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장식미

Search Result 66,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A Comparative Study of Landscape Characteristics on Bridges in Palaces of Korea and China - Focusing on the Chosun Dynasty and Ming and Qing Dynasties - (한국과 중국의 궁궐 내 교량에 관한 경관특성 비교 연구 - 조선시대와 명·청시대를 중심으로 -)

  • Zhang, Fu-Chen;Lee, Ai-Ra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 /
    • v.37 no.3
    • /
    • pp.1-12
    • /
    • 2019
  • A bridge is a structure constructed on water or in the air for convenient passage. Compared to other buildings, the building materials and structures of bridge required unique functions to cross the space. It depends on the productivity of the building, the level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the ecological environment of the building site. Also, it has important relationship with functions such as politics, military, economy, and life. Most of the academic research on bridges is focused on research in the field of bridge-building technology, so the study on the landscape aesthetics and history of bridges is lacking. Against this backdrop, the study will be valuable as a accumulation of both countries' understanding of bridge types, history and culture, as well as technical and aesthetic data, by analyzing the bridges located within the palaces of Korea and China. The research method is to analyze the bridge through field survey and literature analysis.. First, the bridges of royal palace of Korea and China are to be classified quantitatively as physical shapes, landscapes, and decorations by comparing the materials, forms, landscapes, and decorative culture of bridges. Second, characteristics, common points, and differences are extracted by classifying bridges of both countries. Also, the results are discussed based on the physical environment or cultural background. This would be worth cross-referencing in the building technology and aesthetics of the two countries. For the first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result, main materials of Korean and Chinese palaces are stone. However, the bridge in China's royal palaces is also focused on wood. Second, in terms of form, the bridges in the royal gardens of Korea and China are all based on the beam bridge. However, the specific form, ratio, style of the beam bridge, and airspace of arched bridge are very different. Third, most of the connection methods are focused on the over bridge. It values the convergence with the surrounding landscape.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area and location of water, the bridge in the Korean palace is more focused on the convergence of the surrounding buildings and plants, while the bridge in the Chinese palace is more concerned about the harmony of hydration. Fourth, the decoration places importance on the artistry and aesthetics of both the bridges in Korea and China. There is a difference in style in the same type of decoration due to culture.

