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장비 클러스터

Search Result 52,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The Study on Fire Phenomena in The Deeply Underground Subway Station (대심도 지하역사에서의 화재현상 연구)

  • Jang, Yong-Jun;Kim, Hag-Beom;Lee, Chang-Hyun;Jung, Woo-Sung
    • Proceedings of the KSR Conference
    • /
    • 2008.06a
    • /
    • pp.1773-1780
    • /
    • 2008
  • When the fire occur in the deeply underground subway station, the difficulties of passenger evacuation are expected because of many stairs to the exit. In this study, SOONGSIL-University station (7 line, 47m depth) is the one of the deepest subway stations of the each line in the Seoul metro. The numerical computational-simulation was performed for the fire driven flow in the subway station. Hot and smoke flow was analyzed from the simulation results. The proper plan of evacuation against fire was considered through the results. The fire driven flow was simulated using FDS code in which LES method was applied. The Heat Release Rate was 10MW and the ultrafast model was applied for the growing model of the fire source. The proper mesh size was determined from the characteristic length of fire size. The parallel computational method was employed to compute the flow and heat eqn's in the meshes, which are about 10,000,000, with 6cpu of the linux clustering machine.

  • PDF

표면분석장비를 이용한 CIGS 정량분석

  • Kim, Seon-Hui;Yun, Jeong-Hyeon;Jang, Yun-Jeong;Lee, Yeon-Hui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3.02a
    • /
    • pp.279-279
    • /
    • 2013
  • 차세대 태양전지로 주목받는 화합물 박막 태양전지(CIGS, CdTe, etc)는 광흡수계수가 매우 높아 얇은 두께의 광흡수층으로도 빛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으므로 광흡수층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며 이에 대한 정확한 정보와 이해는 필수적이다. 특히 GIGS 박막 태양전지의 정량 및 각 원소의 깊이 방향의 분포를 분석하는 것은 박막형 태양전지 개발에 크게 기여한다 [1,2]. 본 실험에서는 조성비를 알고 있는 균질한 CIGS박막을 표준시료로 사용하여 ICP-MS로 측정하여 평균농도를 구한 뒤 TOF-SIMS, D-SIMS, Auger Electron Spectroscopy (AES) 로 깊이 방향 분석 결과를 통해 상대감도(RSF)를 계산한 후 각 원소의 농도로 변환하여 정량분석 결과를 얻었다. 일반적으로 손쉽게 정량적인 정보를 얻는 AES에 비해 정량성이 떨어지는 TOF-SIMS와 D-SIMS는 스퍼터링시 사용되는 Cs 빔과 시료 내 금속과의 클러스터 이온(GaCs+와 InCs+)의 깊이 방향 조성을 이용하면 매트릭스 효과를 배제할 수 있어서 좀 더 정확한 정량 분석이 가능하므로 시료내 금속과 Cs 이 결합된 클러스터 이온의 깊이 방향 조성을 측정하여 각원소의 농도를 계산하였고 스퍼터링 에너지를 포함한 실험 변수에 따른 재현성 및 정량성의 차이를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CIGS층에 불순물로 들어 있는 미량원소들의 깊이 분포도도 함께 관찰하였다.

  • PDF

High-Resolution Tiled Display System for Visualization of Large-scale Analysis Data (초대형 해석 결과의 분석을 위한 고해상도 타일 가시화 시스템 개발)

  • 김홍성;조진연;양진오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34 no.6
    • /
    • pp.67-74
    • /
    • 2006
  • In this paper, a tiled display system is developed to get a high-resolution image in visualization of large-scale structural analysis data with low-resolution display devices and low-cost cluster computer system. Concerning the hardware system, some of the crucial points are investigated, and a new beam-projector positioner is designed and manufactured to resolve the keystone phenomena which result in distorted image. In the development of tiled display software, Qt and OpenGL are utilized for GUI and rendering, respectively. To obtain the entire tiled image, LAM-MPI is utilized to synchronize the several sub-images produced from each cluster computer node.

Parallel Computing of Large Scale FE Model based on Explicit Lagrangian FEM (외연 Lagrangian 유한요소법 기반의 대규모 유한요소 모델 병렬처리)

  • 백승훈;김승조;이민형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34 no.8
    • /
    • pp.33-40
    • /
    • 2006
  • A parallel computing strategy for finite element(FE) processing is described and implemented in nonlinear explicit FE code and its parallel performances are evaluated. A self-made linux-cluster supercomputer with 520 CPUs is used as a bench mark test bed. It is observed that speed-up is increased almost idealy even up to 256 CPUs for a large scale model. A communication over head and its effect on the parallel performance is also examined. Parallel performance is compare with the commercial code and developed code shows superior performance as the number of CPUs used are increased.

