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장기 변동

Search Result 828,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The Role of Exchange Rate in the Spillover Effect of U. S. Interest Rate (미국 금리의 국제 전파효과에 대한 환율의 역할)

  • Jo, Gab-Je
    • Korea Trade Review
    • /
    • v.42 no.4
    • /
    • pp.49-68
    • /
    • 2017
  • This paper investigates the spillover effect of the U.S. Interest on Korea's interest rate as well as the role of exchange rate in the spillover effects, by utilizing a open macro model on the determinants of long-term interest rates. According to the cointegration estimation and the Impulse response function, it is found that, across both long-term and short-term, there exist the spillover effect of the U.S. Interest on Korea's interest rate. The fiscal deficit and expected exchange rate have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Koreas's long-term interest rate. Further, foreign exchange market intervention in Korea did not have significant effect on the spillover effect. Thus, this study suggests that exchange rate flexibility would not be enough to restrain the spillover effects of the U.S. interest rate.

  • PDF

환율변동(換率變動)의 추세분석(趨勢分析)과 시사점(示唆點)

  • Kim, Jun-Il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v.17 no.2
    • /
    • pp.127-163
    • /
    • 1995
  • WTO체제의 출범 및 향후의 OECD 가입 등에 따라 외환자유화와 자본시장 개방이 현실로 다가서고 있다. 자본시장 개방과 외환자유화는 이제까지 우리 경제가 경험하지 못하였던 구조적 충격인 동시에 향후 거시경제 운용체계에 커다란 변화를 초래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특히 가장 직접적으로 영향받게 될 환율의 변동패턴이 과거와 크게 달라짐에 따라 수출입과 국제수지를 포함한 거시경제변수들에 대한 직 간접적인 파급효과가 유발될 것으로 판단된다. 본고에서는 자본시장 개방에 따른 우리나라 환율변동의 구조적 변화를 조명(照明) 하고 개방경제하에서의 환율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우선 우리나라와 선진국(先進國) 환율의 장기추세변동(長期趨勢變動)을 비교분석함으로써 자본시장 개방 이후의 구조적 변화 가능성을 검토하였으며, 장기추세분석에 사용된 "Beveridge-Nelson 분해(分解)" 결과는 우리나라와 선진국 모두의 경우 환율의 오버슈팅(overshooting) 현상(現象)이 지지(支持)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장기 추세분석과 함께 구조(構造)VAR모형(模型)의 추정을 통하여 경상요인(經常要因)과 실물요인(實物要因)의 변화에 따른 환율과 상대가격(相對價格)의 반응을 추정한 결과는 환율의 시장조절기능을 존중하는 방향으로 환율정책이 변화되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示唆)하고 있다.

  • PDF

Prediction of River Bed Change after Removing A Low Dam (SMS모형을 이용한 보 철거 후의 하상 변동)

  • 김현석;노영신;이진수;윤병만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5b
    • /
    • pp.898-902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보천거로 인해 발생되는 보 상하류의 하상변동을 예측하여 보았다. 대상 지역은 최근 철거된 경안천 장지보 부근으로 양벌보에서 경안 1교까지 3.5km 구간이다. 흐름분석은 RMA-2를 이용하였으며 하상변동은 SED-2D모형을 이용하여 예측하였다. 모의 결과 보 철거로 인할 유속의 증가로 보 상류에서 침식이 발생하였고, 하류부는 유속 감소로 인할 최적이 발생하였다. 보 철거로 인한 하상변동의 영향이 보 주변에만 국한되지 않고 하류구간에 까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 모형은 장기하상변동에는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어 보철거로 인한 2차원 장기하상변동을 예측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모형의 개발이 요구된다.

  • PDF

환율(換率)의 변동성(變動性)과 원유수입(原油輸入)

  • Kim, Jeong-Sik
    •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 /
    • v.8 no.2
    • /
    • pp.227-244
    • /
    • 1999
  • 환율의 과도한 변동이 무역량을 위축시키는지에 대하여 선진국을 대상으로 그 동안 많은 연구가 있어 왔다. 최근 한국은 1990년 이후 제한하여 오던 환율의 변동허용폭을 폐지함에 따라 환율의 과도한 변동을 경험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의 경우 환율의 변동성이 원유수입(原油輸入)에 미치는 효과를 장단기(長短期)로 구분하여 Johansen에 의하여 개발된 공적분기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단기에 있어서 환율의 변동성은 원유수입을 감소시키나 장기에는 원유수입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단기에는 원유(原油)의 비축물량이 존재하여 가격의 불확실성이 원유수입을 감소시키나, 장기적으로는 원유수입이 비경쟁적 수입이고 수입기업이 환위험을 감소시키는 기법등을 사용한 결과로 환율의 변동성이 원유수입에 큰 영향을 주지 않았다고 할 수 있다.

