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장비 생산성

Search Result 692,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Simulation model for performance estimation of transport vehicle on automated container terminal (자동화 컨테이너 터미널의 이송장비 운영평가를 위한 시뮬레이션 모델)

  • 하태영;최용석;김우선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04.04a
    • /
    • pp.443-449
    • /
    • 2004
  • In this paper, we established a simulation model for transport vehicle that carries the container transportation between apron and yard block on automated container terminal with a perpendicular yard layout. Usually, the efficiency of container terminal is evaluated by productivity of container cranes at apron, and though there are enough support of transport vehicles and yard cranes, can improve the productivity of container cranes. Especially, transport vehicle is very important factor in productivity of container cranes and has variable work productivity according to loading and unloading situation of container cranes. Therefore, a method that can estimate work productivity of transport vehicle efficiently is required. We analyzed work productivity of transport vehicle using simulation model that has state transition of transport vehicle. We performed various simulation experiment and analyzed work productivity of transport vehicle and calculated the required number of transport vehicle by container crane additionally.

  • PDF

항만크레인시뮬레이터를 이용한 하역장비기사 교육훈련현황 및 분석 - 부산항 신항만지역을 중심으로 -

  • Jo, Gyu-S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0.04a
    • /
    • pp.278-279
    • /
    • 2010
  • 항만컨테이너터미널에서는 컨테이너 생산성뿐만 아니라 하역작업 안전성도 중요하게 고려되고 있다. 생산성 증대를 위해서 도입되는 대형 하역장비의 운영 효율성과 더불어 하역장비를 운영하는 장비기사들의 작업안전성 향상도 중요함에 따라 하역장비기사를 대상으로 하역장비 교육훈련 실시가 필요하게 되었다. 그러나 실제 하역장비운영을 통한 교육훈련은 장비운영비용과 위험성이 수반되기 때문에 경제적으로 장비 운영 시 발생되는 문제점을 최소화시키는 방법 가운데 하나가 항만크레인시뮬레이터를 이용한 하역장비 교육훈련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교육기관에서 보유하고 있는 실제 항만의 운영환경을 고려하여 개발된 최첨단 장비인 항만크레인시뮬레이터를 이용한 부산항 신항만을 중심으로 하역장비기사 교육현황과 그 성과를 통한 항만크레인시뮬레이터 장비 효율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생산성 최대화를 위한 컨테이너터미널의 장비 작업조건 분석

  • Choe, Yong-Seok;Yun, Dong-Ha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0.10a
    • /
    • pp.50-52
    • /
    • 2010
  • 본 연구는 컨테이너터미널의 생산성 최대화를 위한 장비 작업조건(애로공정 및 개선방향)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다기준의사결정법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는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계층분석과정)기법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컨테이너터미널의 주요 요소를 야드장비 영역, 이송장비 영역, 안벽장비 영역, C/CENTER(통제센터) 영역으로 구분하여 터미널 실무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한 후 AHP기법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생산성 최대화를 위한 우선순위는 야드 장비부분이 가장 중요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안벽장비, C/CENTER, 이송 장비 순서로 중요도가 나타났다.

  • PDF

자동화 컨테이너 터미널의 AGV 및 ALV 기반 이송시스템의 생산성 비교

  • Bae, Hyo-Yeong;Choe, Lee;Park, Tae-Jin;Ryu, Gwang-Ryeo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07.12a
    • /
    • pp.253-254
    • /
    • 2007
  • 오늘날 자동화 컨테이너 터미널은 대부분 AGV(Automated Guided Vehicle) 기반의 무인이송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AGV는 컨테이너의 상하차 작업 시 타장비의 도움을 필요로 한다. 이로 인하여 장비 간 대기시간이 발생하며, 이는 생산성을 떨어뜨리는 요인이 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한 무인이송장비로 ALV(Automated Lifting Vehicle)가 있다. ALV는 자가하역기능이 있어 타장비의 도움 없이 상하차 작업이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각 이송시스템의 생산성을 비교하였다. 시뮬레이션은 이송시스템의 배차 방식과 안벽장비의 종류를 다양하게 설정하고, 무인이송장비의 가감속 운동 및 충돌을 고려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소수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ALV 기반의 이송시스템이 AGV 기반의 이송시스템보다 높은 생산성을 보여주었다.

  • PDF

A Study on the Contextual Factors Affect on the TPM Application for Loading and Unloading Equipments of Incheon Port (인천항 하역장비에 TPM 적용시 영향을 미치는 상황요인에 관한 연구)

  • Park, Sang-Ki;Lee, Chang-Ho
    •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 /
    • v.23 no.4
    • /
    • pp.23-47
    • /
    • 2007
  • We analyzed the questionnaire survey for the current maintenance of Incheon port's loading and unloading equipments and the possibility of TPM(Total Productive Maintenance) application. And also, We certificated Structural Equation Model with computer packages. Results of the survey indicated that the current maintenance of Incheon port's loading and unloading equipments was not good. We recognized the relationship of contextual factors about the productivity of the loading and unloading equipments The productivity of the loading and unloading equipment positively depends on maintenance management of equipments, but the organization and personnel management does not have a influence on the productivity of the loading and unloading equipment. So we suggest TPM as the future maintenance methodology of equipments. Using TPM to the loading and unloading equipments, we will try to improve the methodology of the organization and personnel management.

