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장애인 수

Search Result 6,230,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Digital Library for the Visually Handicapped (시각장애인을 위한 전자 도서관의 설계 및 구현)

  • 백현기;최숙영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 /
    • v.9 no.2
    • /
    • pp.51-58
    • /
    • 2004
  • Today, according to the rapid growing of internet, many homepages have been developed and given us useful information. Since most of these homepages do not consider the visually handicapped, it is very difficult for them to access information from internet. Although several hompages provide services for the visually handicapped now, they are very insufficient to provide information for them. Therefore, this research aims to develop a digital library for the visually handicapped so that they could easily get to the digital library without restriction of time and space, search information from it and use it. The system for digital library supports an interface through which the visually handicapped could easily and conveniently use it, which is developed with TTS based speech syntactic technique.

  • PDF

A Study on the Space Composition of the Public Library for the Disabled Persons: With a Special Regard to the Public Libraries in Daegu Metropolitan City (장애인을 위한 공공도서관의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 대구광역시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

  • Oh, Dong-Geun;Yoon, Su-Jin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40 no.1
    • /
    • pp.157-179
    • /
    • 2009
  • This study tries to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 for the plan to improve the information gaps of the disabled persons. After examining the legislation of the facilities for the disabled persons and former studies, it proposes some suggestions for the standards of unique space in public library, convenience facilities and traffic line. It also analyzed present conditions of five public libraries in Daegu Metropolitan City already having separate rooms and facilities for the disabled persons. The result shows that arrangement of disabled person's space and general convenience facilities are insufficient. Some facilities for disabled persons seems to be equipped just to suffice the standards. Detailed legislation or guidelines concerning facilities for them should be developed as soon as possible.

  • PDF

A Study of Ergonomic Design of the Environment for the Disabled with Wheelchair (wheelchair를 사용하는 장애인에 대한 인간공학적인 환경 설계에 관한 연구)

  • Kim, Dae-Sik;Kang, Kyong Sik
    • Journal of the Korea Safety Management & Science
    • /
    • v.2 no.1
    • /
    • pp.27-39
    • /
    • 2000
  • 국제연합은 1975년에 "장애인 권리선언"을 결의하였고, 1981년을 "세계 장애인의 해"로 결정하였다. 우리나라에서도 1981년 6월 5일, 법률 제 3452호 "심신장애자 복지법"을 제정, 공포하였고 1989년 12월 30일 "장애인 복지법"으로 개정하였다. 한편, 미국에서는 1990년 7월 26일 George Bush 전 대통령이 "The American with Disabilities Act of 1990(ADA)"에 서명하였다. 이 법은 인종, 성별, 출신지, 그리고 종교에 관계없이 장애자에게도 같은 시민 권리 보호를 제공한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장애인을 위해 설계된 건물이나 시설물들이 그렇게 많지 않다는데 그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신체 장애인에게 “동등한 생활의 질”을 제공하자는 데 있다. 그에 따른 목표로써 신체장애에 대한 구분이 이루어 졌고, 이동 수단으로서의 wheelchair에 대해 조사되었고, ADA accessibility guidelines가 분석되었다. 또한 인간공학과 감성공학으로 재활공학에 접근하였으며 가상현실이 이용되는 현 추세도 연구되었다. 결론적으로, 제시된 guidelines를 이용하여 가상현실의 세계에서 충분히 simulation을 마친 후에 장애인을 위한 좀더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건물 또는 시설물 그리고 wheelchair를 제작할 수 있으면 한다.과학적이고 합리적인 건물 또는 시설물 그리고 wheelchair를 제작할 수 있으면 한다.

  • PDF

인쇄물에 도형형태 표시하는 음성변환용 바코드 법제화 추진

  • 박성권
    • 프린팅코리아
    • /
    • v.7 no.9
    • /
    • pp.104-107
    • /
    • 2008
  • 최근 장애인들의 사회참여가 점점 늘어나고 있는 상황에서 장애인들에 대한 관심과 권리보호에 대한 사회적인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국민들의 생활 및 의식수준이 높아지고, 사회복지 및 사회안전망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장애인들의 복지 문제가 중요한 이슈로 대두되고 있으며, 세계 최고 수준의 IT기술을 활용하여 장애인들의 복지를 향상하는 방안이 적극적으로 전개되고 있다. 이에 한나라당 김소남 의원은 시각장애인, 노인 등을 위해 문자를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인쇄물 등에 도형 형태로 표시하는 '음성변환용 바코드' 정의를 규정하고, 이를 지원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보장에 관한 법률 개정안을 지난 7월 24일 대표 발의했다. 이와 관련 음성변환용 바코드의 대해 알아보았다.

