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diction of Long-Term River Bed Changes in Saemangeum Area

새만금지구 장기 하상변동 예측

  • 정재상 (한국농어촌공사 농어촌연구원) ;
  • 송현구 (한국농어촌공사 농어촌연구원) ;
  • 이종섭 (부경대학교 토목공학과) ;
  • 김권수 (세일종합기술공사 항만및해안개발기술연구소)
  • Published : 2016.05.25

Abstract

Numer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Delft3D developed by Deltares in Netherlands to predict long-term river bed changes in Saemangeum Area. Tidal flow, discharge through the drainage gates and river bed changes in numerical model was verified by comparing to the results of field observation and hydraulic experiments. We calculated long-term river bed changes in Saemangeum area for 10 years from 2031 to 2040 after completion of development in Saemangeum. It is shown that 70 cm and 139 cm of accumulation occur in estuaries of Dongjin River and Mankyong River, respectively. Variation of flood level was also investigated considering long-term river bed changes. There was no change in estuary of Dongjin River but maximum flood level in estuary of Mankyong River increased 81 cm.

새만금지구의 장기적인 하상변동을 예측하기 위해 네덜란드 Deltares사에서 개발한 Delft3D 모델을 이용하여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모델에서 조석, 배수갑문을 통한 방류량 및 지형변동의 정확도를 현장 관측자료 및 수리모형실험 결과를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수치해석은 내부개발 완료 이후인 2031년부터 2040년까지 10년 동안의 하상변동을 모의하였다. 해석 결과 동진강 수계의 경우 지형변화가 10년 동안 최대 70cm 가량의 퇴적이 발생하였으며, 만경강 수계의 경우 약 139cm의 퇴적이 발생하는 것으로 검토되었다. 새만금지구의 장기적인 하상변동이 홍수위 변화에 미치는 영향 역시 검토하였다. 200년 빈도 홍수량을 대상으로 검토한 결과 동진강 수계의 경우 지형변동에 따른 홍수위 상승이 거의 없었으나, 만경강 수계의 경우 최대 약 81cm 가량 홍수위가 상승하는 것으로 검토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