  • PDF

Riverbed Change Analysis and Long-term Prediction for the Major River Sections of Multifuntional Administrative City (행정중심복합도시 주요 하천구간에 대한 하상변동 실태분석과 수위유지시설의 설치에 따른 장기 예측)

  • Shin, Kwang-Seob;Jeong, Sang-Man;Lee, Sam-Hee;Lee, Joo-Heon;Heo, June-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977-981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행정중심복합도시 예정 및 주변지역의 금강과 미호천 일부 구간을 대상으로 하상변동의 실태 분석과 수위유지시설 설치에 따른 장기 예측을 실시하였다. 1988년, 2002년 및 2007년의 횡단자료를 이용하여 대상구간의 종방향 하상변동 실태를 분석한 결과 금강과 미호천 구간 모두 2007년 최심하상고는 1988년에 비해 심한 저하가 발생된 반면 2002년에 비해서는 미소한 변화가 발생되었다. 수위유지시설 설치에 따른 하상변동 장기 예측을 수행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미육군 공병단에서 개발한 1차원 모형인 HEC-RAS 4.0 모형을 적용하였다. 고정상 모형의 수행을 통하여 수면고의 이상치를 보정(calibration)하였으며, 1988년과 2002년 횡단자료를 사용하여 이동상 모형에서의 검정(verification)을 실시하였다. 2007년을 기준으로 하여 2017년까지 향후 10년간 수위유지시설의 설치 높이에 따른 시나리오별 하상변동을 예측한 결과 미호천 대상구간은 그 영향이 미미하였으나 금강 대상구간은 수위유지시설의 높이가 높을수록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위유지시설의 설치 높이가 7m일 경우 금강 대상구간은 설치하지 않을 경우보다 미호천합류점 상류부근에서 1.59m의 퇴적이 발생할 것으로 모의되었으며, 수위유지시설 하류부근에서 1.98m의 침식이 발생할 것으로 모의되었다.

  • PDF

Effects of Exchange Rate Risk and Industrial Activity Uncertainty on Import Container Volume in Korea (환위험과 경기 불확실성이 우리나라의 수입물동량에 미치는 영향)

  • Kim, Chang-Beom
    •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 /
    • v.26 no.4
    • /
    • pp.88-100
    • /
    • 2010
  • This paper investigates the influence of industrial activity volatility and exchange rate volatility on import container volume of the Korea during the 1999:1- 2010:9. Conditional variance from the GARCH(1, 1) model is applied as the volatility. The Johansen multivariate cointegration method and the error correction (general-to-specific) method are applied t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import volume and its determinants.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volatility has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import volume.

Application of GSTARS and HEC6 for Long-term Prediction of Bed Change in Hyungsan River (형산강의 장기하상변동예측을 위한 GSTARS와 HEC6의 적용)

  • Ahn, Jung-Min;Lyu, Si-Wan;Lee, Nam-Joo;Yeo, Hong-G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958-962
    • /
    • 2008
  • 하천유황, 하상재료, 하도지형의 자연적 또는 인위적 변화에 의한 장 단기적 하상변동의 해석 및 예측은 하천계획 및 관리를 위해 필수적이다. 특히, 제방 축조 등의 인위적 정비로 충적층 발달이 미약한 우리나라 하천은 상대적으로 종단형의 변화가 중요한 문제로 등장하였다. 하천의 이수, 치수 및 환경기능에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장기적인 하상변동 예측을 국가하천 형산강에 대해여 HEC6 모형과 GSTARS 모형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2006{\sim}2007$년 동안 형산강에서 직접 실측한 유량-유사량, 하상토, 하천측량자료를 GSTARS와 HEC6 모형에 적용하여 장기 하상변동을 모의하고 그 결과 값을 비교 분석하였다. 수위표 지점인 형산교(모아), 강동대교(안강), 국당2교(부조), 신형산교(대송)를 내부경계조건으로, HEC-RAS를 통하여 조도계수 값을 보정하였으며 유량 값은 유황곡선을 통하여 연간유입량을 각 날짜별로 구성하였다. 모형의 검증은 Laursen (1963), Laursen (Modified by Maddden, 1985), Laursen (Modified by Copeland, 1990), Yang (1973) 공식을 이용하여 최심하상고 변화량 제곱근 오차가 가장 작은 공식을 선정하였다. 2006년 형산강에서 실측된 하천측량자료를 이용하여 14년간 장기하상을 모의해 본 결과 형산강 유역에서는 Laursen (Modified by Copeland, 1990, HEC6)와 Laursen (1958, GSTARS)공식이 가장 작은 오차를 나타내었으며 HEC6와 GSTARS는 하상변동의 경향을 잘 나타내었다. 형산강의 전반적인 하상변동 경향은 상류지역은 전반적으로 하상이 저하하였고 하류지역은 하상이 상승하였다. 또한 하류부는 하상이 안정화를 이루고 있어 변화가 적은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검증 기간 동안의 골재채취와 보의 설치 등의 외부 여건과 신뢰성 있는 유입유량을 반영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보다 나은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유량-유사량의 관측과 자료의 보완 및 정밀 조사 분석이 필요하다.