唐诗中的唐人服饰

  • 杨忠
    • Journal of the Daesoon Academy of Sciences
    • /
    • v.16
    • /
    • pp.217-226
    • /
    • 2003
  • 당시(唐詩)에는 당나라 사람들의 생활상이 많이 반영되고 있으며, 이러한 기록들은 많은 부분에 있어서 역사서적의 내용과 일치하기도 한다. 그러므로 우리는 당시를 통하여 당나라의 제도 뿐만 아니라 당나라 사람들의 생활도 광범위하게 이해할 수 있다. 본 고에서 우리는 당시에서 언급되고 있는 당나라 사람들의 복식에 있어서 몇 가지 문제들을 간략히 서술하기로 한다. 당대 초기에는 수나라 복제를 따랐으나, 태종(太宗)과 고종(高宗)을 거치면서 품급에 따라 복색을 구체적으로 구분하였으며, 여자들도 남편의 복색을 따랐다. 황색을 황제의 복색으로 한 것은 고종 총장 원년(668)에 시작되었다. 고종 상원(上元) 원년(674)에는 또 관원의 품급에 따라 색깔의 짙고 옅음을 엄격히 구분하였을 뿐만 아니라 요대의 장식물 재료에도 상세한 규정을 함으로써 신분의 차이를 더욱 구체적으로 구분하였다. 관복의 색깔로 등급의 차이를 구별한 외에도 5품 이상의 관원에게는 어부(魚符)를 담는 어대(魚袋)를 차고 다니게 함으로써 귀천을 분별하였고, 조정의 부름에 응하는 부신(符信)으로 삼았다. 어부는 물고기 모양으로 관등에 따라 금(金)·은(銀)·동(銅)으로 만들어 몸에 지니고 다녔다. 관원들은 갓의 모양으로도 귀천을 구분하였다. 귀족을 갓을 썼으나 평민은 쓰지 못하였고, 문관과 무관도 갓을 각기 달리하였다. 당시에는 또 여자들의 복식과 관련한 묘사도 상당히 보인다. 당나라 때의 여자들은 한(漢)나라 진(晋)나라 때와 마찬가지로 일반적으로 윗옷과 치마를 입었다. 치마는 가슴에서 동여매었고, 그 길이도 매우 길어 땅에 3촌(寸)까지 끌렸다. 여자들은 대개 상의(上衣) 밖에 이른바 반비(半臂)라는 반소매의 옷을 입었다. 본래는 궁녀들이 일하기 편리한 복장으로 입었는데, 후에 점차 여자들의 평상복이 되었다. 여자들의 눈썹과 머리형에 관해서도 당시에는 많이 묘사되고 있다. 여자들의 머리장식과 화장 그리고 몸의 각종 장식구에 대해서도 당시에는 상당히 언급되고 있다. 당나라 여자들의 복식에 있어서 가장 큰 특징은 국내 소수민족 및 외국의 복식에 영향을 받아 "호복(胡服)"을 즐겨 입었다는 점이다. 이른바 "호복"은 서역만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주변국들의 복장도 가리킨다. 여자들이 쓰는 모자와 신발에도 많은 변화가 생겼다. 당나라 중원지역에는 "만화(蠻靴)"를 신는 여자들이 생겨났으며, 이것은 호복의 하나로 호화(胡靴)라고 칭하기도 하였다. 여자들의 미와 상대적인 자유에 대한 추구는 당시에 강렬히 나타나고 있으며, 이것은 당나라 여자들의 사상이 점차로 개방화되고 있음을 시사해 준다. 이러한 개방의 과정은 당나라 사회의 개방과 사상문화의 교류·진보와 밀접히 관련하는 것이다. 그래서 당나라 사람들의 복식에 대한 당시의 묘사는 우리가 당나라 사회와 사람들의 생활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단서가 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 PDF

Application of Traditional Decoration Techniques to the Korean Costume (한국복식에 활용된 전통장식기법)

  • Lee, Hae-Young
    •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 /
    • v.13 no.1
    • /
    • pp.145-152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traditional decoration techniques in the Korean costume.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were used to collect and investigated the traditional decoration techniques used in the related literatures and museum catalogu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broad and back stitching are fundamental stitching, which used to Nubi and Keki. Top stitching applied broadly to the Korean costume, for example, Jergori, Wonsam, Jeonbok, Beosun, Bojagj and so on. The expression techniques for top stitching were one, two or three stitches. When the top stitching was used as colorful stitches, they were more decorative. The Zatmulim was used for the decorative effect on the seam line because it was triangular shaped and became more effective by changing the rotor and size. Sunmulim was used on the narrow line such as the seam lines of Gergori and Chima. The bakchi decoration was imitating a bat shape, had a meaning of bringing the goodness and gave the tiny and elaborated image. It was used to the neckline of Geogori, seam line of Chima, Pungcha Bazi and so on. Sattgi was used to attaching the bottom of two stiff fabrics adopting for Beosun, Ayam and Norigae. When it used colorful strings, the more decorative effect was added. The knot for button used the fabric instead of buttons and applied to the Cheonlik, Gergori. The aesthetic values of the traditional decoration techniques in the costume were both natural beauty and practicality with creativity.

  • PDF

A Study on Fashion Design Using Geometric Pattern (기하학적 패턴을 활용한 패션디자인 연구)

