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장소특정

Search Result 389,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A Study on the Place Specificity of Graffiti Arts Used as Fusion Design Elements in Urban Regeneration (융합 디자인 요소로서 도시재생에 활용된 그라피티의 장소특정성에 관한 연구)

  • Lim, Byung-Woo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5 no.11
    • /
    • pp.455-461
    • /
    • 2017
  • This study aims to clarify how the graffiti arts used i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have come to possess the place specificity as public arts. For the research,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place specificity of graffiti art was explored with the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place specificity of public art, before comparing the difference of graffiti arts as public art applied to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s, depending on their installation location and artist. In addition, the specificity of the place where graffiti artwork was installed and its significance in the context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 were explored. The case study is limited to graffiti arts installed in Bosan-dong, Dongducheon-si, where several urban regeneration projects have been pushed for since 2015. It was found from the analysis that the place specificity of individual art works is maximized when they are merged with cultural contents reflecting the history and place specificity of target cities, such as design, crafts, music and festivals, rather than with the place specificity of the works of individual artists.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s that when graffiti arts are fused with urban cultural contents as fusion design elements, their place specificity is maximized enough to elevate them to the level of public arts, and enable them to function as the media of urban regeneration.

A study on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ater Education Programs according to Changes in Cultural Arts Education Facilities (문화예술교육 시설 변화에 따른 연극 교육프로그램 개발과정 연구)

  • Park, Nahyun
    • Trans-
    • /
    • v.12
    • /
    • pp.223-244
    • /
    • 2022
  • The rapid change of the culture and art environment is led to new art & cultural education and differences in culture and art education facilities, away from the traditional closed space culture and art education. Phenomena such as plays out of the theater, exhibitions out of the art museum, and pictures taking a walk indicate that cultural and artistic educational facilities can no longer stay in the existing paradigm and are changing along with the changes in the cultural and creative world. Therefore, to develop a site-specific theater education program centered around a specific place rather than a theater or studio, in line with the changing times of cultural and artistic educational facilities, this researcher analyzes Brecht's radio play experiment and the recent performative performance experiment. Furthermore, using the regional and community values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confirmed as the motive for research on site-specific theater programs, I analyze the implementation and application process by experimenting with theater programs out of the theaters and studios. As a prior study, research on site-specific performances is being conducted relatively actively, but earlier studies were dealing only with the Ligna group performance cases are lacking. However, I would like to use the previous research on site-specific performance cases as an epistemological background. As a result of the study, for the place-specific theater program through a total of 10 learners, a text based on a specific place was created that did not depend on traditional literary texts. Through this, the possibility of a site-specific theater education program could be confirmed.

A Study on the Documentary Filming Method for Specific Places - Focus on the documentary and - (장소 특정적 다큐멘터리의 촬영 방식 연구 - 다큐멘터리 <서울역>, <옥포 조선소>를 중심으로 -)

  • Oh, Sehyun
    • Trans-
    • /
    • v.11
    • /
    • pp.37-63
    • /
    • 2021
  • This paper focused on documentaries and for specific places and described the documentary shooting methodology from the perspective of a Cinematographer. 'Old Seoul Station' and 'DSME' (DAEWOO Shipbuilding & Marine Engineering Co., Ltd.) are monumental spaces that reflect the value of Korea modernization and are shared by Koreans' collective memories, unconsciousness, and unique feelings for the place. 'Old Seoul Station' has changed its place identity to a new space called "Culture Station Seoul 284." 'DSME' is a large-scale industrial complex that still functions actively, and it is like an organism that seeks to change according to changes in its industrial structure. and observe and record images of space related to place identity and the people related to it. It shows the construction of staring into a space in a particular place and continuously recording and placing moments of experience, such as the appearance of people working and resting. If it is not recorded through this, it allows us to see intangible narratives related to volatile place identity, and enables specific place experiences through theaters. This study focuses on production theory based on examples of documentary filming methods for these specific places.

A Study on the Relations with Motivation of Visiting and Evaluation by Location Type (장소에 따른 방문자의 방문 동기 유형 및 평가 결정요인 분석)

  • Choi, Yeol;Lee, Jae Hyun;Sung, Yu Jeong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2 no.3D
    • /
    • pp.275-281
    • /
    • 2012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future space management. It is not a simple question that why people visit specific place. People visit a place for escape from routine, to learn from other people, spend a time with their friends or lover, to take a rest and get some fresh idea, to relieve stress, and for shopping. It is depend on a various visit motivation with complicated a psychological phenomenon. Visitor participate in choice a specific place by various motivation and purpose. Generally, visitor motivation accepted understanding visitor behavior and process of selected a place. Understanding that why people visit specific place can use a marketing and policy making of visit place so we need to study about visitor motivation. Data were collected through offline surveys from 501 people who have visited four survey place. Empirically analyzed the determinations of visitor motivation and estimate the place by using Ordinal Logit Model.

