk-Chan;Kim, Duck-Ho;Chong, Cheu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11a
    • /
    • pp.189-190
    • /
    • 2023
  • 본 논문은 최근 발생된 주요 사회재난에 대해 살펴보고 재해경감활동차원에서 대응 및 개선 방안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동안 국회의 입법 활동은 물론이거니와 국가, 지자체 또한 크고 작은 재난에 대해 그때마다 각종 대책을 쏟아내고 있지만 재난을 근본적으로 예방 또는 방지하는 데는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이는 최근 발생된 이태원 10.29 참사에서 볼 수 있듯이 사회재난은 자연재해와는 달리 재난의 예측 어려움은 물론이거니와 전혀 예상하지 못한 상황에서 재난이 발생할 수 있음을 감안하여 재해경감을 위한 충분한 대책을 마련하는 등 예방 활동을 사전에 전반적으로 강화하여 나갈 필요가 있다. 특히 이태원 10.29 참사는 안전대책, 매뉴얼이 제대로 작동되지 않은 총체적인 안전 불감증의 대표적인 사례로 볼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PDCA 사이클을 중심으로 재난 예방 및 발생 가능성 최소화를 위한 재해경감활동 차원에서 대응방안을 모색하고 개선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PDF

Development Considerations of Natural Disaster Command System for Public Officers through Analysis of Disaster Response Activities at On-Scene (풍수해 현장대응업무 분석을 통한 재난현장 일반직 공무원 대응편제 개발시 고려사항 연구)

  • We, Kum Sook;Jeong, An You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isaster and Security
    • /
    • v.6 no.1
    • /
    • pp.47-53
    • /
    • 2013
  • Standard Incident Command System in Korea is that Incident Command System for Emergency Rescue Operation, which is commanded only by Fire Fighting Agencies. However, in the event of a disaster such as the flood, storm, or landslide disaster, there are many disaster response activities performed by the General Public Officers at the disaster on-scene. Yet, there isn't an Natural Disaster Command System for the General Public Officers in Korea. Thus, we have studied the response activities needed cooperation among agencies and proposed some considerations of the Natural Disaster Command System for General Public Officers. The system will be useful to response and recover disaster rapidly, seamlessly, and cooperatively among General Public Officers and the related agencies.

A Study on Improvement of the against Large-scale Disasters of the Municipal Police System (자치경찰제도 도입에 따른 대형 재난 대응 실태 및 개선방안)

  • Shin, Jae-Hun;Lee, Jae-M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327-330
    • /
    • 2022
  • 이 연구는 자치경찰제도 도입에 따른 재난대응 실태를 살펴보고 개선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의 연구로서 연구의 완성을 위하여 경찰의 재난대응 매뉴얼과 관련 통계자료, 법령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개선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자치경찰제도가 도입됨에 따라 기존의 범죄예방 및 기타 치안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많은 변화가 발생하였다. 자치경찰제도는 기존의 중앙통제식 경찰제도에서 벗어나 각 지역의 실정에 맞도록 경찰을 운용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자치경찰제도 도입에 따라 많은 기대와 우려가 공존하고 있는 상황에서 자치경찰제도의 취약점이라고 볼 수 있는 대규모 인력이 동원 상황 발생 시 대응에 대하여 여전히 의문을 가지고 있다. 그 중 대형 대난 발생 시 자치경찰의 역할이 대하여 살펴본 결과, 현재 경찰이 대형재난 발생 시 대형재난 현장에서 2차 피해 예방을 위한 현장 통제 및 추가적인 재난 피해 예방, 요구호자 구조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그러나, 자치경찰의 경우 대규모 재난에 대응하기가 쉽지 않은 탓에 대형재난에 취약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이 연구에서는 대형 재난 발생 시 기본적인 경찰의 재난 현장 통제 및 2차 피해 예방활동과 함께 인근 지역 자치경찰과 협동 재난 대응 활동 및 컨트롤 타워 등 제안과 같은 방안을 제안하였다.

  • PDF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the Resilience of Companies After Disasters (기업의 재해 발생 후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Bong, Young-k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75-76
    • /
    • 2022
  • 본 연구는 기업과 그 기업이 속한 사회에서 사업을 영위하면서 자연재해의 발생이나 COVID-19와 같은 감염병의 유행으로 조직의 업무 중단이 발생하고 난 뒤 다시 사업을 재개하는 데에는 회복탄력성이 중요하다. 기업의 회복탄력성은 기업을 경영하는데 필요한 수많은 요소와 관련이 있다. 또한 기업과 연결된 많은 네트워크와 인프라에 의존하고 있다. 회복탄력성은 재난을 당한 뒤에 다시 사업을 영위하는 능력이라 할 수 있다. 재난에 대응하는 저항의 능력 보다는 기업의 핵심 기능이 단기간에 연속성을 확보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이를 위하여 기업의 재난에 대한 '예방 활동', '대비 활동', '대응 활동'을 필수 요소로 삼고 있다. 그 외에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연구하기 위하여, 여유 자원, 협력관계, 전략적 유연성, 혁신성, 기술 변화 대응력이 조직역량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고, 조직역량이 기업의 회복탄력성에 기여하는 정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권재득, 2018). 회복탄력성의 미치는 추가요인인 외적 효과 분석에 대한 연구를 제안한다.