  • 김신우;금기숙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
    • v.52 no.1
    • /
    • pp.53-67
    • /
    • 2002
  • 자연을 분석함으로써, 얻어진 기하학적 패턴은 이미 자연의 질서를 포함하고 있는 논리적이고 합리적인 기본형이기 때문에 간결하며 시각적으로 명쾌감을 준다. 이러한 기하학적 패턴은 복식 디자인에 있어서 20 세기 이후 여러 디자이너의 작품을 통해 재구성되어 현대적 이미지를 나타내는 중요한 모티브가 되고 있으며, 다양한 기법과 재료로 형성화하여 도입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복식의 문양, 실루엣, 디테일에 사용되고 있는 기하학적 패턴을 연구함으로써 기하학적 패턴의 새로운 조형가치를 고찰하였다. 먼저 기하학의 용어 정의를 하였고 기하학적 패턴의 유형과 표현 기법을 분석하고 정리하여 현대 패션에 나타난 기하학적 패턴의 조형미와 그것을 바탕으로 패션 이미지를 추론해 보았다. 현대 패션에 나타난 기하학 패턴을 분석해 보면 유형으로는 첫째, 기하하적 문양으로 복식디자인에 있어서 주로 평면적인 형태로 많이 나타나지만, 크기가 다르고 동일한 기하학적 패턴을 조합시킴으로서 평면적인 형태에 공간감을 부여하기도 하며, 같은 기하학적 패턴의 표면이라도 배치구조에 의해 직선 혹은 사선으로 지각되므로 전혀 다른 이미지를 주었다. 또한 현대 패션에 나타난 기하학적 패턴이 종류는 세로 스트라이프, 가로 스트라이프, 격자 문양, 원, 사선 스트라이프, 마름모, 사각형, 삼각형 등의 순서로 많이 나타났다. 둘째, 색채는 단색의 복식에 강한 대비가 이루어지는 색상으로 표현되어 역동감과 유연한 운동감을 나타났다. 셋째, 기하학적 실루엣으로 단순한 라인의 형태를 나타내거나 입체적이고 부조적인 형태로 구성되어 전체적인 실루엣으로 사용되어 강한 조형감각을 보여주는데 원형을 이용한 실루엣이 가장 많았으며 사각형을 이용한 실루엣, 삼각형을 이용한 실루엣 순서로 나타났다. 넷째, 기하학적인 디테일로 복식의 어느 한 부분에 장식적으로 사용되거나 입체적 형태로 부출 되어 부조적인 느낌을 주는데 소매에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앞여밈, 칼라, 밑단, 주머니 순서로 장식되었다. 다섯째, 현대 패션에 표현된 기하학적 패턴의 표현기법으로는 프린팅, 퀼팅, piece기법, 패치워크, 엮기, 꼴라쥬, 아플리케 순서로 많이 나타났다. 위의 분석을 토대로 기하학 패턴을 활용한 디자인에 내재된 조형의지는 다음과 같이 정리되었다. 첫째, 기하학적 패턴이 지닌 단순성과 경직성을 완화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패브릭을 조합시켜 입체적인 표면효과로 시각적인 착시효과를 극대화하였다. 둘째, 표현기법은 입체파적 표현주의의 특성의 하나로 복시에 사용되는 소재의 왜곡으로 설명할 수 있으며, 새롭고 실험적인 소재의 도입으로 인해 의외성과 부조화를 유발시키는 통시에 유희직인 일면도 지니는 일종의 그로테스크를 나타냈다. 이상에서 정립된 조형의지를 바탕으로 현대 패션에 나타란 기하학 패턴은 절제된 단순함과 명확성으로 단순미가 유추되었고 강한 색상대비로 인한 시각적 집중효과로 주목성을 가지며 재현이 가능하므로 반복성이 유추되었다. 그리고 표준영역이 없는 창의적 표현으로 풍부한 독창성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내재된 패션 이미지를 분석해 보면 정확함과 차가움의 의미를 지닌 이지적 이미지와 우주의 질서를 반영하는 상징적 이미지, 복잡한 자연으로부터 간결한 형태로의 경향성이 이루어낸 인공적 이미지를 느낄 수 있었으며, 미래적 이미지와 전통적 이미지의 상반된 개념의 이미지를 같이 내포하고 있음을 추론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현대 패션에 표현된 기하학적 패턴은 복식을 조형예술 분야로 확실히 인식시키고 발전시키는 데 중요한 촉매제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또한 많은 디자이너들에게 창조적 욕구를 불러일으키고 영감을 주는데 중요한 모티브를 제공하고 있다.

