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재가노인서비스

검색결과 125건 처리시간 0.026초

노인장기요양보험 재가간호서비스에 대한 방문간호사의 인식 (A Study of Nurses' Perception of the Visiting Nursing Services of Long-term Care Insurance)

  • 권민영;임지영;이영휘;김화순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5-18
    • /
    • 201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nurses' perception of visiting nursing services of long-term care insurance. Method: The descriptive survey study involved 188 nurses selected by the convenient sampling of visiting nurses who participated in professional education sessions. Results: Of the 188 participants, 149 (79.3%) were aware of long-term care insurance. Awareness of aspects of long-term care services was 78.7% for facility service, 77.7% for ordinary visiting care service, 85.1% for visiting nursing service and 77.7% for visiting bathing service. Concerning visiting nursing service provision, the majority of the study subjects considered nurse-aid not to be the appropriate route for delivery of services including nasogastric tube exchange, tracheostomy tube management and stitch removal. Conclusion: Continuous evaluation and research on the standards and requirements of the nursing workforce is needed to secure and maintain the high quality of visiting nursing services. Exhaustive studies concerning task division and workforce separation according to nursing services type and level of difficulty should be done to develop the appropriate job description for visiting nursing service staff.

치매노인의 부양실태와 재가복지서비스 욕구조사 (An Investigation on the Status of Care-giving for the Demented Elderly and Desire for In-house Care Services)

  • 이수일;김기태;정인숙;박남희;이경남;김명수;김정순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385-396
    • /
    • 200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tatus of care-giving for the demented elderly and to find out the need of community in-house care services-day care services, short-term care services, home help services, and home care services. Method: It analyzed the data of 186 old people having dementia, and caregivers. Data were collected for five days, in September 2002. Results: The caregivers were mostly women and the burden for the care giving was high (87.5%). They used community care services, that is, day care services (26.5%), home care services (21.6%), home help services 00.8%), short-term care services (6.2%). Caregivers' age and education level were significant factors in the demand for day care services. Caregivers' education level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 in the demand for short-term care services and home help services. Caregivers' age and education level were significant factors in the demand for home care services. Conclusions: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financial aid for the active implementation of daytime protection for dementia-patients under medical treatment at home and to promote patients' recovery. It is necessary to enhance home help services and home care services, and to establish many day care centers and short term care centers. Through this, it will prevent caregivers from becoming burnt out due to the burden of care giving.

  • PDF

노인간호 교과목 교육현황 분석 - 미국노인간호역량 중심으로 - (Analysis of the educational status of gerontological nursing subjects - Focusing on the American gerontological nursing competency-)

  • 박성지;김은미;유명환;강지숙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4호
    • /
    • pp.583-590
    • /
    • 2021
  • 본 연구는 전국 간호대학의 노인간호 교과목의 운영 현황을 파악하고 미국간호대학협회에서 제시한 19개 노인간호역량이 교과목에 반영되어 있는지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한국간호교육평가원 인증을 받은 간호교육기관 198개로 각 대학의 홈페이지, 학과 홈페이지, 대학편람, 입시관련 정보, 교육과정표, 강의계획서를 인터넷 검색엔진을 통한 자료 수집 후 분석하였다. 수집된 노인간호 교과목의 강의계획서와 가장 최근의 교과과정표를 확인하여 SPSS 23.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노인간호 교과목 운영 현황은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여 제시하였고, 강의계획서에 나타난 교육 내용은 미국간호대학협회(AACN)가 제시한 19개 노인간호 역량을 기반으로 분석하였다. 185개 기관(93.43%)는 노인간호 교과목을 운영하였고, 98개 기관(49.49%)은 이론과목, 84개 기관(42.42%)은 이론과 실습을 병행하였다. 전공필수인 경우 52.92%, 4학년 1학기 편성이 27.84%, 2학점 운영 53.54%로 가장 많았다. 강의계획서를 분석한 결과, 의사소통 관련 교육역량이 포함된 경우가 40%이었고, AACN 노인간호역량으로 '노인에게 효과적인 정보제공능력', '윤리적이고 비강압적인 의사결정', '억제대 비사용 케어', '급성기 재가 장기요양서비스 간 안전하고 효과적인 전환'은 교육내용에 없었다. 결론적으로 현재까지 노인간호 교과목은 질병중심으로 교육이 되고 있었고 노인의사소통을 포함한 효과적인 정보제공역량이 반영될 필요가 있다.

