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재건

검색결과 3,525건 처리시간 0.031초

관절경적 이중다발 후방십자인대 재건술 (Arthroscopic Double-Bundle Pos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 전철홍;김성훈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40-145
    • /
    • 2011
  • 후방십자인대 손상의 이상적 치료는 아직까지도 확립되지 않았다. 과거 몇 십 년간 후방십자인대에 대한 지식과 슬관절 안정성에 대한 후방십자인대의 생역학에 대한 지식이 증가하였다. 특히 이중 다발에 대한 지식이 증가하고 이러한 모든 노력들은 후방십자인대의 해부학적인 특징을 최대한 복원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재건술의 수술 방법은 특정 손상 양상에 따라 그에 맞게 이루어지는데 만성 손상의 경우나 remnant가 거의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이중 다발을 재건하는 것이 만족스러운 결과를 보인다. 아직까지 이중 다발 후방십자인대 재건술의 결과에 대해서는 논란이 많은 것은 사실이나 장기 추시가 가능해지면 이중 다발 후방십자인대 재건술이 해부학적으로나 생역학적으로 더욱 정상에 가깝기 때문에 더 나은 장기적 결과를 보여줄 것으로 예상된다.

  • PDF

족지 신전건을 이용한 만성 족관절 불안정성의 재건 (Reconstruction of Chronic Ankle Instability with the Toe Extensor Tendon)

  • 안재훈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88-91
    • /
    • 2007
  • 급성 족관절 염좌 후 발생하는 지속적인 불안정성은 일부의 환자들에서 결국 인대 재건술을 필요로 하게 된다. 족관절의 외측 안정성을 다시 얻기 위해 전거비 인대와 종비 인대의 직접적인 봉합에서부터 자가 조직이나 동종 조직을 이용한 재건까지 50가지가 넘는 수술적 방법들이 기술되어 왔다. 저자는 그 중의 한 가지인 제4 장 족지 신전건을 이용한 족관절의 해부학적 인대 재건술에 대해 그 이론적 근거와 술기를 기술하고자 한다.

  • PDF

유리 혈관화 견갑골피판을 이용한 하악골 복합결손 재건 (FREE VASCULARIZED SCAPULAR FLAP FOR MANDIBULAR RECONSTRUCTION)

  • 박광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8권3호
    • /
    • pp.339-347
    • /
    • 1996
  • 하악골 재건을 위한 여러 골이식 방법중 유리혈관화 견갑골은 다른 방법에 비해 여러 가지장점을 갖고 있다. 저자는 독일 Wuerzburg 대학에서 연수중 다수의 하악골 복합결손환자를혈관화 견갑골판을 이용 재건하여 우수한 결과를 얻는 것을 경험하였다. 견갑골 피판은 혈관분포를 보존하면서 여러 군데의 쐐기형 부분절골술에 의해 쉽게 하악골 외형에 따라 형성할 수 있었으며, 대부분의 증례에서 혈관경의 길이는 충분하였고, 수혜부의 조건에 따라 견갑골판 단독으로 또는 피부판을 포함하여 채취되었으며, 공여부의 유병율은 거의 없이 우수한 심미적 기능적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이 유리골관은 다양한 피판의 유용성과 하악골의 3차원적인 재건 그리고 적은 유병율을 가지고 있어, 연조직을 포함한 하악골 복합결손부 재건에 매우 적합하리라 사료된다.

  • PDF

고온 재건조가 CCA 처리 Lodgepole Pine 각재의 건조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igh-temperature Redrying on Drying Characteristics of CCA-treated Lodgepole Pine Dimension Lumber)

