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장속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3초

장기 정씨(1565~1614) 묘의 출토복식 - 17세기 초 장속과 습의를 중심으로 - (The Excavated Costume front Mrs. Jung(1665~1614)'s Grave - Focused on the Funeral Custom and Shroud in the Early 17th Century -)

  • 이은주
    • 복식
    • /
    • 제53권3호
    • /
    • pp.73-87
    • /
    • 2003
  • The custom and shroud for funeral rites of the early 17th Century based on the excavated costume from the grave of Mrs. Jung (1565 - 1614) are studied in this paper. The grave was located in the Pohang, Kyungbuk Province and was excavated in, April 1999. The remains consist of one set of epitaphs, 33 pieces of costume, 7 pieces of cloths, and 14 pieces of funeral accessaries. From these remains, this study newly reveals : 1) a specific funeral custom for the upper class from the fact that her husband, Ja-Hun Ki, was in the position of Prime Minister for the Chosun government when she died, 2) a fact that women also wore a formal dress with round-shaped collar (Dalryoung) and a concubine could use rectangular tablets ((Hyungbae) with peacock pattern according to her husband's rank, 3) a whole set of shroud used for women in the early 17th Century, and 4) specific construction methods for individual shroud.

중국(中國) 하북성북부(河北省北部) "옥황묘문화(玉皇廟文化)" 연구 (A Study of the Yuhuangmiao culture of the mountain area of northern Hebei in China)

  • 정대영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37권
    • /
    • pp.91-120
    • /
    • 2004
  • 중국(中國) 하북성북부(河北省北部)의 연산산지(燕山山地)와 주변지역은 춘추(春秋) 전국(戰國)시기(B.C770~B.C221년(年)) 북방계청동문화(北方系靑銅文化)의 주요 분포지역으로 분류된다. 최근 군도산(軍都山)일대의 옥황묘묘지(玉皇廟墓地)에서 진행된 대규모 발굴조사를 통하여 그 구체적인 문화성격이 확인되면서 중국학계에서는 이 지역의 문화적 성격을 기존의 주변지역의 청동기문화와는 구별하여 독립적인 문화유형으로 설정하고 있다. 본문(本文)에서는 춘추(春秋) 전국(戰國)시기 하북성북부산지(河北省北部山地)일대의 "옥황묘문화(玉皇廟文化)" 관련 유적들을 분석대상으로 하여 묘제(墓制)와 장속(葬俗) 및 출토유물의 특징을 중심으로 옥황묘문화의 성격과 주변지역 청동기문화와의 다원적인 영향관계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하가점상층(夏家店上層)문화와 오르도스청동기문화 및 연국계(燕國系)중원문화와의 다원적인 형태의 영향관계는 옥황묘문화의 성격과 계기적 발전과정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결과적으로 상징적 형태의 석곽(石槨)이 결부된 수혈식토광묘(竪穴式土壙墓), 구(狗)위주의 동물순장(動物殉葬)과 복면장속(覆面葬俗), 단경고복관(短頸鼓腹罐), 삼족쌍이관(三足雙耳罐), 원병형수단검(圓餠形首短劍), 다량의 중원계청동용기(中原系靑銅容器)와 동과(銅戈) 및 차마구(車馬具)의 공반현상, 호형(虎形) 마형동물패식(馬形動物牌飾) 등으로 대표되는 특징들은 주변지역 북방계청동기문화와는 구별되는 옥황묘문화의 고유한 문화적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옥황묘문화의 시 공간적 범위는 대체로 주변의 하가점상층문화(夏家店上層文化)와 오르도스청동문화 사이로 설정할 수 있으며, 묘제(墓制)와 장속(葬俗) 및 출토유물에 반영된 고유한 문화적 특징과 주변문화와의 다양한 영향관계를 통하여 볼 때 전국중기(戰國中期)이후 연문화(燕文化)에 의해 대체된다.