  • PDF

People-장애인 문화에 날개를 달다

  • Korea Association of Social Workers
    • Social Workers
    • /
    • no.1 s.45
    • /
    • pp.24-27
    • /
    • 2006
  • 최근 문화를 반영한 듯 이례적으로 장애인분야에도 이러한 코드의 움직임이 일고 있다. 문화지대 ‘장애인이 나설 때(이하 장때)’ 홈페이지를 들어가 보면 현란한 일러스트로 이쁘게 꾸며진 곳에서 건장한 청년이 기타를 치고 있는 모습을 볼수 있다. 그러나 유심히 살펴보면 그건 기타가 아닌 목발임을 알 수 있다. 커다란 무언가를 우리에게 알려주는... 부드러운 이미지 속에서 풍겨 나오는 의미 있는 강한 느낌. 바로 그것이 ‘장때’가 가지고 있는, 그리고 우리에게 보여주려는 것이다. 더군다나 이곳을 운영하는 사람은 얼마 전 한 장애여성의 누드 기획으로 사회적 이슈가 되었던 박지주 사회복지사. 이번 기회를 통해 장애인 문화에 대한 그녀의 생각과 ‘장때’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보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interface design of the homepage builder focusing on the domestic portal sites (시각 장애인 홈페이지 빌더의 인터페이스 디자인에 관한 연구)

  • Ha, Tae-Hyeon;Baek, Hyeon-Gi
    • 한국디지털정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6a
    • /
    • pp.497-503
    • /
    • 2005
  • 본 연구의 목표는 시각장애인을 위해 음성 인식, 음성 합성 기술을 이용하여 일반인과 마찬가지로 개인의 특성에 맞는 홈페이지를 구축하게 하는 웹 사이트 자동 생성 툴을 개발하는 것이며, 음성매일, 개인 일정, 주소록, 북마크 등을 생성 할 수 있는 개인정보관리기능은 물론 개인 맞춤 정보 생성 기능을 제공하며, 시각장애인들이 원하는 정보를 스스로 제공하여 일반인과 공유함으로써 의사소통의 통로 역할을 담당 할 수 있게 한다. 웹 사이트 자동 생성 툴에서는 기본적인 명령어를 음성인식으로 처리할 수 있게 지원하며 음성출력이 지원되는 TTS를 추가적으로 제공한다. 본 연구개발을 통해 시각장애인들이 사회적 소외감을 없애며 정보화 시대에 동등한 위치에서 생활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 PDF

A Implementation of Trouble Management System for Cluster System (클러스터 시스템을 위한 장애관리 시스템의 구현)

  • Sung Jin-Woo;Lee Young-Joo;Son Joon;Jang Ji-Hoon;Lee Sang-Dong;Kim Joong-K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6.05a
    • /
    • pp.465-468
    • /
    • 2006
  • 클러스터 시스템의 노드 수가 수백에서 수천노드와 같이 대규모라면 시스템 관리에 많은 수고가 필요하다. 특히 노드 수가 많으므로 발생하는 빈번한 장애에 대하여 체계적인 장애관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대규모의 클러스터 시스템 환경에서 노드에 장애가 발생하는 시점부터 복구까지 체계적인 장애관리를 위하여 장애관리시스템(Trouble Management System, TMS)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본 시스템으로 장애를 체계적으로 관리하여 효율적인 클러스터 시스템 관리에 도움이 될 것이다.

  • PDF

Rule-based network fault self-recovery system (규칙 기반의 네트워크 장애 자기 복구 시스템)

  • Lee, Jae-Wook;Ahn, Seong-Jin;Chung, Jin-Woo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dustrial and Applied Mathematics
    • /
    • v.10 no.1
    • /
    • pp.83-93
    • /
    • 2006
  • This paper introduces rule-based reasoning (RBR) based self-recovery system for network fault in ubiquitous computing. This system is fault management system for fault recovery of rule-based for self-recovery in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 We proposed rules of network fault recovery applied the system as a distinguished reason of network fault. And, in this paper, the network fault self-recovery system proved the rules that applied each situatpion through the simulation.

  • PDF

A Navigation System for Visually Impaired Persons Using Smart Phone (스마트폰을 이용한 시각장애인 길안내 시스템)

  • Kim, Chang Gi;Lee, Sang Do;Seo, Jeong M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4.07a
    • /
    • pp.405-406
    • /
    • 2014
  • 도시의 복잡성이 증가할수록 장애인의 외출은 많은 제약을 받는다. 특히 시각장애인들은 사물뿐만 아니라 사물 주위의 환경을 인지할 수 없어 야외 활동을 하는데 있어 수많은 환경적 어려움을 겪는다. 하지만 현재 국내의 야외 환경은 시각장애인을 포함한 장애인들의 활동을 보조하는 정책적, 수단적 시설이 많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시각장애인의 야외 활동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길안내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한 시스템은 시험을 위해 한국교통대학교 증평캠퍼스에 적용하였다.

  • PDF

Dobot-based Omok platform using Voice recognition (음성인식을 활용한 Dobot 기반 오목 플랫폼)

  • Park, Sang-Yong;Lee, Kang H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0.07a
    • /
    • pp.19-21
    • /
    • 2020
  • 해가 갈수록 여러 요인들로 인하여 장애인 인구는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장애인들을 위한 주변기기의 발전은 미흡한 상황이며 더욱이 장애인들의 여가를 위한 놀이문화, 기술들은 더욱 발전이 더딘 상태이다. 여가 활동은 장애인의 행복에도 직관적인 영향을 끼치는 중요한 부분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장애인들 중 손과 같은 신체를 움직이기 어려운 중증 지체장애인을 위한 오목 플랫폼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구현한 오목 플랫폼은 음성인식을 기반으로 사용자가 오목알을 착수하고 싶은 좌표를 음성으로 입력시키면 Dobot 즉 로봇암을 통하여 착수점에 오목알을 착수한다. 실험에선 Google Vocie To Text API를 Python 환경에서 사용하여 사용자의 음성입력을 받았으며 Dobot Studio의 Script에서 입력된 음성 값을 오목판에 1대1로 맵핑시켜 정확한 위치에 착수할 수 있도록 구현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 결과를 응용하면 오목에만 국한되는게 아닌 다양한 보드게임을 구현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