Ornamented Dagger Sheath from Gyerim-ro Tomb No.14, Gyeongju: On the Joining Process of Gold Granules (경주 계림로 14호분 장식보검 금립의 접합방법에 관한 고찰)

  • Yu, Heisun
    • Conservation Science in Museum
    • /
    • v.16
    • /
    • pp.4-13
    • /
    • 2015
  • In most gold objects crafted using the granulation technique that have been thus far discovered in the Korean Peninsula, granules were joined using a soldering alloy of gold and silver. However, it was recently revealed through SEM-EDS analysis performed on the ornamented dagger sheath from Gyerim-ro Tomb No.14 in Gyeongju that the gold granules were joined to the surface of this sheath using an entirely different technique. The gold granules on the Gyerim-ro dagger sheath are evenly sized and shaped, the surface has a dendritic texture. Dendritic textures are a characteristic feature of metal alloys, not observed in pure metals. As a matter of fact, the gold granules were made of a ternary alloy of 77wt% Au, 18wt% Ag and 4wt% Cu. Due to this component, the alloy has a melting point below 1000℃ (approximately 980℃), which is significantly lower than 1064℃, the melting temperature of pure gold. This makes it possible to join the gold granules directly to the surface of the sheath by briefly heating them to high temperature, without the use of soldering or any other media. When examined through SEM image, the surface of the sheath showed no traces of soldering, it suggests that the granules were joined through unaided fusion.

A Study on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Korean Knit Fashion (니트 패션의 미적 특성에 관한 연구 - 패션 잡지에 나타난 국내 니트 디자인을 중심으로 -)

  • Choi, Hae-Joo
    • Journal of the Korea Fashion and Costume Design Association
    • /
    • v.10 no.3
    • /
    • pp.61-71
    • /
    • 2008
  • Knit wear with comfortable feeling of wearing and various coordinations gives new values to the modern people, who seek activities and individualities, and the demand for knit wear is on the rise. This article aims to analyze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Korean knit fashion. Fashion photographs from leading monthly fashion magazines in Korea from 2005 to 2007 had been analyzed. The knitting techniques, and designing characteristics and aesthetic values of Korean knit fashion had been studied. The major conclusions of the study are the following: 1. Korean knit fashion applies various knitting techniques. The knitting techniques used in Korean knit fashion are hand-knitting technique, crochet techniques, lace techniques, plain stitch, rib stitch, and purl stitch technique. 2. Decorations by trimming and matching with different textile materials are used more frequently than decorations by knit material itself. Decorating methods include fringes, spangle, beads, Rhine stone, motif and embroidery decorating. Matching with different textile materials made contrasting decoration effect. 3. Patterms by knitting structure and by arranging colors are applied. Cubic effect by knitting structure patterns, and geometric patterns by arranging colors are emphasized. 4. The formative feature beauties are natural beauty, feminine beauty, and decorative beauty. Korean knit fashion has developed creative and decorative designs through various knitting techniques and decorating techniques. As individual activities may be increased in the future, the designs and applications of knit fashion may be diversified.

  • PDF

A Study on the Women's Hair Jewelry of Chosun Dynasty and a Plan for its Cultural Contents (조선시대 여성수식장신구 연구 및 문화콘텐츠화 방안)

  • Chung, A 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483-484
    • /
    • 2010
  • Accessories originated from men's ornamental instinct in the beginning as a body ornament. Women's accessories in the Joseon Dynasty have splendid structure and rich symbolism, so they are enough to be a target of the study for being contents of Korea's cultural archetype. Traditional accessories are the foundation of excellent formative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due to the extreme beauty of crafts. This study aims to develop archetype of excellent formative factors by making traditional accessories digitalized for perpetuation in order to apply them to the culture industry. In addition, it is to prepare the educational foundation by reinterpreting traditional accessories in a modern way. Therefore, this researcher intends to develop constituents of traditional accessories by means of digital images and suggest digital contents methods of accessory techniques by dividing constituents, techniques, materials, symbolic meaning, and attire and wear.

