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장흥

Search Result 290,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Uepji(town chronicles) of Jangheung in the Chosun Dynasty (조선시대 장흥(長興)의 읍지(邑誌) 특성에 관한 연구)

  • Ahn, Hyeonju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44 no.3
    • /
    • pp.429-446
    • /
    • 2013
  • As a pioneer study to figure out the compilation of Uepji(town chronicles) of Chunnam region in the Chosun Dynasty, it is analyzed the Uepji of Jangheung. It could help systemize the study of the compilation of Uepji about other town in Chunnam region. Through the examination of exisisting Uepji of Jangheung and actual reviewing of books, characteristics of them were explored systematically. As the result, there were 10 kinds of Uepji which were compiled from the period of King Youngjo to 1910. The system of Uepji was based upon "the new version of Dongkukyeochiseungram" and was added up new items. Characteristics of Uepji of Jangheung are : 1) There were 3 titles of Uepji which were described by focusing on each county(坊), specially 'Inmul(personage)' shows their strong community spirit and enlightening by neo-Confucianism. 2) There were 2 titles of Uepji which were described by focusing on the military, we can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military and circumstantial intelligence. 3) There were 4 titles of Uepji which were compiled by government, they reflect the spirit of age. Also the result of comparison with other town chronicles like "Hamju-Chi", "Kimhae-Uepji", it shows Jangheung was the one of major military town.

Selection of domestic shiitake strains suitable for the cultivation in Jangheung region (국내 표고(Lentinula edodes) 주산지인 장흥지역에 적합한 국산 원목품종 선발)

  • Jeong, Sang-Wook;Jang, Eun-Kyoung;Jang, Hye-Mi;Ha, Neul-I;Choi, Sun-Gyu;Ban, Seung-Eon
    • Journal of Mushroom
    • /
    • v.19 no.4
    • /
    • pp.347-352
    • /
    • 2021
  • In this study, to select suitable shiitake strains in Jangheung region for domestic strains of Lentinula edodes for log cultivation, a total of five different Korean strains(Chunbaegko, Sanjo 303ho, Poongnyunko, Baekhwahyang, Soohyangko) and two Japanese strains (Mori 290, Moriyujiro) were selected and a cultivation test was conducted to select suitable strains. As a result of the yield, Sanjo 303ho produced 40.9 kg, which was superior to 39.2 kg for Mori 290 and 37.7 kg for Moriyujiro. As for the quality characteristics, it was confirmed that Baekhwahyang had a hemispherical shape, and high quality fruit bodies. In conclusion, Sanjo 303ho, which has excellent production, and Baekhwahyang, which is advantageous for producing high-quality shiitake, were selected in Jangheung region for domestic strains.

푸른 바다와 별이 있는 곳-장흥정남진천문과학관

  • 한국천문연구원
    • KASI NEWSLETTER
    • /
    • s.62
    • /
    • pp.16-17
    • /
    • 2007
  • 대한민국 사람들에게 관광지로 널리 알려진 정동진은 서울의 광화문에서 정동쪽으로 내달으면 도착하는 나루터이다.그리고 북쪽으로는 한반도에서 가장 추운 지방인 중간진에 이르게 되고, 반대로 남쪽으로 는 전라남도 장흥군에 이르게 되는데, 이곳이 바로 정남진이다.바다와 별을 함께 즐길 수 있는 이곳에 전남지역 최초의 천문대인 장흥정남진천문과학관이 위치하고 있다.

  • PDF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Tamjin River basin by the verification of the Jangheung Dam discharge (장흥댐 방류량 검증을 통한 탐진강 유역 유출 특성 변화 연구)