  • 김규혁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8권3호
    • /
    • pp.34-41
    • /
    • 1990
  • 본 연구는 CCA로 방부(防腐)처리된 Lodgepole pine 각재(角材)의 재건조(再乾燥)시 고온건조법(高溫乾燥法)의 적용이 건조속도(乾燥速度) 및 건조결함(乾燥缺陷)의 발생에 어떻게 영향하는가를 고찰하고자 수행되었다. 고온건조시 건조속도는 통당(通常) 열기건조(熱氣乾燥)시보다 약(約) 2.5배 증가되었으며, 방부처리재의 재건조 속도는 처리전(前)의 전건조속도보다 약간 감소됨을 보였다. 표면할열(表面割裂)의 발생정도(程度)은 전건조시의 경우, 고온건조시 보다 심(甚)하였으나 재건조시에는 건조방법간에 큰 차이가 없었다. 방부제의 침투(浸透)를 도모(圖謀)하기 위하여 자상(自傷)처리(Incising)된 각재의 경우에는 재건조시 절개부(切開部)의 연장(延長)에 의해 할렬의 정도가 증가됨을 보였다. 뒤틀림(Warping)의 발생정도는 고온건조시가 통상 열기건조에 비해 심하지 않았으며, 전(全) 건조과정을 통하여 발생된 뒤틀림은 WWPA가 정(定)해놓은 Lodgepole pine 2등급(等級)(No. 2 grade)의 뒤틀림 허용치(許容値)의 범위내(範圍內)에 있음을 보였다. 결론적(結論的)으로, 고온건조시 증가되는 건조속도와 건조재의 질(質)에 큰 영향을 주지않는 범위내에서 발생되는 건조결함을 고려할 때, Lodgepole pine의 전건조및 CCA 처리후 재건조를 위해 큰 문제없이 고온건조법이 적용될 수 있음을 보였다.

  • PDF

전방 십자 인대 재 재건술 단기 추시 결과 (Revision of Failed ACL Reconstruction - Early Result -)

  • 안진환;조용진;이용석;신성기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69-175
    • /
    • 2003
  • 목적 : 실패한 전방십자인대 재건술후 시행한 전방십자인대 재 재건술의 단기추시 결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7년 8월부터 2002년 2월까지 실패한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에 대하여 재 재건술을 시술 받았던 18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재건술후 재 재건술까지의 평균기간은 39$(7\~120)$개월 이었으며, 동종이식건 14예$(78\%)$, 자가이식건 4예$(22\%)$를 관절경을 이용하여 전방십자인대 재 재건술을 시술하였다. 주 증상으로는 불안정성이 16예$(89\%)$로 가장 많았고,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을 한번 시행받았던 경우가 16예$(89\%)$, 두번 시행받았던 경우가 2예$(11\%)$였다. 술전, 술후 및 추시관찰시 Lachman test, pivot shift test, KT 2000 및 방사선학적으로 전방십자인대의 안정성을 평가하였으며, Lysholm score 및 HSS score를 비교 분석하였고 환자의 주관적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결과 : 평균 추시관찰 기간은 27$(12\~60)$개월이었으며, 술전 Lachman test 및 pivot shift test는 전예에서 양성의 소견을 보였으나 술후 대부분의 예에서 음성으로 나타났으며, KT 2000은 술전 7.75$(3.5\~12.5)$mm에서 술후 최종추시시 2.36$(1.0\~6.0)$mm로 안정되었다. Lysholm score 및 HSS score는 각각 술전 72.6$(66\~77)$점, 72.5$(68\~78)$점에서 술후 최종추시 시 89.2$(80\~92)$점, 88.2$(81\~92)$점으로 향상되었다. 환자의 대부분은 수술결과에 만족$(89\%)$하고 있었다.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의 실패원인으로는 대퇴터널의 부정위치가 11예$(61\%)$로 가장 많았다. 결론 : 실패한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의 치료로 적절한 이식건을 이용하여 관절경적 전방십자인대 재 재건술을 시술함으로서 주관적 및 객관적으로 비교적 안정적인 슬관절을 얻을 수 있었으나, 일차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의 가장 많은 실패의 원인이 수술 수기의 오류임을 감안한다면 정확한 수술 수기로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을 시술하는 것이 중요할것으로 사료된다.

