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장식요소

검색결과 123건 처리시간 0.027초

캐주얼 티셔츠의 디자인 요소가 소비자 감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Design Factors from Casual T-shirt on Sensibility of Consumer)

  • 남혜진;이주현;조길수
    • 감성과학
    • /
    • 제6권4호
    • /
    • pp.51-60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캐주얼 티셔츠의 디자인을 평가하는 감성 요소를 도출하고, 이것이 소비자 감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그 결과를 토대로 효과적인 캐주얼 티셔츠 디자인 프로토타입을 제시하였다. 캐주얼 티셔츠 디자인에 대한 소비자 감성의 주요 하위차원으로는 맵시,평범성, 활동성의 요인이 도출되었다. 또한 캐주얼 티셔츠의 collar형태, 장식유형, 로고의 위치와 크기 그리고 인구통계학적 특성이 소비자 감성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에 대하여 유의한 차이를 얻었다. 본 연구에서 의미 있는 감성 효과를 나타난 디자인 세부 요소들은, 캐주얼 티셔츠의 디자인 기획 시에 체계적인 평가기준으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서산 부장리 유적 출토 이식(耳飾)의 제작기법 및 위세품적 성격에 대한 고찰 (The Study on Manufacturing Technique and Influential Characteristics of Earrings from Bujang-Ri Site in Seosan)

  • 조현경;조남철;이훈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3권3호
    • /
    • pp.282-305
    • /
    • 2010
  • 서산 부장리 유적에서는 위신재인 관모, 식리 및 장식대도와 함께 다량의 이식이 출토되었다. 이는 서산 부장리 유적이 4~5세기 한성 백제시기의 재지세력의 영역에 포함되는 유적임을 증명한다. 출토된 위세품 중 이식은 백제사 연구에서 관모, 식리 및 장식대도에 비해 종적인 요소로 판단되어 왔다. 서산 부장리 유적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21점의 이식이 출토되었으며 이식의 조형적인 특징과 재료학적 특성을 현미경과 X선형광분석기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이식의 재료와 제작 기법, 그리고 관모, 식리, 장식대도 등 위세품과의 출토 양상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적은 양의 금과 간단한 기술로 제작 가능한 금장이식이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였으며 고도의 기술인 압접법과 높은 세공기술 수준을 요하는 이식, 그리고 금의 순도가 높은 재료를 사용한 이식은 그 양이 적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희소성이 높은 이식이 출토된 유구에서는 모두 위세품인 관모, 식리, 장식대도와 함께 출토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한성 백제가 지방에 대한 지배력을 확장하는 과정에서 금공품에 대한 장악과 지배력을 나타내기 위한 수단으로 삼았다는 것을 감안할 때 서산 부장리 유적에서 출토된 이식 역시 금의 순도 및 제작공정에 따라 피장자의 우월적 위치를 판단할 수 있는 근거가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화장품 패키지디자인의 시각 요소가 MZ세대의 구매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n Effect of Visual Elements of Cosmetic Package Design on Purchasing of MZ Generation)

  • 이주연;김승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2호
    • /
    • pp.383-388
    • /
    • 2022
  • 본 연구는 MZ세대가 선호하는 화장품 패키지디자인의 시각 요소와 그것이 구매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선행연구를 통해 화장품 패키지디자인의 시각 요소를 네이밍, 브랜드 로고, 색채, 타이포그래피, 레이아웃, 일러스트레이션, 소재와 후가공, 의미성, 총 8가지로 분류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설문조사와 1:1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여 MZ세대가 선호하는 구체적인 시각 요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MZ세대는 화려하고 장식적인 스타일보다 깔끔한 구성을 선호하고, 8가지 시각 요소 중 브랜드 로고를 가장 중요하게 생각했다. 또한, 브랜드가 추구하는 가치는 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이지만, 가성비와 같은 선상에서 비교하기는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가 향후 MZ세대를 위한 화장품 패키지디자인의 방향성 제시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보물 제634호 신라 인면 상감 유리구슬의 검증 연구: 디자인과 문화 상징요소를 중심으로 (Verification Study on the Treasure #634 of Silla Face-Inlaid Glass Bead: Focusing on the Design and Cultural Symbolic Elements)