  • Park, Jun Su;Seol, Myung Su;Kim, Sung 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351-351
    • /
    • 2022
  • 현재 우리나라는 기후변화가 심화되고 강우의 불확실성이 높아지면서 자연 재해와 홍수 피해가 증가하고 있고 이에 따른 댐이나 보 운영의 고도화가 요구되고 있다. 특히 댐의 경우 다양한 원인에 의해 상류와 하류에서 홍수 피해가 빈번하게 발생하기도 하며, 방류 조절에 따라 담수 유입으로 인한 해수의 염도 변화나 수질 오염 등의 결과를 야기시킨다. 따라서 효율적인 댐 운영을 위해서는 방류량에 대한 지속적인 검증 측정이 필요하며, 유역 내 상하류 유출 특성 변화에 대한 모니터링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탐진강 유역에 위치한 장흥군(별천교)관측소와 장흥군(예양교)관측소를 대상으로 가동보 운영과 식생영향, 취수영향, 공사에 따른 수위-유량관계 변화를 분석하였다. 탐진강 최상류에 위치한 장흥군(별천교)관측소의 경우 2013년 이후 유량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아 2021년 하류 가동보 수문 운영 조건과 수중식생 영향, 취입보 운영 조건에 따른 변화를 모니터링하고 유량측정을 실시하여 수위-유량관계의 변동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탐진강 하류에 위치한 장흥군(예양교)관측소는 기존 설치되어 있던 상하류 가동보에 대해 철거공사가 금년 진행되었으며, 이에 따른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유량측정을 통해 흐름 특성 변화를 분석하였다. 추가로 저평수기와 홍수기에 장흥댐 수문 방류량에 대한 검증 측정을 수행하여 고시된 방류량과 실측된 방류량을 각각 적용하여 탐진강 유역 유출 특성 변화에 대해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탐진강 유역 하천 내의 보 운영과 식생, 취수, 공사영향에 따른 모니터링과 유량측정을 통해 신뢰도 높은 수위-유량관계곡선식을 개발하였고, 이를 통해 생산된 유량자료는 정확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장흥댐 수문 방류량에 대해 실제 측정된 방류량을 유출 분석에 적용한 결과 향상된 결과를 보였으며 정상적인 상하류 관계를 나타냈다.

  • PDF

국내외 표고 균주의 단백질 및 아미노산 함량

  • 고영우;임승빈;진성우;김경제;하늘이;정희경;윤경원;최유진;서경순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2.09a
    • /
    • pp.116-116
    • /
    • 2022
  • 표고는 단백질, 무기질, 비타민과 같은 영양소가 골고루 함유되어 있고 독특한 맛과 향기를 가지고 있어 식용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들 성분 중 단백질 및 아미노산은 생체기능 및 대사에 관여하는 영양소이며 풍미와도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산표고균주와 수입표고균주의 조단백질과 아미노산 함량을 조사하였으며, 국내산표고균주 4종과 수입표고균주 4종의 함량을 비교하였다. 국내산표고균주의 조단백질 함량은 25.36~34.11%, 수입표고균주는 18.91~28.70%로 나타났으며, 아미노산은 16종류의 아미노산이 분석되었다. 국내산표고균주와 수입표고균주의 구성아미노산 함량은 각각 8,318.66~17,672.59mg%와 9,828.10~16,944.87mg%였다. 국내산표고균주와 수입표고균주의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각각 466.78~899.82mg%와 407.12~669.34mg%로 나타났다. 국내산표고균주와 수입표고 균주의 필수아미노산 함량은 각각 27.92~37.67%, 33.74~61.59%로 확인되었다. 수입표고균주의 필수아미노산이 국내산표고균주에 비하여 높은 비율을 나타내었으나, 표고의 아미노산 함량이 차이가 있어 수입산표고균주의 필수아미노산 함량이 국내산보다 높다고 보기는 어렵다. 이러한 결과는 표고의 산업화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표고의 영양학적 지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여지며, 추후 더 많은 시료를 수집하고 분석항목을 다양화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진행할 예정이다.