  • PDF

A study on the Optimal Disaster Reduction Program for Industrial Disaster Early Response (산업체 재난 조기대응을 위한 최적재해경감방안 연구)

  • Lee, Keun-Ja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0.10a
    • /
    • pp.211-215
    • /
    • 2010
  • 본 연구는 아직 초보수준인 국내기업의 업무연속성 유지를 위한 재해경감 활동계획 수립 및 실행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였으며, 조기대응체계 구축을 통하여 어떠한 재난에도 안전을 기할 수 있는 기업 연속성 유지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국내 재난관리 표준으로 채택된 사고대비 및 업무연속성관리 가이드라인을 분석하였고, 국내기업에 쉽게 적용할 수 있는 실행지침을 제시하였으며, A기업을 대상으로 재해경감활동계획수립 및 정보기술을 활용하는 방안을 연구하였다. 특히 사고대비 및 업무연속성관리의 가이드라인 5단계 주요 절차 중 계획수립단계의 위험 평가, 영향분석, 예방경감계획 및 대응관리계획 수립에 대한 모델을 제시하였고 국내 재해경감활동이 활성화되기 위한 방안을 도출하였으며, 재난대응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정보기술 부분도 제시하였다.

  • PDF

A Local Flood Response Information Framework (지능형 지역단위 홍수대응 재난정보시스템 프레임워크)

  • Son, Ki-Chon;Park, Choong-Sh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5.11a
    • /
    • pp.205-208
    • /
    • 2015
  • 재난정보시스템은 재난에 대하여 예방, 대비, 대응, 복구 단계별 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정보시스템이다. 재난정보시스템은 여러 형태의 재난에 대하여 여러 수준의 다양한 정보자원을 이용해야 하고 여러 임무를 맡고 있는 다양한 인적자원과 다양한 물적 자원을 활용하여 준비하고 빠르게 대응해야 한다. 재난은 지역별로 대응하게 되는데 기존의 시스템은 해당 지역에 대한 정보만을 파악할 수 밖에 없으며, 통합적인 상황 분석이 부족하고, 지역재난상황에 따라 표준행동에 의한 자동적 실시간 임무부여와 실시간 보고의 처리, 재난관리자의 경험적 지식을 활용될 수 있는 정보시스템화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단위 홍수대응을 위하여 지역별 재난정보시스템이 P2P 분산연결체제로 재난과 유관한 다른 지역의 재난정보를 공유할 수 있고, 국방, 경찰, 보안 분야에 적용되어온 정보융합(Information fusion)기술과 비즈니스 룰(BRMS)의 규칙기반 지능형 기술을 활용하여 여러 수준의 다양한 정보를 종합 분석하여 통합적인 상황정보를 제공하고, 표준행동(SOP) 요령과 지역 재난관리자의 지식을 활용하여 인적 자원과 물적 자원에 대한 대응계획을 제시하여 대응조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며, 현장 상황에 따른 실시간 임무 부여와 상황 보고를 처리할 수 있는 지능형 지역 홍수대응 재난정보시스템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 PDF

A Study on the Direction of Policing for Effective Disaster Prevention and Management (효과적인 재난 예방 및 관리를 위한 경찰활동 방향)

  • Lee, Ju-Lak;Shin, So-Young
    • Korean Security Journal
    • /
    • no.51
    • /
    • pp.317-334
    • /
    • 2017
  • The burden of addressing the damage and financial losses caused by disaster events falls primarily on local governments. Given this reality, preparing for disasters and assessing the effects of disaster management would be more effective if both were carried out at the local level. However, disaster management in South Korea is realized at the national level, revolving around the central government. The Ministry of Public Safety and Security, which was newly established after the sinking of MV Sewol, was criticized for failing to carrying out its role as a "disaster control tower" in dealing with the earthquakes near the city of Gyeongju in 2016. The criticism, as well as deep anxiety concerning the ministry's ability to effectively respond to disasters, means that there is a need for a practical alternative plan to the current method of dealing with disasters. As such, there is an increasing call to re-examine the role of the police force, which played an integral part in past disaster response efforts, in future disaster events. Among the various activities the police force performs, this study focused on one particular role and function of the police, namely community policing. Specifically, this study examined community policing within the context of local governments. The primary purpose of community policing is crime prevention. But the police must respond to citizens' expectations and desires that the police expand the scope of its role. Thus, to maximize public safety and order, the police must be actively engaged in conducting disaster response activities. Hence, this study concentrated on the measures, including community policing, that need to be taken to enable the police to respond rapidly and effectively to disaster events, thereby minimizing losses, and to contribute meaningfully to disaster recovery efforts. Because community policing requires public cooperation, community-oriented disaster response and disaster management are closely examined. This study basically seeks to expand the scope of community policing to strengthen disaster safety. Furthermore, this study aims to assert that disaster safety can be promoted by establishing a cooperation system between the police and private security; changing how the role of community policing in disaster response activities is perceived; increasing professional manpower and establishing a comprehensive and independent department dedicated to disaster-related matters; and merging consultative organizations into one organization. Additionally, this study states that an integrated CCTV platform and police cars on disaster prevention patrol duties would enhance the capability of the police to respond to disasters and perform their community policing activities.

  • PDF

Research on Assessment of Impact of Big Data Attributes to Disaster Response Decision-Making Process (빅데이터 속성이 재난대응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Min, Geum Young;Jeong, Duke Hoon
    • The Journal of Society for e-Business Studies
    • /
    • v.18 no.3
    • /
    • pp.17-43
    • /
    • 2013
  • This research is to assess the relationship Big Data attributes and disaster response process. The hypothesis are designed to form decision making between situation awareness and disaster response by defining major attribute of Big Data(Volume, Variety, Velocity, Complexity). It is proved whether there is a moderating effect in cause-and-effect relationship by visualizing Big Data. To test the hypotheses, it was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f civil servants in charge of disaster-related government employees, and collected 320 data(without 12 undependable responses). The research findings are suggested the attributes of accumulation, expandability, flexibility, real-time, analytical, combination of Big Data have a strong effect on disaster manager's situation awaren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