복합조직강의 부식피트 성장특성에 미치는 식염수농도의 영향 (Influence of Salt Solution Concentration on Corrosion Pit Growth Characteristic of Dual Phase Steel)

  • 오세욱;강호민;김태만;도영민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78-86
    • /
    • 1988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orrosion pit occurrence and growth characteristic of M.E.F.(martensite encapsulated islands of ferrite) dual phase steel was made with a suitable heat treatment of raw material(SS41), a corrosion fatigue test was performed under rotary bending in the salt solution having a concentration from 0.01 wt percent to 3.5 wt percent. The fatigue strength of dual phase steel was remarkably decreased with an increase in concentration of salt solution; approximately from 63% to 80% in case of dual phase steel and from 40% to 71% in case of raw material. Corrosion pit occurred in the martensite phase and fatigue cracks from corrosion pits were selectively propagated in martensite phases. In the observation of corrosion pits at the origin of fatigue cracks, it had been found that corrosion pits were grown into hemispherical pits and a/c(the surface diameter, 2c and the depth, a of corrosion pit)was about 1.0-1.5regardless of the variation of salt solution concentration. The difference of corrosion pit depth growth rate was increased with an increase in concentration of salt solution according to an increase in stress level.

  • PDF

국내 주요 재배 매실 품종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y of Major Cultivars Prunus mume in Korea)

  • 서호진;임순희;송장훈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477-488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주요재배 매실 품종의 총 페놀,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항산화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총 페놀 함량은 $64.13-93.43mg{\cdot}100g^{-1}$으로 품종 간 함량에 차이가 있었다. 이 중 '앵숙'과 '단아'의 함량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또한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한 결과 $6.16-18.57mg{\cdot}100g^{-1}$으로 총 페놀과 같이 품종 간에 유의적인 함량 차이를 보였다. 이 중 '고성'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을 측정한 결과 '남고', '회향실', '장속', '단아', '앵숙'에서 모두 50% 이상 비교적 강하게 나타났다. ABTS 라디칼 소거활성 측정 결과 모든 품종에서 80% 이상으로 전체적으로 높은 소거할성을 보였다. 이 중 '앵숙'이 가장 높은 소거활성을 보였다. 아질산염 소거 능력은 모든 품종에서 50% 이상의 높은 소거능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 되었는데 이중 '남고'(76.03%), '고성'(70.56%), '양로'(70.32%)에서 70% 이상으로 비교적 높은 소거 활성을 보였다.

비선형 광 곁가지를 갖는 고분자계의 증대된 비선형 특성 (Enhanced nonlinearity of nonlinear optical side-chain polymers)

  • 이종하;이황운;원영희;이석현
    • 한국광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25-32
    • /
    • 2000
  • 순수 N-(4-nitrophenyl)-(L)-prolinol (NPP)와 NPP를 곁가지로 갖는 poly(methyl metharcrylate) (PMMA) 및 poly(p-phenlene terephthalates) (PPT) 고분자계의 제 1차 초편극도 $\beta$를 전기장 인가 제 2고조파 발생(EFISHG)방법과 hyper-Rayleigh 산란(HRS) 방법으로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1,1,2,2,-tetrachloroethane 용액속의 순수 NPP와 NPP-PMMA 경우, 두 방법으로 구한 $\beta$측정값은 실험오차 이내에서 유사하였다. 그러나 1,1,2,2,-tetrachloroethane 용액속의 HNPP-PPT 고분자 경우 $\beta$측정 결과는 순수 NPP에 비하여 EFISHG에서는 9.7배 증대되고 HRS에서는 2.4배 증대되었다. 이 결과는 견고한 고분자 주사슬에 비선형 광 발색단을 곁가지로 갖는 고분자계에서는 직류 전기장속에서 발색단들이 고분자 2차 비선형 특성에 상호 보강적으로 기여하여 극성 고분자 사슬에서와 같이 증대된 것으로 해석하였다.