  • 최미숙;이효정;나영주
    • 감성과학
    • /
    • 제26권4호
    • /
    • pp.71-92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구슬 문양 디자인의 상징성과 의미 및 신라문화와의 연관성, 유리구슬 제조의 제반 여건을 조사하여 예술성과 기술성이 뛰어난 신라 인면 상감 유리구슬의 신라 자체 제작설을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으로는 디자인 분석 이외에 고문헌과 신화, 유리 유물, 유리 및 금속의 생산기술, 실크로드 교차로의 특성 등을 조사하였으며 홍산문화 유물, 다른 상감 유리구슬의 사례들을 수집하였다. 마한, 부여, 신라인은 구슬을 보배로 삼고 장신구에 애용하였는데, 구슬 속의 인면상 상투와 금관장식, 새와 꽃나무의 모든 디자인 요소가 김알지, 김수로, 박혁거세, 주몽 등 위인들의 난생설화, 북방의 새 및 신수 숭상 등과 밀접하였고, 디자인 요소와 배치가 신라의 다른 유물에서도 동일하게 표현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구슬과 인면상의 기원은 홍산문화였으며 하가점하층문화의 고조선 북표에서는 구슬용 석범이 발견되었다. 또 경주 식리총의 상감 유리구슬과 일본 토간모리 고분의 인면 상감 유리구슬의 출토는 신라 자체 제작설을 확증시켜주는 것이다. 백제인이 5세기 일본에 유리구슬 제작소를 둔 사실은 신라인이 인도네시아 자바에도 제작소를 두었음을 의미한다. 신라와 밀접한 관계였던 인도네시아 자바는 신라의 해상실크로드 교차로, 원석 및 노동력 제공지이고 유리구슬의 소비 지역이나 기원지는 아니었다. 이에 구슬에 대한 신화와 전통을 보유하고 머리에 상투와 금관을 착용하였으며, 금속 및 상감 기술 등 난이도 높은 기술을 보유했던 신라가 자체 제작한 것이 틀림없다.

기능주의 관점에서의 이토 토요의 공간 및 건축 사례 분석 - 소규모 주거 공간 사례를 중심으로 - (Analysis on Space and Architecture Examples of Toyo Ito from the Viewpoint of Functionalism - Focusing on Small-Sized Residental Spaces -)

  • 한현석
    • 디자인융복합연구
    • /
    • 제16권6호
    • /
    • pp.59-74
    • /
    • 2017
  • 루이스 설리번은 "형태는 기능을 따른다"라고 주장했다. 기능이라는 것은 사용자가 제품이나 공간을 사용함에 있어서 가장 원초적으로 필요한 요소 중에 하나이며, 공간 및 건축 분야에서의 "기능"은 그것의 형태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렇게 "기능주의"의 관점에서 기능주의가 추구하는 중요한 요소들이 어떻게 그것의 형태와 관계를 갖는 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토요 이토의 작품을 선정하였다. 1970년 초반에서 현재까지 진행된 그의 작품 중에서 공간 및 건축의 구조, 재질 및 공간의 형식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소규모의 주거 공간 프로젝트를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공간 및 건축의 구조와 표피를 재질의 특성으로 분류하고 공간의 개방성의 강도에 따른 분류를 진행하였다. 결과적으로 기능을 추구하는 공간 및 건축은 기능이라는 요소를 부각하기 위해서 전체적인 장식을 배제하고 그 기능의 효율성을 최대한으로 추구할 수 있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토 토요의 소규모 주거 공간에서 발견되는 특징은 형태의 정형화 및 단순화, 공간의 개방성, 각 요소의 다목적성 활용성으로 정의할 수 있다.

기하학적 형태를 활용한 테이블웨어 디자인개발 연구 (A Study on the Tableware Design using Geometric Pattern)

  • 유유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8호
    • /
    • pp.475-480
    • /
    • 2014
  • 대상을 상징하는 기호로서의 의미를 포함하고 있는 기하학적 패턴은 조형표현에 있어서 20세기 이후 예술가들의 작품을 통해 재구성되어 현대적인 이미지를 나타내는 중요한 모티브가 되고 있으며 패턴의 단순하고 간결한 형태는 외형뿐만 아니라 문양 장식을 통하여 새로운 아름다움을 창출하고 있다. 기하학적 패턴의 문양장식은 단순화되고, 이성적이며 현대적인 세련미와 잘 어울린다. 이렇듯 기하학적 패턴을 활용한 문양은 팔각형, 반원, 삼각형, 사각형 등의 기하학적 도형들을 이용하여 단순한 미로 현대인에게 만족감을 준다. 또한, 기하학적 패턴은 규칙적이고 단순명료하여 시각적으로 강렬한 효과를 유도하며 운동감과 속도감이 주는 역동성으로 3차원적 공간감으로 확장되기도 한다. 이로 인해 주목성이라는 특성이 나타나는데 테이블웨어에서도 이러한 기학학적 패턴을 이용한 디자인은 강한 주목성으로 시각적인 즐거움을 준다. 또한 이는 우연성의 요소에 근거해서 만들어지는 형태가 아니기 때문에 객관화될 수 있으며 반복적인 재현이 가능하다. 이러한 반복구성은 테이블웨어를 만드는 많은 디자이너에게 영향을 줄 수 있으며 테이블웨어 디자인을 더욱 더 고급화하여 도자 산업에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할 것으로 생각된다.

