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장기 변동

Search Result 828,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Long-term Bed Change Analysis and Equilibrium Bed Elevation Prediction after Weir Construction in Nakdong River (낙동강의 보 구조물 설치 후 장기 하상변동 분석 및 평형하상고 예측에 관한 연구)

  • Ji, Un;Jang, Eun-Kyung;Kim, Wo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6 no.10
    • /
    • pp.7089-7097
    • /
    • 2015
  • Bed changes in the Nakdong River were analyzed with long-term monitoring data for analyzing riverbed change patterns after Four Major Rivers Restoration Project (FMRRP). Also, possible long-term bed changes were predicted using one-dimensional numerical model for the section where the largest change was observed after FMRRP. The sensitive analysis was performed with different incoming sediment discharge conditions and sediment transport equations. The numerical model was calibrated by comparing short-term monitoring data and simulated results, and was applied for predicting bed change after 10 years. As a result of monitoring data analysis, the largest change in bed elevation occurred at the section between the Changnyeong-Haman and Hapcheon-Changnyeong weirs. The result of one-dimensional numerical modeling for 10 years indicated that maximum depositions of 2.07 m and 3.26 m were produced in this section.

A Empirical Study on Expectations Hypothesis of the Term Structure of Implied Volatility in Kospi 200 Options Market (KOSPI 200 주가지수옵션시장에서 내재변동성 기간구조의 기대가설검정에 관한 연구)

  • Kang, Byung-Young;Min, Kyung-Tae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
    • /
    • v.22 no.2
    • /
    • pp.91-105
    • /
    • 2005
  • Using Campa and Chang's Expectations Hypothesis model, We test the expectations hypothesis in the term structure of volatilities in options on KOSPI 200 by using daily dosing prices from January 1999 to December 2003. In particular, it addresses whether long-dated volatilities are consistent with expected future short-dated volatilities, assuming rational expectation. Our results do not support the expectations hypothesis : long-term volatilities rise relative to short-term volatilities, but the increases are not matched as predicted by the expectations hypothesis. In addition, an increase in the current long-term volatilities relative to the current short-term volatilities is followed by at a random.

  • PDF

Simulation of Improvement Method for Narrow Cross-Section in Hyungsan River Using HEC-6 (HEC-6를 이용한 형산강 협착부 개선방안 모의)

  • Kim, Jung-Min;Kim, Young-Do;Lyu, Si-Wan;Lee, Nam-J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953-957
    • /
    • 2008
  • 일반적으로 하천은 오랫동안 장기간의 변화를 겪으며 안정되어 있다. 산사태나 홍수 등 자연적인 변화뿐 아니라 댐이나 교량 등 인위적인 변화에 따라 흐름이나 유사량이 변하게 되며 이런 동적변형상태를 복원하는 과정에서 침식과 퇴적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져 대규모 하상변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하천에서 발생하는 대규모의 하상변동에는 일반적으로 1차원 해석이 적용된다. 하천의 일정 하도구간을 고려할 경우 구간의 상류단면으로부터 유입하는 유입토사량과 하류단면에서 유출되는 유출토사량과의 비에 따라 그 구간에는 하상상승(aggradation)및 하상저하(degradation)가 발생하게 되고 이것이 거시적 측면에서 하상변동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장기하상변동은 경우에 따라서 이수용도의 수문 혹은 취수구가 노출되거나, 교량의 교각에 국부세굴이 발생되어 붕괴위험이 생기는 등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수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하상변동 예측 모형 중 신뢰성 및 적용성이 우수한 것으로 인식되고 있는 HEC-6 모형을 형산강수계에 적용하여 4가지 협착부 개선방안에 따른 장기하상변동에의 영향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하천기본계획상의 횡단면도와 유사량 실측값을 이용하여 유사모의 결과를 검증하고 2020년까지의 모형의 계산 값을 이용하여 4가지 대안에 따른 모의 결과와 원안의 결과와 비교 및 분석하였다. 모의한 결과 형산강의 하상변동치가 크지 않은 것은 형산강의 하상이 어느 정도 안정되어 있어 장기적인 하상변동이 크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협착부 개선에 따른 대안 1, 2, 3, 4의 하상이 크게 변하지 않음을 보였다. 지형 변화에 따른 장기하상변동에의 영향이 크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PDF

Bed elevation change after restoration of Cheongmi-cheon Stream (청미천 구하도 복원에 따른 하상변동 분석)