  • PDF

원목표고 수확시기별 기능성성분 함량 비교

  • 임승빈;김경제;진성우;고영우;하늘이;정희경;윤경원;최유진;서경순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2.09a
    • /
    • pp.117-117
    • /
    • 2022
  • 표고(Lentinula edodes (Berk.))는 담자균강 주름버섯목 느타리과 잣버섯속에 속하는 식용버섯으로 봄에서 가을에 걸쳐 주로 재배하며, 예부터 식용 및 약용으로 널리 이용되어져 왔다.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일본, 중국 등의 동남아시아 지역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미국, 캐나다 및 네덜란드 등의 서구 나라에서도 관심이 높으며, 전 세계적으로 중요한 식용 버섯으로써 주목을 받고 있다. 표고는 혈중 콜레스테롤 수준의 감소, 항당뇨, 혈압조절, 면역증강, 간 보호 및 비만 억제 등의 다양한 생리활성이 밝혀져 있어 현대인의 식생활에서 수요가 더욱 증가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버섯의 생육은 크게 균사의 생장과 자실체의 생육으로 구분되는데, 표고 균사의 배양 기간이 86~123일 정도 소요되며, 자실체의 생육 기간은 10~20일 정도로, 균사의 배양 기간이 훨씬 긴 것으로 나타났다. 버섯의 생육 단계에서 영양, 생식, 생장은 모두 수분으로부터 비롯되며, 생육 조건, 조도, 환기 정도 등에 따라 버섯의 품질은 상당한 차이를 보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봄에 수확한 표고는 대가 짧고 단단하며 감칠맛이 풍부하며, 가을에 수확한 표고는 대가 길고 육질이 부드럽고 비교적 강수량이 높아 수분함량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현상은 표고의 수확 시기에 따라 기후, 온도, 강수량 등의 차이가 이화학적 특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되어, 본 연구에서는 봄과 가을에 각각 표고를 수확하여 이화학적 특성 및 기능성성분을 비교하였다. 분석결과 가을에 수확한 표고가 봄에 수확한 표고에 비해 수분, β-glucan, ergosterol 그리고 ergothioneine 함량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나, 소재 개발 시에 경제적 경쟁력을 고려했을 때 가을에 수확한 표고 활용이 유리할 것으로 고려된다.

  • PDF

현장탐방 - 기지개 켜는 오리산업…계열업체 [다솔]을 찾아서

  • 한국오리협회
    • Monthly Duck's Village
    • /
    • s.190
    • /
    • pp.10-12
    • /
    • 2019
  • 오리사육 휴지기제가 종료되고 본격적인 오리사육이 시작됐다. 가정의 달을 비롯해 복(伏) 특수까지 올해 오리산업에 거는 기대는 남다르다. 휴지기제 종료후 기지개를 키고 있는 오리 계열업체를 찾아 오리산업의 향방을 가늠해 보고자 한다. 그 첫 번째 계열업체는 다솔. 다향오리로 소비자들에게 친숙한 농업회사법인 다솔은 오리의 부화, 사육, 도축, 가공, 유통, 판매까지 모든 과정을 수직계열화로 이끌고 있는 오리 전문 기업이다. 전남 장흥군 장흥읍에 위치한 본사를 비롯해 장흥을 주임으로 지역 기업으로 꾸준한 성장을 하고 있는 장흥의 효자 기업이기도 하다. 특히 다량오리를 필두로 한 인기로 시장점유율이 꾸준히 증가, 지난해 시장점유율 34.67%를 달성하면서 우수 오리기업으로 명성을 얻고 있다. 다솔은 가장 깨끗하고 위생적인 오리고기로 새로운 식문화를 창출한다는 사명 하에 대한민국의 오리고기 문화를 이끌어가는 건강한 식탁의 리더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 PDF

The Recreational Benefits of the Jangheung Multi-purpose Dam (장흥댐의 레크리에이션 편익 추정)

  • Park, So-Yeon;Lim, Seul-Ye;Ryu, Moon-Hyun;Yoo, Seung-Hoon
    •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 /
    • v.31 no.3
    • /
    • pp.79-97
    • /
    • 2015
  • This paper attempts to quantify the economic value of the recreational benefits from the Jangheung dam. To this end, the contingent valuation (CV) survey was administrated to a sample of randomly selected 1,000 households from the national population. We used single-bounded model as a method of eliciting the willingness to pay (WTP) and applied a spike model to deal with zero WTP responses (72.5%) from the CV survey. The respondents were asked to state whether to pay a given amount through additional higher income tax once a year for next ten years. The results show that the annual recreational benefits of the Jangheung dam are estimated to be 1,348 won per household, which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the 1% level. Expanding the value to the national population gives us 24.9 billion won per year.