  • PDF

현대패션에 응용된 후프(Hoop)에 관한 연구

  • 정경희;배수정
    • Proceedings of the SOHE Conference
    • /
    • 2003.10a
    • /
    • pp.77-77
    • /
    • 2003
  • 본 연구의 목적은 후프(hoop)의 기원 및 변천과정을 고찰해보고 시대별로 후프의 유형을 분류한 후, 포스트모더니즘 이후 더욱 다양해진 후프가 현대패션에서 어떻게 응용되고 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후프의 역사적ㆍ미적 가치를 재인식하여 오늘날 복식디자인에 창조의 영감을 줄 수 있는 하나의 모티브를 제시하는데 있다. 후프가 발생하였던 르네상스시대에는 신 중심에서 인간중심으로 사고가 변화하면서, 복식에 있어서도 인간의 신체미를 과시하려는 의도로 인체의 실루엣을 과장ㆍ확대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속옷의 중요성과 역할에 따른 심미적인 기능이 복식에 절대적으로 필요하였고, 뿐만 아니라 기교적인 면에서 속옷에 요구되는 장식성은 어느 시대보다 절실하였다. 그 결과 겉옷이 확대되고, 이에 따라 속옷도 인체를 크게 보일 수 있는 후프가 고안되었다. 후프는 스커트를 부풀리기 위해 철사나 고래뼈 등을 세공하여 만든 테를 넣은 속치마를 말한다. 16세기 중엽 스페인에서 유행한 종형의 파딩게일(farthingale)을 시초로, 영국과 프랑스에서는 드럼형의 휠 파딩게일(wheel farthingale)과 오쓰뀌(hausse col)가 유행하였다. 17세기 초기에는 후프를 착용한 16세기 복식이 유행하였으나, 1625년 이후 슬림한 스타일의 17세기 복식이 유행하자 후프의 착용은 점차 쇠퇴하였다. 18세기에는 파니에(panier)가 유행하여 옆을 부풀린 스커트의 실루엣을 형성하였고, 19세기에는 크리놀린(crinoline), 벗슬(bustle)이 유행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Tableware Design using Geometric Pattern (기하학적 형태를 활용한 테이블웨어 디자인개발 연구)

  • Ryu, Yu Li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2 no.8
    • /
    • pp.475-480
    • /
    • 2014
  • They are used as a symbol representing some meaning of an object. Geometric patterns in the formative arts have been recasted by artists and used to express modern images. Simple shapes of geometric patterns create beauty with their outward appearance and decorated patterns. The simpleness of decorated patterns go with restrained, rational, and modern concepts. The patterns decorated with geometric patterns use geometric figures such as octagon, triangle, quadrangle, etc. and they give satisfaction to modern people. They are also regular and simple, so they can create impactive visual effects and three-dimensional space can be created with these dynamic patterns. Therefore, attractiveness of shape which gives enjoyment is also found in tableware design using geometric patterns. Using geometric patterns in tableware design is not based on a chance factor, so it is possible to objectify and reproduce the patterns. These repetitive designs can influence a lot of designers working on tableware and help improve the tableware designs. It is also considered that those designs are able to create new opportunities to produce a high value product in the ceramics industry.

A study on the hair accessory design for women in Josun (조선시대 여성 머리장신구 디자인에 관한 연구)

  • Shin, Mi-Young;Park, Seung-Chul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2 no.10
    • /
    • pp.525-530
    • /
    • 2014
  • Unique and variety designs are required in the contemporary society as the design has predominant power. National character and identity of traditional culture support it, and it is far more important to reinterpret, succeed and develop unique traditional beauty as the contemporary continues globalization and informatization. Among the accessories of women in Joseon, hair accessories accounted for the majority, and hair style and hair accessories were developed by their status and social hierarchy. But, due to social norm, they were reserved for luxurious accessories and expressed their aesthetic desire with refined and simple accessories. The current period requires cultural identity. In this sense, this study is expected to give a new awareness of our unique identity, new concept of the traditional culture and spreading beauty of Korea by means of new conceptual accessories that can be connected with the preference of the contemporary with the creation of Korean style im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