  • PDF

캡슐형 무선 내시경의 양방향 통신을 위한 CPLD 기반의 제어기 설계 및 구현 (CPLD-based Controller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in a Capsule Endoscope)

  • 이정현;문연관;박희준;원철호;이승하;최현철;조진호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447-453
    • /
    • 2004
  • 사람의 장속에서 영상을 획득하여 이를 체외로 전송하는 무선 내시경과 같은 초소형 텔레메트리 캡슐에서는 캡슐의 크기와 전원 공급에 많은 제약을 받는다. 캡슐을 삼킬 수 있는 크기로 제작하기 위해서는 소형의 건전지를 사용하여 캡슐이 소화관 내를 조사하는 동안 안정적인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양방향 통신을 이용한 캡슐의 동작 및 전원 제어가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캡슐형 내시경에서의 양방향 통신을 위한 CPLD (complex programmable logic device) 기반의 제어기를 설계 및 구현하였다. 캡슐 제어기는 체외의 제어기로부터 제어 명령을 전달받아 이를 수행하며 제어 동작의 수행 결과로 장내부의 영상을 획득하여 체외로 전송한다. 설계한 제어기를 컴퓨터 모의실험을 통해 설계사양을 검증하고 이를 CPLD로 구현하였다. 구현한 제어기를 캡슐형 무선 내시경에 탑재하여 동물실험을 수행하였으며 동물 실험 결과 실험 대상 동물의 체내에서 캡슐의 동작과 전원을 제어 할수 있었으며 동작제어의 결과로 장내부의 영상을 획득하여 이를 복원 할 수 있었다.

백제<호선무(百濟胡旋舞)> 버전 콘텐츠 설정연구 - 한류(韓流)의 진원 <백제기악(百濟伎樂)>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etting of Contents in the Baekje Hoseonmu Version - Focused on the Baekje Instrumental Music, the Epicenter of Korean Wave -)

  • 손대환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13-25
    • /
    • 2021
  • <호선무(胡旋舞)>는 악가무적 장르이다. 당시 <호선무>가 백제에서 널리 알려진 기록은 없으나 수양제(隋煬帝)가 장안(長安)으로 <호선무>를 초청한 것은 당시 백제의 인기상품이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백제기악 <호선무> 버전의 콘텐츠를 악가무적 장르로 설정하였고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백제기악>의 공연무대 설정은 중국의 주변국 <기악>의 4방 악의 학설을 분석하여 <백제기악>의 모습을 짐작하였다. 그리고 <백제궁중기악(百濟宮中伎樂)>의 무대를 활용하여 <호선무>의 무대를 설정하였다. 둘째, <호선무>의 춤 동작은 천상과 지상의 두 종류를 통해 동작을 구상하였다. <호선무는> 초당(618~707)에 나타난 제220굴 벽면의 그림과 <동방약사경변>·<서방정토경변>에 그려진 그림으로 설정했다. 셋째, <호선무>는 원안에서 '빠르게 돌아가는 춤'으로 수용하여 백제기악 <호선무>의 춤 동작을 설정하였다. 넷째, 미마지(味摩之) <기악무(伎樂舞)>를 제시하여 <호선무> 춤과 의상을 구체화 하였다. 여기에는 무용수가 여섯 사람이 참여하고 두 차례로 나누어 출연한다. 앞에는 4명, 뒤에는 2명이 배치되며 무용수의 '장속(裝束)'은 사냥꾼의 복장에 도깨비 가면을 쓰고 오른손에 꽃핀 매화나무 가지를 들고 있다. 이를 통하여 <호선무>의 동작과 의상을 좀 더 세부적으로 재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백제기악(百濟伎樂) <호선무(胡旋舞)> 버전의 콘텐츠를 교육·연극·무용·관광 등에서 다양하게 설정하여 활용하면 경제 활성화는 물론, 한류화(韓流化)에 기여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