The Method of Container Loading Scheduling through Hierarchical Clustering (계층적 클러스티링 방법을 통한 컨테이너 적재순서 결정 방법)

  • 홍동희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0 no.1 s.33
    • /
    • pp.201-208
    • /
    • 2005
  • Recently, the container terminal requires the study of method to increase efficiency through change of its operation method. Loading plan is a very important part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container terminal. Loading Plan is largely divided into two cases, deciding loading location and loading scheduling and this Paper proposes a more efficient method of container loading scheduling. Container loading scheduling is a problem of combination optimization to consider several items of loading location and operation equipments. etc. An existing method of cluster composition that decides the order of container loading scheduling has a restriction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work owing to rehandling problem. Therefore, we Propose a more efficient method of container loading scheduling which composes containers with identical attribution, based on ship loading list and yard map, into stack units of cluster, applying to hierarchical clustering method, and defines the restriction of working order. In this process, we can see a possible working path among clusters by defining the restriction of working order and search efficiency will be increased because of restricted search for working path.

  • PDF

Real-time 3D Monitoring & Simulation of Cluster Type Semiconductor Manufacturing Equipments (클러스터형 반도체 장비의 실시간 3차원 모니터링 및 시뮬레이션)

  • 윤택상;한영신;이칠기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2002.06b
    • /
    • pp.41-44
    • /
    • 2002
  • The Semiconductor Industrial are developed after 1940. It was called “Rice of Industrial”. It needs great effect in Electronics. It was developed highly in recent several years with semiconductor manufacturing equipments. Semiconductor manufacturing devices are developed “In-line” type in the first stage. But It was non-effective in modem many type process. Because this reason, Cluster type manufacturing equipments are proposed. Cluster have ability of many-type-process and effective-scheduling by circular type process chamber In this paper. we propose a real-time 3D monitoring and simulation of this semiconductor manufacturing equipments. By proposed monitoring method, we have capability real visual maintanance & virtual simulation. This effective visual 3D monitoring could apply another dangerous environment in entire industrial.

  • PDF

The Conductivity Percolation of Conducting Plastic Materials (도전성 플라스틱의 전도 퍼콜레이션)

  • Kim, In Chan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B
    • /
    • v.23 no.6
    • /
    • pp.713-721
    • /
    • 1999
  • A composite plastic, where long metallic fibers are used as filling materials, is transformed from nonconducting to conducting medium as the volume fraction of filling metallic fibers is increased from zero : such drastic change in property is called the percolation. It is desired both for practical and theoretical purposes to understand the physics underlying the percolation and to estimate the percolation threshold that is defined by the minimum volume fraction of the metallic fibers for which the percolation occurs. In this study, percolation thresholds are calculated by Monte Carlo Computer simulation. Both lattice and continuum spaces are considered and detailed microstructures of metallic fibers are modelled as rigid and flexible bodies for both model spaces. Simulations are carried out for wide range of aspect ratios and discussions are given.

Optimization for robot operations in cluster tools for concurrent manufacturing of multiple wafer types (복수 타입의 웨이퍼 혼류생산을 위한 클러스터 장비 로봇 운영 최적화)

  • Tae-Sun Yu;Jun-Ho Lee;Sung-Gil Ko
    • Journal of Industrial Technology
    • /
    • v.43 no.1
    • /
    • pp.49-55
    • /
    • 2023
  • Cluster tools are extensively employed in various wafer fabrication processes within the semiconductor manufacturing industry, including photo lithography, etching, and chemical vapor deposition. Contemporary fabrication facilities encounter customer orders with technical specifications that are similar yet slightly varied. Consequently, modern fabrications concurrently manufacture two or three different wafer types using a cluster tool to maximize chamber utilization and streamline the flow of wafer lots between different process stages. In this review, we introduce two methods of concurrent processing of multiple wafer types: 1) concurrent processing of multiple wafer types with different job flows, 2) concurrent processing of multiple wafer types with identical job flows. We describe relevant research trends and achievements and discuss future research directions.

Analysis of spatial mixing characteristics of water quality at the confluence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인공지능을 활용한 합류부에서 수질의 공간혼합 특성 분석)

