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장기요양등급

검색결과 57건 처리시간 0.023초

국내 요양병원 심벌마크의 형태 및 색채 분석 연구 (A Study on the Shape and Color Analysis of the Symbols of Nursing Hospitals in Korea)

  • 손정은;정의태;이하나;백진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2호
    • /
    • pp.113-120
    • /
    • 2019
  • 대한민국은 인구의 10.9%가 65세 이상으로 고령화 사회에 속해 있으며 인구의 고령화는 자연스럽게 노년부양비 급증으로 연결된다. 격화되고 있는 병원경쟁 환경 속에서 각 의료기관은 체계적 경영전략을 펼치고 있다. 이에 비하여 요양병원은 장기 입원 및 요양을 하는 병원 특성 상 디자인과 경영 전략은 타병원군에 비하여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늘어나는 요양병원의 수요에 알맞은 디자인 전략 수립을 위한 요양병원의 심벌마크 색채 및 형태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은 국내 요양병원 1등급을 받은 병원 131개 병원이고, 각 심벌마크를 수집하여 형태와 색채를 분석하는 방법으로 진행되었다. 심벌의 형태의 분석결과로는 인공물을 모티브로 한 마크가 가장 많았으며 그중에서도 십자가, 하트, 사람 형태를 가진 심벌이 많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색채 분석에서는 약 50% 이상이 2가지 색채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주된 색상은 파란색 계열 및 초록색 계열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자료가 요양병원 심벌마크 디자인 시 참고자료로 사용되어 나날이 증가하는 요양병원의 수요와 치열화되는 병원 경쟁에 소비자의 선택과 병원경영 전략 수립에 도움이 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노인장기요양 환자의 건강상태와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 (A Study on the Health Status and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Patients with Long-Term Care)

  • 심미애;한경순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379-389
    • /
    • 2014
  • 요양병원에서 6개월 이상 입원 가료중인 노인환자들을 대상으로 구강건강상태를 객관적으로 평가하였고, 전신질환 및 우울감 상태를 파악하여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과의 관련요인을 확인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상자의 잔존치아 수는 11.22개였고, 우식치아 수는 1.17개, 동요치아 수는 0.93개였으며, 81.9%에서 구취가 확인되었다. 전신질환이 없거나 한 가지 미만인 경우는 29.70%에 불과하였고, 70.31%가 두 개 이상의 복합적인 전신질환을 가지고 있었다. 대상자의 87.8%에서 우울감이 있었으며, 이 중 55.40% 는 심한 우울감을 나타냈다.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은 평균 2.62점이었고, 관련요인으로는 요양등급, 입원기간, 연령과 함께 잔존치아 수와 우식치아 수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요양병원에 장기입원 중인 노인환자는 일반노인에 비해 전반적으로 구강건강상태가 좋지 않았으며, 전신질환 수와 우울감이 높고,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이 낮아 고령화사회에서 노인인구를 위한 대책이 시급하며, 특히 요양시설 노인환자를 위한 구강건강관리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시설 치매노인의 영양불량 상태 영향요인 (Malnutritional Status and It's Related Factors of Demented Elderly in Long-term Care Facilities)

  • 현은영;오진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9호
    • /
    • pp.426-436
    • /
    • 2017
  • 본 연구는 시설 치매노인을 대상으로 영양불량 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충남 소재 요양시설 3곳에 거주하는 치매노인 140명으로 자료 수집은 2016년 5월 30일~9월 30일까지 하였고 자료는 설문지를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t-test, ANOVA, 상관관계, 회귀분석으로 검정하였다. 대상자의 영양불량 상태는 고 위험군 (84명, 60.0%)이 많았으며, 성별, 장기요양등급, 신체기능, 식사행동 장애 및 인지기능과 관련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중 회귀 분석결과 영양불량 상태에 유의한 영향변수는 신체기능(${\beta}=0.379$, p=.000) 식사행동 장애(${\beta}=0.264$, p=.001), 인지기능(${\beta}=-0.187$, p=.014)으로서 이들 변수는 영양불량 상태에 대해 35.9%의 설명력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는 시설 치매노인의 영양불량 상태 개선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일개 지역 요양병원 간병인의 감염관리수행도 관련성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Infection Control Performance in a Long Term Care Hospital Caregivers)

  • 홍나경;강경자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호
    • /
    • pp.187-198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일개 지역 요양병원 간병인의 일반적 특성, 감염관리 특성, 감염예방지식과 감염관리환경을 확인하고 감염관리 수행도에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자는 일개 지역 8개 요양병원의 간병인 197명이며, 자료수집은 자가기입 설문지를 이용하였으며, 2018년 8월에 진행되었다. 자료분석은 SPSS WIin 20.0을 이용하여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hierarchial multiple stepwise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감염 예방지식은 감염관리수행도와 유의한 상관관계(p<.001)가 있었다. 요양병원 간병인의 감염관리수행도 영향요인은 70세 이상(t=2.50, p=.013), 8시간 근무(t=-2.62, p=.010), 1등급(t=2.48, p=.014), 감염예방지식(t=2.96 p=.003)이었으며, 제 변수들은 요양병원 간병인 감염관리수행도의 12.9%를 설명(F=6.70, p<.001)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요양병원 간병인의 감염관리수행도 영향요인을 확인함으로써 추후 간병인의 감염관리수행도 향상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요양병원의 감염관리 수준을 향상시키는데 기초자료가 될 수 있다.