Comparison of Lignocellulose degradation properties of Lentinula edodes varieties (표고(Lentinula edodes) 품종별 목질계 섬유소 분해효소 특성 비교)

  • Jeong, Sang-Wook;Jang, Eun-Kyoung;Choi, Seul-Ki;Seo, Kyoung-Sun;Jeong, Hee-Gyeong;Lee, Won-Ho;Ban, Seung-Eon
    • Journal of Mushroom
    • /
    • v.20 no.1
    • /
    • pp.29-33
    • /
    • 2022
  • In this study, five different Lentinula edodes cultivar (Chamaram, Sanbaekhyang, Sanjo 713ho, Sanjo 715ho, Sanjo 718ho) were evaluated for their ability to decolorize Remazol Brilliant Blue R (RBBR) in MEB medium, respectively. Chamaram and Sanjo 713ho decolorized RBBR rapidly in MEB medium within 3 and 5 days. The activities of manganese peroxidase (MnP) and laccase were determined on the MEB medium with and without lignin. Sanjo 713ho resulted the highest ligninolytic enzyme activities on incubation day 1, indicating of 1,213 U/mg of MnP activity and 1,421 U/mg of laccase activity.

Effect of Fermented Natural Materials Mixtures with Lactobacilluse acidophilus on Anti-obesity Activity (유산균 발효 천연소재 혼합물의 항비만 효과)

  • Jeong, Hee Gyeong;Bak, Ok Ran;Kim, Kyung Je;Jin, Seong Woo;Koh, Young Woo;Im, Seung Bin;Ha, Neul-I;Seo, Kyoungsun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9.04a
    • /
    • pp.103-103
    • /
    • 2019
  • 최근 식생활의 변화로 인한 동물성 포화지방, 고칼로리 식품의 섭취 증가와 운동 부족, 스트레스 등의 여러 요인으로 비만인구 비율이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유자, 석류등 천연소재 추출액에는 플라보노이드 성분이 풍부하여 항암, 항산화, 항염증, 항미생물 활성 등 생리활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발효유로 대표되는 유산균 제품은 장 건강, 항산화 등 다양한 장점을 지니고 있으나, 짧은 유통기간 및 냉장유통 등 보존성에 있어 취약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천연 추출물을 주원료로 Lactobacillus acidophilus로 발효한 천연소재발효물을 활용하여 항비만 효과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유산균 발효유의 풍미 유지하면서 유통기간을 늘릴 수 있는 가공법을 개발하고 건강식품 소재 개발 및 산업화를 통하여 국민의 건강 증진을 도모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천연소재 프로바이오틱스 발효물을 제조하여 세포독성, NO생성 억제능, 항비만 활성, 관능검사를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천연소재 추출물 및 천연소재추출발효혼합물을 각각 10, 50, 100, $500{\mu}g/mL$의 농도로 처리한 시험구들의 세포생존율을 측정한 결과 가장 고농도인 $500{\mu}g/mL$의 농도에서 각각 96.2, 95.1, 97.3, 96.2, 98.1, 97.0 %로 확인되어, 높은 수준의 안전성이 확인되었다. 천연소재 추출물 및 천연소재추출발효혼합물의 항염증효과를 분석하고자 수행한 Nitrite 생성저해 효과를 분석한 결과, NO 생성율은 $500{\mu}g/mL$의 농도에서 각각 98.1, 98.2, 96.2, 97.3, 91.2, 95.3 %로 확인되어 시험구 D의 항염증 활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동일한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lipid accumulation은 각각 100.0, 99.1, 98.2, 98.5, 87.6, 91.8 %로 나타나 D시험구와 E시험구에서 지방세포 분화억제효과가 확인되었다. 관능검사 시행 결과, 농축비율에 따른 관능적 기호도는 5 brix > 3 brix > 1 brix > 10 brix 순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