  • PDF

지혈대 없이 시행한 관절경하 후방십자인대 재건술 (Arthroscopic Pos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without Tourniquet)

  • 김상범;이영구;손정환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94-97
    • /
    • 2004
  • 목적: 관절경하 후방 십자 인대 재건술시 지혈대의 필요성에 대한 언급된 문헌이 없어 지혈 대 없이 시행하는 본원의 관절경하 후방십자인대 재건술 결과 및 술기에 대해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8년 1월부터 2003년 5월까지 본원에서 후방십자인대 손상으로 관절경을 시행한 75례중 외측 측부인대 및 후외측 측부인대와 같은 동반손상으로 인해 관절외적 시술로 지혈대를 시행한 환자 16례와 술후 추시관찰이 12개월 이하인 10례를 제외한 49례의 단독 후방 십자 인대 손상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고 자가 골-슬개건-골을 이용하여 재건한 경우 13례, 동종 골-슬개건-골을 이용하여 재건한 경우 19례, 동종 아킬레스 건을 이용하여 재건한 경우 17례였다 평가방법은 49례를 Lysholm knee scoring scale을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지혈대 없이 관절경하 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을 한 경우 수술시간은 평균 105분 소요되었으며, 출혈로 인해 시야가 혼탁하여 지혈대를 사용한 경우는 없었다. 모든 환자에서 수술 부위의 부종, 국소 종창, 울혈, 환부 감염등은 관찰되지 않았다. Lysholm knee scoring scale을 이용한 평가 결과는 자가 골-슬개건-골을 이용한 경우는 평균 74점(fair) , 동종 아킬레스 건을 이용한 경우 75점(fair) , 동종 슬개건-골을 이용한 경우는 76점(fair)였다 결론: 관절경하 후방십자인대 재건술시 지혈대를 사용하지 않아도 수술에 어려움은 없으므로 지혈대 없이 재건술을 시행함으로써 지혈대로 인해 야기되는 합병증을 방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갑상선 수술 후 흉쇄유돌근 근골막피판을 이용한 큰 기도 결손부 재건 1예 (Reconstruction of a Large Cricotracheal Defect Using a Sternocleidomastoid Myoperiosteal Flap : A Case of Locally Aggressive Papillary Thyroid Carcinoma with Tracheal Invasion)

  • 김상민;김미라;김용완;백무진;박준욱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8-21
    • /
    • 2015
  • 기관을 침범한 갑상선 악성종양을 제거한 후에 성문하부에 비교적 큰 기관 결손이 발생할 수 있다. 단단문합술은 넓은 부위의 결손부를 재건하는 방법으로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지만, 문합부 파열, 반회후두신경마비, 재협착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본 증례는 기도를 침범한 갑상선 유두암종을 제거한 후 윤상연골과 기관연골의 비교적 큰 결손부를 흉쇄유돌근 근골막피판을 사용하여 안전하게 재건한 사례이다. 55세 남자 환자가 기도를 침범한 갑상선 유두상암으로 내원하였으며 기도침범은 윤상연골(둘레의 약 30%)과 4개의 기관연골(둘레의 약 50%)을 해당하는 넓은 부위였다. 수술 전 기관절개술을 시행하여 주위 기관연골의 상태가 좋지 않아 단단문합술 시행 후 문합부 파열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하여 흉쇄유돌근 근골막피판을 이용하여 재건하기로 계획하였다. 갑상선 절제술, 경부림프절 절제술, 흉쇄유돌근 근골막피판을 이용한 재건술을 시행하였으며 수술 후 12일째 별다른 문제없이 퇴원하였다. 환자는 수술 후 현재 22개월 간 기도 협착 등의 별다른 합병증 없이 지내고 있다. 흉쇄유돌근 근골막피판은 성문하부나 기관지 전외측벽의 비교적 큰 결손부를 재건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 PDF

슬괵건을 이용한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using Hamstring Tendons)

