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장서평가 지표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29초

공공도서관의 성과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Performance Indicators for Korean Public Libraries)

  • 김규환;남영준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113-139
    • /
    • 2008
  • 오늘날과 같이 급변하는 환경에서 공공도서관은 다양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 통합적 관점에서 성과를 측정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성과평가연구는 특정 영역과 특정 분석방법에 치중하고 있는 한계가 있다. 이에 도서관의 활동 영역(투입, 과정, 산출, 결과)을 평가할 수 있는 다면적인 성과지표의 개발이 필요하다. 현재 국제표준화기구와 IFLA는 BSC(균형성과지표)에 기초한 통합성과평가체제의 도입을 시도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통해 도서관의 성과평가영역(투입, 과정, 산출, 결과)과 성과지표(투입지표, 산출지표, 결과지표)의 유형을 도출하고 국내 외 공공도서관 평가사례를 대상으로 평가영역과 성과지표의 유형을 비교 분석하였다. 비교 분석결과에 따라 국내 외 평가사례에 기초한 공공도서관의 통합적 성과지표를 제안하였다. 구체적으로 국제표준화기구 평가사례로부터 4개의 평가관점과 인력자원, 이용, 장서, 시설 등의 세부적 평가영역을 선정하였고 평가영역별 성과지표와 성과측정방법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제안된 평가영역과 성과지표에 대한 적합성 검증 방법을 제안하였다.

학교도서관 평가지표 개발 연구 (A Study of Development of the School Library Evaluation Criteria)

  • 곽철완;노영희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83-196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시 도교육청을 중심으로 학교도서관 평가에 필요한 평가지표를 개발하는데 있다. 국내 외 학교도서관 관련 평가지표를 조사 분석하여 다양한 우리나라의 학교도서관 상황에 적용할 수 있으며, 다양한 학생들에게 학업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학교도서관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평가지표의 방향성을 설정하였다. 평가 항목은 도서관 프로그램 분야, 학교지원 분야, 서비스 분야로 구분하여 선정하였다. 평가 방법은 조사지 이용 평가, 학교 도서관 통계 이용 평가, 표준화된 통계 이용 평가로 크게 3가지로 구분하였다. 이중 본 연구에서는 표준화된 통계 이용 평가를 제안하였다. 평가항목은 양적인 항목과 질적인 항목으로 구분되었다. 양적인 항목은 투입분야의 예산항목에 2개 지표와 산출분야의 장서 항목의 3개 지표, 이용 항목의 3개 지표가 제시되었다. 질적인 항목에는 소장도서와 해당 연도에 구입한 도서의 이용비율을 제시하였다.

대학도서관 평가 지표 개발과 실행 방안에 관한 고찰 (A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Performance Indicators and Action Plans for Academic Libraries in Korea)

  • 곽동철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13-130
    • /
    • 2008
  • 본 연구에 제시하고 있는 대학도서관 평가지표는 기존의 공표된 자료를 중심으로 크게 장서, 예산, 인력 등의 영역으로 구분하였고, 각 영역마다 각각 3개의 세부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특히, 본 연구의 평가 지표와 실행 방안은 각 대학이 교육부 등에 공식적으로 제출한 문서나 유관 기관의 출판물에서 도출한 기본적인 수치를 기반으로 마련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 제시한 대학도서관 평가 지표 및 실행 방안은 대학도서관에 대한 대학의 최고경영자와 본부의 지원을 유도하면서, 도서관 직원의 평가 관련 업무의 별도 준비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물론 향후 대학도서관간 통계자료 작성과 관련하여 각 항목에 대한 이해 증진과 통계 작성의 표준화 및 일원화를 통해 정보서비스 항목에 대해 정성적이면서 계량적인 지표의 개발 및 적용이 이루어지면 더 나은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대학도서관 평가가 주기적이고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면, 대학도서관에 대한 정부나 대학의 인식 제고에 커다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여겨진다.