The Revolution of Place (종교 場所의 回歸性)

  • 최진성
    • Proceedings of the KGS Conference
    • /
    • 2004.05a
    • /
    • pp.80-80
    • /
    • 2004
  • '장소의 회귀성' 또는 '장소에 대한 관성'은 사회주체들이 바뀔 때마다 특정 장소에 대한 되풀이되는 관심이란 점에서 사회 문화적 현상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또한 그 장소는 사회적 구성원들의 이해관계가 반영된 경관들로 구성된다는 점에서 사회문화적 재생산의 과정이라고도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회 문화적 맥락에서 볼 때 장소 회귀성은 경관과 더불어 장소의 의미를 이해하는 지리코드(geographical code)라고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경관의 장소를 해석하는 요소로 삼고자 하였다. (중략)

  • PDF

The Implementation of an Assisitive Comunication System for the Mute and Language Disorder (언어장애인을 위한 통신보조기기의 구현)

  • 황인정;민홍기
    • Journal of Biomed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20 no.6
    • /
    • pp.621-627
    • /
    • 1999
  • 본 논문은 언어장애인을 위한 통신보조기기의 구현에 관한 연구이다. 통신보조기기에 적용되는 어휘는 사용자의 환경을 고려하여 선택되어야 하며 사용자의 환경에는 연령, 교육정도, 가족관계, 자주 이용하는 장소, 장애의 종류와 정도 등 사용자의 정신적, 육체적 능력을 모두 포함하여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손의 사용이 가능하고, 어휘와 의미심볼의 관게를 이해할 수 있으면서, 음성표현이 부자유스러운 어린이를 사용자로 한정하였다. 사용자에 의해 발훼된 어휘는 중심어휘와 특정환경을 나타내는 장소 도메인에서의 사용어휘로 나눌 수 있다. 중심어휘는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일상생활에서 널리 쓰이는 어휘를 말하며, 장소 도메인에서의 사용어휘로 나눌 수 있다. 중심어휘는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일상생활에서 널리 쓰이는 어휘를 말하며, 장소 도메인에서의 사용어휘는 특정 장소에서 빈번히 사용하는 어휘를 말한다. 발췌된 어휘는 휴대용 통신보조기기로서의 공간적 제약을 극복하기 위하여 어휘를 명사, 동사, 조사로 나누어 좀더 많은 문장을 만들 수 있도록 하였으며, 동적 시스템과 정적시스템의 장점을 고려하여 장소 도메인 별 어휘로 나누면서 의미함축의 원리를 도입하였다. 또한 어휘의 인식이 쉽도록 의미심볼과 어휘를 대응하여 표현하였고, 시스템의 기능 혹은 어휘분류에 따른 화면의 배경색을 다르게 설정하여 쉽게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구성된 문장은 화면표시관에 보여진 후 음성으로 표현하였다.

  • PDF

A Study on Public Characters : focused on Site-Specificity (장소특정성(Site-Specificity)을 중심으로 한 공공캐릭터에 관한 연구)

  • Ryu, Yu-hee
    • Cartoon and Animation Studies
    • /
    • s.47
    • /
    • pp.335-356
    • /
    • 2017
  • With the development of the domestic character industry, the interest in public characters has also been increased as like the characters of industrial contents. The public character is a non-commercial character implicitly expressing the symbolism shared or directed by members of the specific region, organization, organization, organization, or event. It has been distinguished from commercial design, aiming the profit for a specific person or group, and it has been given the role coincided with the purpose of public design, pursuing social value such as citizens' happiness, happiness in the subject and object, aiming value and role of design. Public characters has been grown around the local government character development, but most of the characters were not practically utilized. However, as interest in public characters has been increased, those have been received worm welcome again as a means of expressing the uniqueness and identity of the region. In this paper, we have tried to study the expression of identity of public character by substituting the site-specificity. The site-specificity is referring the art of the time that focuses on the region in contemporary art, a work in which the meaning is created by a specific region and situation. Currently, as a main role of public character is representing the region or the institution, its identity and value can be judged by the community it belongs. Through this, it is intended to study the social meaning of the character in the region as a public design.