  • 김형수;김주학;지정민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23-131
    • /
    • 2005
  • 슬개건과 슬괵건은 전방 십자 인대의 관절 내 재건에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는 조직이다. 일반적으로 중앙 1/3 슬개건 이식을 전방 십자 인대 재건에 있어서 gold standard로 생각하고 있다. 그러나 Harder와 Aglietti 등의 저자들에 의한 최근의 연구들은 슬관절 안정성과 기능적인 결과에 있어서 중앙 1/3 슬개건 이식과 슬괵건 이식 사이에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점을 발견하지 못했다. 이 연구의 목적은 문헌 고찰을 통하여 (1)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에 있어서 슬괵건 이식의 역사를 고찰하고 (2)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에 있어서 슬괵건 이식의 사용에 대한 적응증을 논의하고 (3) 연합 이중 고리의 반건양건과 박건 이식을 사용하여 $RIGIDFIX^{circledR}$$INTRAFIX^{circledR}$로 고정하는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의 술기를 묘사하고 (4) 슬괵건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의 결과를 재검토하는 것이다.

  • PDF

안면부 다한증에서 흉부교감신경차단수술 후 발생한 보상성 다한증에서 흉강경을 이용한 흉부교감신경 재건술 (Thoracoscopic Sympathetic Nerve Reconstruction with using an Intercostal Nerve Graft after Thoracoscopic Sympathetic Clipping for Facial Hyperhidrosis)

  • 함석진;이두연;강청희;백효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1권6호
    • /
    • pp.807-810
    • /
    • 2008
  • 안면부 다한증으로 클립을 이용한 흉부교감신경 차단술을 시행받고 이 중 심한 보상성 다한증을 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2005년 10월부터 2006년 8월까지 클립 제거와 늑간 신경을 이용한 흉부교감신경재건수술을 시행하였다. 재건 수술은 4명 모두 흉강경하에 가능하였으며 3번째 늑간 신경을 박리하여 신경집을 제거하고 클립으로 손상된 교감신경의 근위부와 원위부의 신경집을 제거한 후 늑간신경을 밀착시켜 fibrin sealant를 도포하여 연결하였다. 재건 수술 후 만족도는 외래 추적 관찰 또는 전화 설문으로 평가하였다. 1명의 환자는 먼저 흉부교감신경을 차단한 클립을 제거하였으나 28개월 동안 증상의 호전이 없어 다시 흉부교감신경 재건술을 시행하였다. 다른 3명의 환자는 클립 제거와 재건술을 동시에 시행하였다. 2명의 환자는 수술 후 보상성 다한증의 호전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나머지 2명의 환자는 보상성 다한증의 호전이 관찰되었다. 신경집을 제거한 늑간 신경을 신경집을 제거한 흉부 교감신경 손상부위의 원위부와 근위부에 밀착시키는 재건술은 흉부 교감신경 수술 후 발생하는 보상성 다한증을 호전시키는 유용한 치료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더 많은 증례와 장기간의 추적 관찰이 필요할 것이다.

후방 및 후외측 불안정성 슬관절 (Posterior and Posterolateral Instability of Knee Joint)

  • 이동철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27-136
    • /
    • 2003
  • 슬관절 후외측방 불안정성은 전방 및 후방 십자인대 손상과 흔히 동반되며 이 동반된 손상은 심각한 기능적 불안정성 및 관절 연골의 변성을 초래하게된다. 슬관절의 후외측 구조물 손상이 있는 경우 적절한 치료 없이 전방 및 후방 십자인대 재건술만 시행할 경우 십자인대 재건술이 실패하게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자세한 이학적 검사, 방사선 검사를 시행하여야하며 하지정열축 및 보행 형태를 평가하여야 한다. 급성 후외측방 구조물의 3등급 단독 손상이나 동반 손상에서는 3주이내에 일차 봉합을 하거나, 봉합이 어려울 경우 보강수술이나 재건수술을 시행하는 것이 좋다. 후방 및 후외측방 재건술에서 다양한 수술 방법 중 적절한 방법을 선택하여 동시에 시행하거나 2단계 재건수술을 가능한 빨리 시행하여야 한다. 만약 만성 후외측 불안정성 슬관절에서 내반 정열이 있으면서 varus thrust gait가 있는 경우 외측 연부조직 재건술로는 해결하기가 어려우므로 먼저 외반 절골술을 시행하여야 하고 약 6개월 뒤에 후외측 불안정성을 재평가하여 이후 연부조직 재건술을 시행할 수도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