오페라 무대의상의 현대적 재해석 - 로코코시대의 장식요소를 중심으로 - (Modernistic reinterpretation of stage costumes in the opera - Focusing on the decorative elements of the Rococo mode -)

  • 김해연;박선경;이은정
    • 복식문화연구
    • /
    • 제25권4호
    • /
    • pp.458-475
    • /
    • 2017
  • Opera is the most comprehensive musical art. In recent years, contemporary opera worlds has seen a variety of attempts to reinterpret operas of the past in a modern light. This has resulted in a dramatic change in the production of musical style and stage art.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modernize and streamline opera costumes by extending the scope of existing stage costume design, through the re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of the decorative elements in the Middle Age of Rococo, such as ruffles, frills, shirring, embroidery, buttons, etc., in such a way as to effectively communicate the moods of an opera to a modern audience. The costumes of the Rococo period were reinterpreted in a modern way, with the following results. First, in this work, the male main character was played by a bass to express the image of an older, lazy, rich man. A key element in modernizing the stage costume was selection of the costume color in such a way as to visually represent the voice tones sung by the major characters in the opera. Second, the maid hat and aprons were decorated with frills by applying the curves of Rocaille decoration from the Rococo period symbolize the role of the maids. This represented the distinction between occupation according to class and status at that time, while also expressing the ideals of modern feminine beauty. This makes for more comfortably-worn costumes, and is economical for production expenses. In the future, the stage costume design for classical opera will need to be revised consideration of a modern viewpoint.

웨딩드레스의 디자인 요소와 지각자 성별에 따른 인상형성 연구(제2보) -소재, 소매와 장식유무를 중심으로- (A Study on Impression Formation According to Design Elements of wedding Dresses and Perceivers Gender(Payt II) -Emphasis on Materials, Sleeves, and Trimmings of wedding Dresses-)

  • 이미연;이명희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6권8호
    • /
    • pp.1216-1227
    • /
    • 2002
  • The objective in the part H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aterials, sleeves, trimming, and perceivers gender on impression formation. Stimuli consisted of 13 color photographs of a female model wearing a wedding dress which were manipulated according to clothing cues. A semantic differential sale of 4 dimensions was used. These were attractiveness, neatness, femininity, and prettiness. Samples were 312 males and females. For the effect of sleeves, there were significant main effects in attractiveness, femininity, neatness, and prettiness. Three-quarters lace ruffled sleeves increased the perception of positive attractiveness, femininity, and prettiness. Flounced sleeve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erception of neatness. Long-tight sleeves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perception of attractiveness, femininity, and prettiness. Sleeveless dresses increased the perception of negative neatness. There was an interaction effect between sleeves and the perceivers gender on neatness. For the onぉ of material, there were significant main effects in neatness, femininity, and prettiness. Solid cloth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erception of neatness and negatively on prettiness. The combination of lace and solid cloth increased the perception of positive femininity and prettiness. lace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perception of neatness. Satin increased the perception of negative femininity. There was an interaction effect between material and perceivers gender on prettiness. The main effect of trimmings was its effect on prettiness. Ribbons increased the perception of positive prettiness. Not having any trimmings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perception of prettiness. There was an interaction effect between timings and the perceivers gender on neatn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 that image perception of wedding dresses becomes different according to the materials, details, and perceiver's gender.

TV 뉴스센터 스튜디오의 실내 공간에 관한 특성 비교 (The Comparison of the Characteristics Regarding Interior Spaces for TV News Centers)

  • 김동식;성이용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4권1호
    • /
    • pp.197-206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haracteristic interior spaces for TV news center studio. Based on eight channels including public and comprehensive programming broadcasting stations the method for this research is to make differentiate existing relevant literature by creating analysis items for interior spaces through various case studies as well as find out characteristics of spatial forms, colors, materials, decorations, and etc.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ly, spatial form of desk and ceiling are similar shapes but floor and wall are different comparing with public and comprehensive programming broadcasting stations. Secondly, preferred color for floor and ceiling is black, for wall and desk are blue and gray. Thirdly, various materials are preferred between public and comprehensive programming broadcasting stations. Fourthly, Flat and elevated floors are preferred as well as space and logos of broadcasting station are preferred for background images as decoration elements. Lastly, Soffit ceiling, desk accommodating more than 4 people, spotlight for public broadcasting stations, and architectural lighting for comprehensive programming broadcasting stations are preferred.

랜드스케이프 요소를 활용한 실내공간디자인 연출유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types of landscape elements in interior space design)

  • 우지연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5권2호
    • /
    • pp.48-55
    • /
    • 2006
  • As environmentally friendly life styles become more popular these days, the landscape elements like plants, water, stone etc. which used be considered as just simple interior props, now become the main design concept that decides the whole image of space.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tudy the various understandings and approaches on the applications of the landscape elements which are known as the most friendly and positive ways to approach the senses of users, among any other methods and techniques for environmentally friendly elements. The application types of landscape elements in interior space design are as follows; (1) incorporate the surrounding landscape elements. Keeping existing landscape elements, incorporate them into interior elements of beauty; (2) install a transition space with landscape elements; (3) green interior planes ;(4) use landscape as the main design concept; (5) use landscape as decoration elements. Many of landscape spaces incorporated into the interior are often built in a hurry and in low qualities without much consideration of the users and the space. This study intends to set a standard for the application of landscape elements in space design, after collecting various cases that applied the landscape elements in interior space, by categorizing the successful and effective applications into applicable patter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