The Application Development for the local Information of Public Toilets based on Android (안드로이드 기반의 화장실 어플리케이션 개발)

  • Kim, Sang-Jin;Chae, Su-Jea;Yoo, In-Seon;Yoon, Hyung-Jung;Park, Dong-Jin;Kim, Eun-Ju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2.04a
    • /
    • pp.888-891
    • /
    • 2012
  • 본 연구는 영화관과 같이 특정 시간대에 사람들이 많이 몰리는 복잡한 장소와 고궁, 유적지, 백화점, 그리고 테마파크와 같이 한 장소에 여러개의 화장실이 있는 곳에서 사용자 자신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화장실의 위치 및 각 화장실 마다 사용하는 인구 밀집도 그리고 화장실 칸의 사용 여부를 알려주는 Application 을 제안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Application 은 안드로이드를 기반으로 하며 제안한 Application 을 통해 익숙하지 않은 장소에서의 화장실 위치 파악이 가능하고 영화관과 같이 특정 시간 때, 특정 화장실에 대해 몰림 현상을 예방 할 수 있다. 따라서 연구에서 제안한 화장실 어플리케이션은 현재 사용 가능한 화장실의 위치를 알려줌으로써 고객들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 할 것으로 예상된다.

The Development of Event Tourism in the Case of Namdo Food Festival at Nakan (이벤트관광의 정착과 성장과정에 관한 연구 -전남 낙안의 남도음식축제를 사례로-)

  • 추명희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3 no.2
    • /
    • pp.339-351
    • /
    • 1998
  • 본 연구는 낙안읍성이라는 특정 장소에서 열리는 남도음식축제를 사례로 이벤트관광의 정착과 성장과정을 관광지리학적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남도음식축제는 특정장소가 갖는 매력요인과 전남지역의 고유한 향토음식이 결합된 전남의 대표적인 이벤트관광이며, 1998년 문체부에 의해 전국 3대 축제로 선정되어 전국적인 규모의 축제로 성장하였다. 1994년부터 시작된 남도음식축제는 프로그램과 예산, 참가인원 등 규모면에서 꾸준한 성장을 보여 왔다. 그리고 개최기간은 3일에서 일주일로 연장되었고, 관광세력권은 꾸준히 확대되고 있다. 남도음식축제를 더욱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관 주도의 축제에서 민간주도의 축제로의 전환, 지역축제를 이끌어 갈 전문인력의 양성, 낙안읍성이라는 장소성과 역사성을 부각시킬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 음식축제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경영마인드의 도입, 낙안읍성 주변의 주요 관광지와 연계관계를 구축하여 관광세력권의 확대, 지속적인 관광객 형태 및 평가분석을 통한 관광객들의 관심과 욕구의 반영 등이 필요하다.

  • PDF

Anti-Theft App for smartphone charging in public places (공중장소에서 충전 중인 스마트폰의 도난방지를 위한 앱)

  • Sug, Hyontai;Kim, Seong-W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0.01a
    • /
    • pp.129-130
    • /
    • 2020
  • 공중장소에서 충전기에 꽂힌 상태로 무방비로 도난의 위협에 방치되어있는 스마트폰들을 아주 쉽게 발견할 수 있다. 잃어버린 스마트폰은 다시 구매하면 되지만 혹시라도 미처 백업하지 못한 자료나 연락처 등의 소중한 정보의 손실로 인해 피해는 클 것이다. 공중장소에서 충전중인 스마트폰을 절도를 목적으로 무단으로 전원에서 분리할 가능성에 대비하여 경고화면을 보여주는 한편, 만일 무단으로 충전기에서 뽑거나 케이블을 절단하면 경보를 울리는 한편, 현재 위치의 위도와 경도를 SMS기능을 사용해 지정한 전화번호로 해당 정보를 전송하는 기능을 안드로이드에 구현하였다. 이를 통해 도난이 되더라도 스마트폰을 잃어버린 위치와 시간을 특정 할 수 있게 도와 줄 수 있기 때문에, 도난이 의심되는 해당 시설 또는 근처의 CCTV영상을 확보하여 범인을 빨리 특정할 수 있게 함으로써 최대한 빠르게 스마트폰을 되찾을 수 있는 확률을 높여주고, 스마트폰에 대한 절도억제 효과도 줄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