  • PDF

Prediction of Long-Term River Bed Changes in Saemangeum Area (새만금지구 장기 하상변동 예측)

  • Jung, Jae-Sang;Song, Hyun Ku;Lee, Jong Sup;Kim, Gweon S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394-398
    • /
    • 2016
  • Numer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Delft3D developed by Deltares in Netherlands to predict long-term river bed changes in Saemangeum Area. Tidal flow, discharge through the drainage gates and river bed changes in numerical model was verified by comparing to the results of field observation and hydraulic experiments. We calculated long-term river bed changes in Saemangeum area for 10 years from 2031 to 2040 after completion of development in Saemangeum. It is shown that 70 cm and 139 cm of accumulation occur in estuaries of Dongjin River and Mankyong River, respectively. Variation of flood level was also investigated considering long-term river bed changes. There was no change in estuary of Dongjin River but maximum flood level in estuary of Mankyong River increased 81 cm.

  • PDF

A Study on Prediction of Bed Changes in the Imjin River Using the HEC-6 Model (HEC-6 모형을 이용한 임진강 하상변동 예측에 관한 연구)

  • Lee, Nam-Joo;Hwang, Seung-Yong;Lee, Sam-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566-1570
    • /
    • 2006
  • 이 연구는 하상변동 수치모형을 적용하여 임진강의 장기간 하상변동과 그에 따른 하천 수위 변화의 예측, 안정하상 검토, 하상변동이 계획홍수위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하상준설이 수위 및 하상변동에 미치는 영향의 검토를 통해 해당 하천에서 하상변동 특성의 파악에 필요한 자료 및 중.장기 수방대책 수립을 위한 기본 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임진강 하상변동의 예측에 적절한 일차원 정상 하상변동모형으로 HEC-6 모형을 선정하였다. 모형적용을 위한 현황분석으로 하상토 특성 자료를 수집.분석하였으며, 지형자료에 대한 분석도 수행하였다. 그리고 모형의 적용영역 내에 위치한 각 수위표 지점의 수리.수문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HEC-6 모형의 보정을 고정상 보정과 이동상 보정으로 구분하여 수행하였다. 고정상 보정에서는 설정한 조건에 적합한 Manning계수의 결정이 곤란하여 하천의 지형자료와 하상토 자료 등을 고려하여 구간별로 적정한 Manning 계수 값을 선정하였다. 이동상 보정을 통해 HEC-6 모형에서 사용하는 유사량 산정공식 중 하류경계에서 상류로 약 8 km 구간에 대한 하상상승 현상을 가장 잘 보여주는 유사량 공식인 Madden(1963)이 수정한 Laursen(1958) 공식을 선택하였다. 하천망 유사이동 수치모형인 HEC-6 모형을 사용하여 20년간의 장기하상변동을 수치모의하였다. 임진강의 최심하상고 변동량 예측결과 상류경계로부터 약 52 km까지는 하상저하가 지배적이며, 중 하류는 하상상승이 지배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대상구간에서 대체로 퇴적에 의한 하상상승이 예상되었다.

  • PDF

An Analysis of River-Bed Changes in the Daecheong Dam Downstream (대청댐 하류구간에 대한 하상변동 분석)

  • Jeong, Sang-Man;Choi, Kyu-Ho;Kim, Do-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596-1600
    • /
    • 2006
  • 자연적인 하천은 하도 상황의 변경, 유역 토지이용의 변화, 댐과 저수지, 하천 골재채취의 영향 등 여러가지 요인에 의해 하상변동이 발생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금강 대청댐 하류구간의 실측자료를 토대로 장기하상변동 모의를 하여 예측된 결과와 실측단면을 비교하였으며, 실측단면이 장기하상변동 모의결과보다 상당히 저하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금강의 측량자료를 수집하여 비교분석한 결과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금강의 하상이 지속적으로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청댐 하류의 하상고는 대청댐 상류보다 저하폭이 상당히 큰 것으로 나타났다. 원인분석 결과 대청댐 건설로 인한 유사차단으로 인하여 대청댐 하류의 하상고는 지속적으로 저하되는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주요원인으로 금강의 골재채취가 금강하류 하상변동에서 상당히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