재가노인복지서비스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Plan and problem of Home - based services)

  • 허영구;김정숙
    •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781-786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direction of the policy forwelfare of the home - based service by identifying the problem and improvement of the home - based service. In the fast growing society like korea social welfare policy for the home - based service. The core hypotheses, of this research that home - based services canexpand social support network and improve life satisfaction were aceptedor rejected, In other words, while the home - based services expanded the lold people social support network through the activities of social workers and volunteers, these services considering the findings of the this study, we can conclude that the current home - based services provided by social welfare have an effect upon increasing old peoples social support. But these services have no effect upon improving life satisfaction index.

  • PDF

저소득층 재가 노인을 위한 급식서비스 프로그램 평가 (Evaluation of Home - Delivered Meals Service Program for Home - Bound Elderly with Low Income Class)

  • 양일선;채인숙;이해영;박문경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6권2호
    • /
    • pp.57-70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 a) evaluate the nutrition status of one hundred and forty five recipients and one hundred and forty nine non-recipients of home-delivered meals service program, b) examine the teeth status of recipients of the program, c)analyze the nutritional values of meals, and identify the attitudes of recipients and non-recipients were found. Four meals offered by Nambu seniors center were met the recommended dietary allowances in calorie, protein, and vitamin C. The mean score of meal satisfaction was 3.7 out of five-point scale.

  • PDF

노인장기요양보험 재가방문간호 서비스 개발과 확대 방안 (Expansion Strategy of Home Visit Nursing Services of Long-Term Care Insurance)

  • 임지영;김주행
    • 가정∙방문간호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41-249
    • /
    • 2020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possible ways to expand the services of home-visit nursing through a review of the progress, achievements, and obstacles of home-visit nursing; a pilot project of an integrated home-service; the application of the Omaha System; as well as a case analysis of providing home-visit nursing services. Method: An integrated review was conducted using various source materials, including laws, previous studies, and a case analysis. Results: In case analysis of providing visiting nursing service, rehabilitation nursing, end-of-life nursing, and dementia care showed high nursing needs. It was necessary that the various home visit nursing services in the intervention area of the Omaha System, administrative services, case management, and center operation activities were all included in the payment systems of long-term care insurance. Conclusion: In the future, home visit nursing services of long-term care insurance should be reborn in the form of a center for integrated case management in the community, which would set long-term goals until the time of a client's death and encompass the realm of human rights for health, quality of daily life, and a dignity of life.

죽음준비교육이 요양보호사의 DNR에 대한 태도, 피로, 수면의 질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Death Education Program on Attitude to DNR, Fatigue, Quality of Sleep of Generic Care Worker)

  • 김선예;오청욱;박윤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0호
    • /
    • pp.647-654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요양보호사 대상의 죽음준비교육이 요양보호사의 DNR에 대한 태도, 피로, 수면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는 데에 있다. 연구의 설계는 비동등 대조군 실험 연구이다. 본 연구는 총청도 J시의 재가노인장기요양서비스기관에서 2016년 02월 15일부터 5월 30일까지 시행하였다. 본 연구에 대상자는 참여를 동의한 재가노인장기요양서비스기관의 요양보호사 총 4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은 각각 21, 22 명씩 무작위로 나누어 배정하였다. 실험군(n=21)을 대상으로 매 회 2시간, 주 1회, 8주간에 걸쳐 죽음준비교육을 실시하였다. 실험 처치 효과는 DNR에 대한 태도, 피로, 수면의 질의 변화를 8주간의 중재 전, 후에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하여 측정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t-, chi-square, Fisher Exact- and paired t-tests를 사용하였다. 8주간의 중재 후 실험군의 DNR에 대한 태도 (P<.001), 수면의 질(P<.001)이 유의하게 증가된 반면, 피로(P<.030)는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은 요양보호사에게 효과적인 간호 중재로 보인다. 그러므로,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의 현장 적용 가능성을 고려할 수 있겠다.