  • PDF

Simulation-based Evaluation of AGV Operation at Automated Container Terminal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자동화 컨테이너 터미널의 AGV 운영평가)

  • Ha Tae-Young;Choi Yong-Seok;Kim Woo-Sun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28 no.10 s.96
    • /
    • pp.891-897
    • /
    • 2004
  • This paper provided a simulation model for transport vehicles that carry container from the ship to yard block and vice versa at automated container terminal with a perpendicular yard layout. Usually, the efficiency of container terminal is evaluated by the productivity of container cranes at apron, and the stevedoring system for transport vehicles and yard cranes should be supported enough to improve productivity of container cranes. Especially, transport vehicle is very important factor in the productivity of container cranes and the performance of transport vehicles are changed according to the number and traveling type of vehicles. For these reason, a method that can estimate productivity of transport vehicle is required Finally, we developed the simulation model to analyze the productivity of transport vehicle and presented the productivity of container cranes for a varying operation of transport vehicles.

자동화 컨테이너터미널의 ASHC Dispatching Rule에 관한 연구

  • Choe, Hyeong-Rim;Yun, Su-Jin;Gwon, Hae-Gyeong;Park, Chang-H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07.12a
    • /
    • pp.216-218
    • /
    • 2007
  • 세계 선진항만은 해운물류시장의 변화에 대응하고, 경쟁력 확보 방안으로 첨단 자동화 장비와 운영시스템 도입을 통한 자동화를 지향하고 있다. 국내 부산항 신항 또한 자동화 컨테이너터미널로 개발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자동화 터미널은 각종 자동화 장비와 시스템이 유기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의 효율적인 운영을 통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터미널의 안벽과 장치장 사이의 컨테이너 운송을 담당하는 이송장비는 컨테이너터미널의 핵심장비로 이의 효율적인 운영은 컨테이너터미널의 생산성과 직결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동화 컨테이너터미널의 운영생산성 향상을 위한 하역장비와 이송장비의 운영방안에 대하여 연구한다. 특히 DHST(Dual Hoist Second Trolley)타입의 QC와 ASHC의 장비특성과 장비간의 연계작업을 고려하여, QC의 대기시간을 최소화하여 하역 생산성을 최대화할 수 있는 ASHC Dispatching Rule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Analysis of the Equipment Combination of Stevedoring System in Port Container Terminal (컨테이너터미널의 하역시스템 장비조합에 대한 분석)

  • Yang Chang-Ho;Choi Yong-Seok;Ha Tae-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04.11a
    • /
    • pp.289-295
    • /
    • 2004
  •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equipment combination of stevedoring system at port container terminal. In general, the productivity of container terminal is evaluated by productivity of container cranes at apron, but there are other equipment such as transport vehicles and yard cranes. Therefore, a method that can estimate the optimal equipment combination of stevedoring system in container terminal is required. We perform various simulation experiment and analyze equipment combination to improve the productivity. From the application of the case study, we demonstrated the savings effect using mean waiting time rates by the equipment combination.

  • PDF

PDP(Pasma Display Panel)의 진공 인-라인 실장장치 개발

  • Gwon, Sang-Jik
    • Information Display
    • /
    • v.4 no.2
    • /
    • pp.15-18
    • /
    • 2003
  • 차세대 디스플레이로 부각되는 FPD(Flat Panel Display)의 제작과정에서 수행되고 있는 기존의 배기 봉착 공정을 진공 인-라인 방식으로 대체함으로써 PDP나 FED의 생산성 및 효율성을 혁신적으로 높일 수가 있다. 매우 취약한 진공실장 기술 및 관련 장비를 개발함으로써 FPD 양산화에 절대적으로 필요한 패널의 생산성 및 수율, 수명을 높일 수 있다. 국내 첨단산업의 경우 생산 장비의 해외 의존도가 너무 높아 국가 기술경쟁력 약화의 한 원인이 되고 있으므로 FPD의 개발 초기단계에서부터 장비 제작업체와의 유기적 협력을 통해 필수적 생산 장비의 조기개발을 통해 장비 국산화를 이룰 수 있다. 본 고에서는 현재 21세기 차세대 신기술 산업으로 평가받고 있는 평판디스플레이의 진공 인-라인 실장 기술을 할 수 있는 경원대학교에서 자체 개발한 진공 인-라인 실장과 장비에 대해 기술하고자 한다.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Small Automatic Line Marking Equipment (소형 차선도색 자동화 장비의 성능 평가에 관한 연구)

  • Lee, Yongmun;Kim, Sangtae;Kim, Heungrae;Choi, Keechoo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6 no.4
    • /
    • pp.677-684
    • /
    • 2016
  • In order to improve the nighttime visibility of the lane, the need for the development of the automated line marking equipment is on the ri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performance assessment methodology that can be assessed from various aspects such as productivity, safety and quality performance of line marking equipment and to comprehensively analyze the performance of hand-operated and automated equipment based on field test. The following shows the results. It suggested a methodology capable of analyzing the performance of the line marking equipment in terms of productivity, safety and quality. Automated equipment for line marking was analyzed that can be obtained productivity achievement rate of 156.3% as compared with hand-operated equipment. On the basis of the expert advise and literature review, we derived twelve safety factors and ten quality factors of unit work in line marking. By utilizing the AHP technique, we estimated the importance of safety and quality factors. Automated equipment for line marking was analyzed to have been able to expect safety improvement rate of 49.8% and quality improvement rate of 47.2%. It is expected that the performance assessment methodology suggested in this study will be useful in analyzing objective and quantitative validity and expected effectiveness of the line marking equip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