  • Lee, Seo Gyeong;Kim, Dongsu;Kim, Kyungdong;Kim, Young Do;Lyu, Si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482-482
    • /
    • 2022
  • 하천의 합류부에서는 수질이 다른 유체가 혼합하여 합류 전과 다른 특성을 보인다. 하천의 합류부에서 수질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수질의 공간적인 혼합 특성을 규명하는 것이 중요하다. 합류부에서 수질의 공간적인 혼합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토폴로지 데이터 분석(topological data analysis, TDA), 자기 조직화 지도(Self-Organizing Map, SOM), k-평균 알고리즘(K-means clustering algorithm) 세 가지 기법을 이용하였다. 세 가지 기법을 비교하여 어떤 알고리즘이 합류부의 수질 변화 특성을 더 뚜렷하게 나타내는지 분석하였다. 수질 변화 비교 인자들은 pH, chlorophyll, DO, Turbidity 등이 있고, 수질 인자들은 YSI를 활용해 측정하였다. 자료의 측정 지역은 낙동강과 황강이 합류하는 지역이며, 보트에 YSI 장비를 부착하고 횡단하여 측정하였다. 측정한 데이터를 R 프로그램을 통해 세 가지 기법을 적용시켜 수질 변화 비교를 분석한다. 토폴로지 데이터 분석(topological data analysis, TDA)은 거대하고 복잡한 데이터로부터 유의미한 정보를 추출하는 데 사용하고, 자기조직화지도(Self-Organizing Map, SOM) 기법은 차원 축소와 군집화를 동시에 수행한다. k-평균 알고리즘(K-means clustering algorithm) 기법은 주어진 데이터를 k개의 클러스터로 묶는 머신러닝 비지도학습에 속하는 알고리즘이다. 세 가지 방법들의 주목적은 클러스터링이다. 클러스터 분석(Cluster analysis)이란 주어진 데이터들의 특성을 고려해 동일한 성격을 가진 여러 개의 그룹으로 대상을 분류하는 데이터 마이닝의 한 방법이다. 군집화 방법들인 TDA, SOM, K-means를 이용해 합류 지역의 수질 특성들을 클러스터링하여 수질 패턴들을 분석해 하천 수질 오염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토폴로지 데이터 분석(topological data analysis, TDA), 자기조직화지도(Self-Organizing Map, SOM), k-평균 알고리즘(K-means clustering algorithm) 세 가지 기법을 이용하여 합류부에서의 수질 특성을 비교하며 어떤 기법이 합류의 특성을 더욱 뚜렷하게 나타내는지 규명했다. 합류의 특성을 군집화 방법을 이용해 알게 된다면, 합류부의 수질 변화 패턴을 다른 합류 지역에서도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pplication of Enhanced Geothermal Systems for Jeju geothermal power plant (EGS 지열발전시스템을 적용한 제주 지열발전소)

  • Lee, Sang-Don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6a
    • /
    • pp.573-573
    • /
    • 2009
  • 지열에너지는 지구가 생성될 당시부터 지구 내부에 존재하는 무한한 열에너지로 온실가스 배출이 적으며 태양광이나 풍력 등 다른 신재생 에너지와는 달리 일정한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는 항상성 에너지로 기저부하를 담당할 수 있다. 지열을 이용한 전력 생산은 1904년에 이탈리아 라데렐로에서 처음으로 시작되었으며, 현재까지 화산지대를 중심으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2001년에서 2005년 사이에 전세계 지열발전용량은 약 13% 증가하였으며, 2005년을 기준으로 약 8,933MWe의 지열발전설비가 가동 중이다. 최근 들어 지하 심부까지 시추하여 지열저장소(geothermal reservoir)를 형성하고 이를 통해 지열에너지를 생산하는 새로운 시스템인 EGS(Enhanced Geothermal Systems)가 개발됨에 따라 비화산지대에서도 지열발전소를 건설하려는 움직임이 가속화되고 있다. EGS는 지하 심부의 불투수성 결정질 암반에 존재하는 지열에너지의 경제적인 생산뿐만 아니라 물을 주입하여 생산시키는 순환 방식을 이용하여 지열에너지 획득의 매개 역할을 하는 지열수의 고갈 문제를 해결하였다. 결정질 암반에서의 지열저장소의 형성은 암반 내에 분포하는 불연속면에서 주로 발생하며, 이를 위한 압력 조건은 현지 암반의 응력 분포 특성과 암반 및 불연속면의 물성에 좌우된다. 시추공을 통해 지하 심부의 암반에 수압이 가해지면 물의 주입으로 불연속면의 마찰력이 감소하며, 이로 인해 불연속면에 전단변형이 발생하게 된다. 전단변형은 불연속면을 열린 상태로 유지시켜 지열저장소를 형성하게 된다. 불연속면의 전단 변형시 발생하는 미소 탄성파는 시추공 주변에 설치한 모니터링 장비에서 측정되며, 모니터링 장비에 의해 측정된 미소 탄성파 발생 지점의 클러스터는 지열저장소의 공간적 분포 및 규모를 추정할 수 있는 자료가 된다. 현재 EGS를 이용한 지열발전 프로젝트는 프랑스 슐츠, 스위스 바젤, 호주 하바네로에서 대표적으로 진행 중이다. 슐츠는 현재 1.5MWe의 파일럿 플랜트를 가동 중이며, 하바네로는 파일럿 플랜트 건설 단계를 진행중이다. 스위스 바젤은 지열저장소를 형성시킬 목적으로 수행된 주입시험에서 발생된 문제에 대한 기술의 신뢰성을 확보할 목적으로 잠시 중단된 상태다. 제주도는 신생대에 분출하여 형성된 대표적인 한국의 화산지형으로 지열부존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이다. 따라서 폐사는 지열에너지 부존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심부 물리 탐사 및 탐사정 시추가 실시될 예정이며 궁극적으로 국내 최초의 상용화된 지열발전소 건설을 목표로 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