치매환자 부양자부담과 생활권 내 소규모 주·야간 돌봄 서비스 모델 (Caregiver Burden of Patients with Dementia and Day Care Center of Small Size Model within a Zone of Life)

  • 나승권;박은주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428-438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치매환자 부양자의 부담을 감소시키기 위해 장기요양보험 제도의 틀 안에서 새로운 서비스 개발을 제시하는 것이다. 분석 자료로 선행연구와 2012-2013년에 걸쳐 조사된 Caregivers of Alzheimer's Disease Research(CARE study)를 사용하여 부양자의 특성과 부담을 조사하였다. 치매환자의 주부양자 부담은 신체적, 심리적, 경제적 측면뿐만 아니라 다양한 측면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연령, 경제력, 건강상태, 사회적지지 등 여러 요인이 부양부담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또한 부양자가 우울증을 겪을 위험도 높게 나왔다. 이에 부양자에 대한 제도적 지원이 필요한 시점에서 2008년부터 시행된 노인장기요양보험 제도를 활용하여 본 연구에서 추가적인 서비스를 제시하였다. 현 제도의 재가서비스 확장 모델로 소규모 주 야간보호서비스(가칭)를 신설하는 것으로 9인 이내의 규모로 주거지에서 5분 이내 거리에 개설을 하고 치매환자에만 국한시켜 질환에 대한 전문성을 높이고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켜 기존의 주 야간보호서비스와 소규모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과 차별화하는 것이다.

지역사회 거주 허약 노인의 우울, 주관적 건강상태가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depression and perceived health status on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community dwelling frail elderly)

  • 권상민;권려원;이혜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2호
    • /
    • pp.742-751
    • /
    • 2020
  • 본 연구는 지역사회 거주 허약 노인을 대상으로 우울, 주관적 건강상태, 건강증진행위 정도를 알아보고, 건강증진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D지역 재가 방문 서비스를 받는 대상자 중 65세 이상의 허약 노인 164명이었으며, 2020년 1월부터 2월 21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WIN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징 분석,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분석, Scheffe test 사후 검정, 상관관계 분석, 단계적 다중회귀분석(stepwise 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울은 10.67점, 주관적 건강상태는 6.71점, 건강증진행위는 2.59점으로 나타났고, 건강증진 하위영역별 점수는 영양이 2.83점으로 가장 높았고, 스트레스 관리가 2.06점으로 가장 낮았다. 건강증진행위에 대한 우울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주관적 건강상태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대상자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연령, 교육수준, 우울로 나타났고 이 변인들은 건강증진행위를 73.6% 설명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우울이 허약 노인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규명함으로써 허약 노인이 장애 노인으로 진행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우울 중재가 포함된 다양한 프로그램 통한 허약 노인의 건강증진행위를 지속시키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우리나라 가정방문간호의 현황과 향후 과제 (Current State and the Future Tasks of Home Visit Nursing Care in South Korea)

  • 박은옥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44권1호
    • /
    • pp.28-38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보건소 방문건강관리사업과 노인장기요양보험의 방문간호, 의료기관의 가정간호사업 등 가정방문간호사업 현황을 살펴보고, 향후 발전과정을 모색하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를 위하여 각 가정방문간호사업의 관련 법령, 통계자료, 지침과 안내서, 연구논문과 학술대회 자료집 등을 검색하여 관련 문헌을 고찰하였다. 연구결과 보건소 방문건강관리사업은 지역보건법에 근거하여 주로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간호사에게 의해 비용부담 없이 제공되고 있으며, 2017년 12월을 기준으로 1,261,208명 등록 관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소 방문건강관리사업 등록 대상자는 흡연율, 걷기 실천율, 혈압조절율, 혈당조절률 등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나, 건강행위와 질병관리 측면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있고, 비용-편익이 있다고 보고되었다. 노인장기요양보험에서의 방문간호는 노인장기요양보험법에 근거하여 간호사 또는 간호조무사에 의해 재가장기요양기관에서 방문간호를 제공하고 있으며, 시간당 정해진 수가에 따라 비용을 받고 있는데, 2017년에 전체 요양급여비의 0.2%만이 방문간호로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가장기요양보험 방문간호 이용자는 비이용자에 비해 의료비도 더 적게 쓰고, 입원일도 적다고 보고되었다. 의료기관 가정간호는 의료법에 근거하여 2명 이상의 가정간호사(가정전문간호사)를 고용한 의료기관에서 의사의 처방 하에 가정간호서비스를 제공하는데, 2017년 460명의 가정간호사가 가정간호서비스를 제공하고, 전체 의료비의 0.038%가 가정간호비용으로 지불된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가정방문간호 유형은 관련법이나 인력, 사업 대상이 다르지만, 서비스 이용자의 건강관리에 효과가 있고, 비용-편익이 상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가정방문간호를 발전과 활성화를 위해 세 개 유형의 가정방문간호 서비스가 통합적으로 제공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근로 조건의 개선, 가정방문간호서비스 제공인력기준이나 방문간호수가 체계의 개선과 같은 법령의 개정 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