  • Kim, Seong Jun;Kim, Seung Ki;Choi, Sung-U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139-139
    • /
    • 2018
  • 국내 하천은 산업화와 도시화로 인하여 하천수가 오염되고, 치수를 위한 인공적, 획일적인 하천개수가 보편화 되었다. 그 결과 본래 하천이 가지고 있던 생물서식처 기능과 자정, 친수 기능 등 하천환경 기능이 점차 상실되었고, 하천형태도 변형되었다. 이와 같은 자연적인 변화와 더불어 준설, 수리구조물 설치 등 인위적인 변화에 의하여 흐름 및 유사이송 양상이 바뀌어 하상변동이 초래되기도 한다. 하상변동은 하천 시설물의 안정, 홍수위 및 지하수위 변화, 하천부지의 변화 등 하천관리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고, 또한 수생태계의 서식환경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하천을 복원하는데 있어 중요한 고려사항이 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청미천 복원 사업 구간에 대하여 장기하상변동 모의를 수행하고 하도 안정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구하도 복원구간에서 새롭게 수행된 측량데이터를 토대로 지형자료를 구축하였으며, 2차원 하상변동 모의가 가능한 CCHE2D 모형을 이용하여 장기하상변동 모의를 실시하였다. 또한 구하도 복원의 하천지형학적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구하도를 복원하지 않았을 경우의 시나리오를 도입하여 비교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 PDF

Analysis of the Temporal Variability of Long-term Precipitation in South Korea using Singular Spectrum Analysis (Singular Spectrum Analysis를 이용한 우리나라 강수장기자료의 시간 변화도분석)

  • Kim, Gwang-Seob;HwangBo, Jung-D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479-1482
    • /
    • 2006
  • 본 연구는 우리나라 강수자료 중 90년 이상의 자료를 보유한 지점(서울, 인천, 목포, 부산)에 대해서 변화도 분석과 Singular Spectrum Analysis(SSA)를 사용하여 자료의 주성분 및 주기성을 분석하였다. 각 자료의 변화도 분석결과 1907에서 2004년까지 98년간의 장기변화 중 선형추세에 의한 강우변화량은 23-11mm/mon 증가한다. 선형추세에 의한 년 강우변화량은 276-132mm/yr 이며 증분의 약 65%가 8월 증가량으로 과거 30년 강우분포는 7월에만 피크를 가지나 최근 30년의 강우분포는 7월과 8월에 비슷한 피크를 가지는 변화를 보일 뿐 아니라 지역에 따라 상이한 분포 양상을 보였다. 강우의 선형적 증가와 함께 변화폭도 증가하며 서울, 인천지역이 목포, 부산지역보다 큰 증가 양상을 보였다. 월 변화패턴과 선형추세 등 확정적 변화를 제거한 anomaly는 장기 변동과 각 달에 대해 다른 변동 폭을 가지는 noise의 합의 형태로 나타난다. Moving ave rage를 이용한 장기변동양상은 특정 주기를 가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변동 폭도 noise의 변동 폭에 비하여 미소하다. SSA결과 첫 번째 주성분이 전체변화의 1.7%이며 30번째 성분은 전체변화의 약 1% 정도로 장주기의 변화를 보였으나 전체자료에 비해 각 요소들이 설명하는 비중이 상당히 낮았다.

  • PDF

An Analysis of Long-Term Bed Elevation Changes to Estimate Total Scour Depth at Bridge Site (교량에서의 총세굴깊이 산정을 위한 장기하상변동분석)

  • Lee, Jae-Su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0 no.6
    • /
    • pp.721-729
    • /
    • 1997
  • Total scour depth at a bridge is comprised of three components: long-term changes, contraction scour and local scour. Therefore, the analysis of long-term bed elevation changes is very important in the estimation of total scour depth at bridge sites. In this research, long-term bed elevation changes at the Namhan River Bridge are analysed using CHARIMA and HEC-6 models. The results show that, for 5-year steady normal stream flow, the bed elevation is aggreded by 45cm for CHARIMA model but degraded by 5cm for HEC-6 model. For 5-year unsteady flow, the bed elevation is changed greatly and it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estimation of total scour depth. Therefore, to make a proper estimation of total scour depth, not only contraction scour and local scour, but also long-term bed elevation changes should be estimated precisely.

  • PDF

LIHAR model for forecasting realized volatilities featuring long-memory and asymmetry (장기기억성과 비대칭성을 띠는 실현변동성의 예측을 위한 LIHAR모형)

  • Shin, Jiwon;Shin, Dong Wan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29 no.7
    • /
    • pp.1213-1229
    • /
    • 2016
  • Cho and Shin (2016) recently demonstrated that an integrated HAR model has a forecast advantage over the HAR model of Corsi (2009). Recalling that realized volatilities of financial assets have asymmetries, we add a leverage term to the integrated HAR model, yielding the LIHAR model. Out-of-sample forecast comparisons show superiority of the LIHAR model over the HAR and IHAR models. The comparison was made for all the 20 realized volatilities in the Oxford-Man Realized Library focusing specially on the DJIA, the S&P 500, the Russell 2000, and the KOSPI. Analysis of the realized volatility data sets reveal apparent long-memory and asymmetry. The LIHAR model takes advantage of the long-memory and asymmetry and produces better forecasts than the HAR, IHAR, LHAR models.