2014년 중앙일보 대학평가와 대학도서관 평가지표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 between University Rankings by Korea Joongang Daily and Academic Library Evaluation Indicators in 2014)

  • 박일종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7-50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대학도서관이 대학의 경쟁력에 어떤 역할을 하는지를 알아보고자 2014년도 중앙일보 대학평가에서 좋은 평가를 받은 30개 대학을 표본으로 하고, 4개 영역별 평가 점수와 도서관의 주요 지표인 도서관 건물면적, 장서수, 직원수, 예산을 변인으로 정하였다. 또한 평균분석과 상관분석을 통하여 도서관이 대학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통계적 방법으로 연구하였다. 연구의 결과로서 (1) 설립주체 평균분석에서는 국제화 지표에서,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지역간 평균분석에서는 국제화 지표와 평판 및 사회진출도 부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상관분석에서는 도서관 예산과 직원수가 대학평가에 비교적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공공도서관의 이용자만족도에 관한 연구: 2010 공공도서관 운영 평가 이용자만족도 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User Satisfaction of Public Library Users in Korea)

  • 차성종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285-308
    • /
    • 2011
  • 본 연구는 전국 공공도서관 이용자를 대상으로 이용자만족도 조사를 실시한 후, 현재 우리나라 공공도서관의 서비스가 이용자의 만족을 얼마나 성취하고 있는 가를 분석하고, 도서관의 서비스별 품질을 나타내는 세부항목별 요인들이 도서관의 전반적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용자만족도 지표는 공공도서관에 대해 이용자들이 지각하는 도서관의 전반적인 품질을 측정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으며, 6개 변인(장서, 직원, 시설, 프로그램, 온라인서비스, 정보제공정도)으로 구성되었다. 분석결과 도서관 전체 이용자만족도는 정보제공정도, 시설, 직원 변인이 높게 나타난 반면, 온라인서비스 및 프로그램 변인은 상대적으로 낮은 만족도를 보여주었다. 또한 도서관의 서비스별 품질 중 장서, 직원, 시설, 프로그램, 온라인서비스, 정보제공정도 전체 요인이 전반적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에서 정보제공정도와 시설, 장서 요인 순으로 큰 영향력을 발휘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전국 공공도서관 운영평가의 성과에 관한 연구 - 2010년~2013년도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esults of the National Evaluation on Public Library Management During 2010~2013)

  • 차미경;표순희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241-268
    • /
    • 2015
  • '전국 도서관 운영평가'는 대통령소속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에서 2008년부터 매년 시행하고 있으며 거의 모든 공공도서관이 평가에 참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국도서관 운영 평가의 성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제 1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 기간(2009년~2013년) 가운데, 동일한 평가 지표가 적용된 2010년 실적부터 2013년 실적까지 4년간의 평가 데이터를 대상으로 규모를 기준으로 한 범주별 분석과 수도권과 비수도권으로 나눈 지역 간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계획과 장서구성 등 내부 운영 역량 개선의 측면에서는 전반적으로 긍정적 효과를 거두었으나, 수도권과 비수도권 사이의 격차는 개선되지 않았으며, 도서관 그룹 별로 투입 자원과 도달률 사이의 상관관계가 다르게 나타남을 발견하여 이를 고려한 정책 수립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대학도서관 가상참고서가의 협동구축 (Cooperative System for Virtual Reference Shelves of the University Libraries)

  • 박준식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5-25
    • /
    • 2005
  • 이 연구는 국내 대학도서관의 가상참고서가 협동구축을 위한 기본 방향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 연구는 이 목적을 위해 첫째, 가상참고서가의 이론적 토대를 정립하고 그 필요성을 도서관의 문화주체적 관점에서 논의하였다. 둘째, 국내 대학도서관의 가상참고서가 운용실태를 9가지 평가지표를 통해 분석함으로써 협동구축의 당위성을 이끌어 냈다. 마지막으로 가상참고서가의 협동구축을 위한 구체적인 방법과 절차를 대학도서관 관련 기구 및 단체들의 역할과 연관하여 논의하였다.

  • PDF

국내 공공도서관의 녹색화 수준 평가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Greening Level of Domestic Public Libraries)

  • 노영희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5-34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의 녹색화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개발된 녹색도서관 평가지표를 바탕으로 설문지를 제작 및 배포하여 전국 978개 공공도서관을 대상으로 녹색화 수준을 측정하였다. 평가영역별 평균을 분석한 결과, 녹색도서관 평가영역 중 도서관 자원의 전체 평균이 1.93으로 가장 높았고, 토지이용 및 교통 1.81, 재료 및 자원 1.74, 실내환경 1.30, 물 순환관리 1.20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응답한 공공도서관에서 가장 강점을 보이는 녹색화 평가영역은 도서관 자원 영역으로, 전체 공간의 효율적인 활용, 장서보존의 효율성, 친환경 용품사용 및 관리 등 공간 활용을 효율적으로 하거나 도서관에서 자주 구입하거나 소모되는 비품들을 친환경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토지이용 및 교통 영역과 관련하여 대부분의 공공도서관이 자전거 보관소를 설치하고, 대중교통과의 근접성 및 도시중심과 도서관과의 거리를 고려한 도서관위치를 선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재료 및 자원 영역에서 대부분의 공공도서관이 특히 화장실 소비재를 절약하고자 손 건조기 및 롤링타월을 설치해 친환경적인 모습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도서관진흥법」 규정 인력 배치에 따른 지역 간 교육격차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ducational Gap between Regions according to the Manpower Allocation under the 「School Library Promotion Act」)

  • 강봉숙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7권3호
    • /
    • pp.231-248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도서관 투입지표와 산출지표의 지역 간 격차에 대한 논의를 통해 학교도서관 교육의 지역 간 교육격차를 해소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학교도서관진흥법」에서 규정하는 인력 배치 여부별로 학교도서관 투입지표와 산출지표의 차이 및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학교도서관진흥법」 규정 인력 배치 여부와 장서 수, 자료구입비, 좌석 수, 대출자료 수, 그리고 학생 수는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학교도서관진흥법」 규정 인력 배치는 성취도평가 최저 등급인 학생 비율이 2분의 1이상인 과목 수와는 음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지역 특성별로 「학교도서관진흥법」 규정 인력 배치 여부를 조사한 결과 수도권, 광역시, 도단위 순으로 배치율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차이를 보이며 수도권과 광역시에 높게 배치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지역 특성에 따라 가계 당 순자산액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에 기반하여 경제적 여건이 풍족한 대도시 지역에 도단위에 비해 더 높은 「학교도서관진흥법」 규정 인력 배치율이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의 조사 내용을 바탕으로 지역 간, 계층 간 교육격차 해소를 위해 상대적으로 열악한 도단위 지역, 작은 학교에도 균등하게 「학교도서관진흥법」 규정 인력이 조속히 배치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전문대학 도서관 활성화 정책방안에 관한 연구 (A Policy Study on How to Support Community College Libraries)

  • 황금숙;노영희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45-374
    • /
    • 2007
  • 전문대학은 4년제 대학과 더불어 주요한 고등인력 양성기관임과 동시에 수적으로도 매우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도서관발전 종합계획에는 전문대학도서관만의 열악한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전체 대학도서관을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들만이제시되고 있어서 전문대학도서관은 여전히 소외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문대학도서관들의 현황을 문헌조사를 통해 조사하여 전문대학도서관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국가차원에서 지원해 주어야할 정책을 6가지로 나누어 제안하고 있다. 즉, 전문대학특성에 따른 장서개발, 전문대학특성화에 따른 주제전문도서관 구축, 전문대학도서관간상호협력 강화, 전문대학도서관서비스 강화, 전문대학도서관법적 개선 및 평가지표 개발, 수요조사연구 및 서비스 품질 평가 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