Effects of U.S. Inventory and OPEC Production on Crude Oil Price (미국 재고량과 OPEC 생산량이 국제원유가격 변동에 미치는 영향분석)

  • 서성진;허은녕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Energy Engineering kosee Conference
    • /
    • 1999.11a
    • /
    • pp.225-230
    • /
    • 1999
  • Since changes in crude oil price exert colossal influence upon most national economy, it is important to investigate about factors that cause the change through an appropriate crude oil price forecast. This paper examines the relationship among crude oil price, OPEC production and U.S. inventory using cointegration and error correction model. We found that crude oil price is likely to increase significantly for a given decrease in not only the OPEC production but also the U.S. inventory. Furthermore, we found that crude oil price is more elastic with respect to OPEC production in the short-run, and more elastic with respect to U.S. inventory in the long-run. Moreover, in the long-run, U.S. inventory have more an effect on crude oil price than OPEC production. Finally, crude oil price adjusts to their respective long-run equilibrium at a moderate speed, about 12% of adjustment taking place in the first year.

  • PDF

Simulations of Long term Bed Changes in the Hyungsan River Using the Numerical Model (수치모형을 이용한 형산강의 장기하상 변동 모의)

  • Ahn, Jung-Min;Lyu, Si-Wan;Lee, Nam-Joo;Yeo, Hong-G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272-1276
    • /
    • 2007
  • 하천유황, 하상재료, 하도지형의 자연적 또는 인위적 변화에 의한 장 단기적 하상변동의 해석 및 예측은 하천계획 및 관리를 위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하상변동 수치모형들을 적용하여 형산강의 장기 하상변동을 모의하고 그 결과를 통하여 각 모형별 특성을 비교하였다. 모의 과정으로는 형산강 수계에서 수위표 설치지점인 형산강교, 강동대교, 국당2교, 신형산강교 4지점에서 유사량 측정을 실시하여 실측자료를 확보하였다. 형산강 수계의 하상변동을 예측하기 위한 하상변동모형으로는 HEC-6, GSTARS모형을 선정하였고, HEC-6모형에서는 유사량 산정공식으로 하상상승 현상을 가장 잘 보여주는 Laursen공식을, GSTARS모형에서는 상대적으로 가장 안정적인 Ackers & White공식을 사용하였다. HEC-6, GSTARS모형을 상호 비교한 결과, HEC-6모형이 상대적으로 하상변동을 크게 산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Long-term monitoring study in Lake Soyang, Chuncheon (소양호 수질 장기모니터링 연구)

  • Kwon, Hyeok Joon;Kim, Eui Suk;Kim, Beom-Cheol;Hong, Eun M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436-436
    • /
    • 2021
  • 강원도 춘천시에 위치한 소양호는 북한강 상류수계로서 1973년에 준공된 우리나라 최대의 인공호이다. 소양호는 준공 이후 주변 유역의 인구밀집도가 낮고 오염물질 유입원이 적어 빈영양호의 수질을 보였다. 준공 후 소양호 수질에 영향을 미친 주요 환경요인으로는 1980-90년대 가두리 양식, 1990년대 후반부터 현재까지 지속되는 문제는 상류에서 강우시 발생된 탁수유입이 있다. 이러한 환경 문제로, 소양호에서는 식물플랑크톤 일차생산력, 동물플랑크톤 및 식물플랑크톤 장기변동, 용존산소 일주기 변동, 호수 내 유기물 분포 등의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가두리 양식장의 철거로 한 가지 요인은 해결되었으나 상류 탁수 유입 문제는 현재까지 진행 중이다. 소양호에서는 매해 여름철 탁수 유입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부영양화를 초래할 수 있는 주요한 문제이다. 이에 본 연구는 소양호에서의 장기적인 생태계 변동성 연구를 위해 1982년부터 현재까지 월 1-4회 수질 모니터링을 실시 중이며, 수질항목은 SS(Suspended Solids), TN(Total Nitrogen), TP(Total Phosphorus), BOD(Biochemical Oxygen Demands), TOC(Total Organic Carbon), Chl-a(Chlorophyll-a)에 대해 분석을 진행하고 있다. 기존 연구에서는 주-월 단위로 모니터링을 실시하여 강우에 의한 탁수 유입, 타 오염원에 의한 오염물질 및 유기물 유입으로 인한 실시간 수질 변동을 파악할 수 없었으며, 이벤트 발생 이후의 경과만 관찰할 수 있는 한계점이 있었다. 그러나 앞으로의 진행될 연구는 고빈도 센서를 이용하여 실시간 짧은 간격으로 모니터링하여 소양호 수질의 일주기 변동 분석과 오염원 유입과 같은 이벤트 발생 전·후 비교 및 실시간 수질변동에 대해 연구하는 것이며, 기존 데이터와 함께 진행될 연구의 데이터를 활용하게 된다면 소양호에서의 장기적인 수질 변화를 분석하는 데 효과적일 것으로 예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