장기요양보험 등급판정 대상자의 지역별 방문간호 서비스 이용 만족도 및 요구도: 대도시, 중소도시, 농촌 지역을 중심으로 (Regional Comparison of Home Visiting Care Service Satisfaction among Elder Beneficiaries of the Long Term Care Insurance)

  • 곽찬영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14-123
    • /
    • 2016
  • Purpose: This study aims at comparing levels of service satisfaction with and needs for visiting nurse(VN) services among their beneficiaries in order to make a plan for extending VN services. Methods: The number of the subjects of this study is 270 in total. They were selected in random sampling in which 30 VN service recipients were randomly selected from each of 7 regions based on their grades and region types. Results: The highest total score for satisfaction with the VN services was 46.30, which the rural residents gave to their received VN services, then the metropolitan residents gave 44.57, and the small and middle size cities' residents 43.64. On the other hand, the highest total score for needs for VN services was 33.03, which the small and middle size cities' residents gave to their received VN services, then the rural residents gave 31.68, and the metropolitan residents 30.88. Conclusion: As the small and middle size cities' residents showed low satisfaction with and high needs for local VN services, policies need to be made to promote service providers' expertise and accessibility.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시행에 따른 등급판정의 중요성에 대한 연구 (Study of Importance of Grade Decision to Enforce the Insurance Policy for Long-Term Care)

  • 이태식;구봉오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20권2호
    • /
    • pp.43-48
    • /
    • 200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ortance of grade decision and role of physical therapist which follows enforcement of elderly long-term residential care insurance system. Methods: One of the data from grade decision meeting in Bukgu, Busan on 2007 which was 88 case of attached finding of doctor was compared with findings of visited investigator. Result: Eighty-four investigation subjects had 186 diseases that included stroke and arthritis, requiring the need for physical therapeutic approaches.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e door-to-door research project in the northern district of Busan showed that there was no match out of 88 subjects who submitted the viewpoint of the doctor. Such a result was produced as the doctors did not diagnose the patient directly, but rather the diagnoses were obtained from guardians and a door-to-door researcher who had a poor understanding of geriatric motion and function. Conclusion: To enforce long-term care successfully, a re-investigation should be performed for the welfare of the aged.

  • PDF

A Study on the Efficiency of Day C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in 22 Cities and Counties in Jeonnam

  • Seong-Bae Jeong;Yeon-Ju Lee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8권10호
    • /
    • pp.247-256
    • /
    • 2023
  • 본 연구는 전남지역 22개 시·군 노인주간보호시설의 효율성 분석을 통해 노인주간보호시설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대안 제시에 연구목적을 두고 수행하였다. 연구를 위한 분석자료는 국민건강보험공단 노인장기요양보험 주요 통계(2022년)를 이용하였고, 투입변수는 시설 수, 종사자 수, 정원, 노인장기요양등급 인정자 수를 선정하였으며, 산출변수는 현원으로 선정하였다. 분석 결과 CCR은 고흥군, 곡성군, 광양시, 보성군, 영암군, 진도군이 가장 효율적이었고, BCC는 고흥군, 곡성군, 광양시, 구례군, 담양군, 보성군, 진도군이 가장 효율적이었으며, SE는 진도군, 곡성군, 광양시 순으로 가장 초 효율적인 지역으로 나타났다. 기여도 분석에서는 정원과 종사자 변수가 효율성 기여에 영향이 큰 변수로 나타났다. 개선 가능성 분석에는 시설 수 변수가 효율성에 영향이 큰 변수로 나타났다. 따라서 노인주간보호시설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 시설수, 정원과 같은 수요와 공급 조정을 제언하고, 기여도가 큰 종사자의 전문성 강화 교육프로그램이 요구됨을 제언한다.

서울특별시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통합돌봄 요구 (Needs for Integrated Care for Older Adults in Seoul)

  • 김형수;고영;손미선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5호
    • /
    • pp.177-187
    • /
    • 2020
  • 본 연구는 65세 이상 노인의 돌봄요구군을 분류하고, 군간 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한국보건사 회연구원이 진행한 '2017년도 노인실태조사'의 자료를 이용한 이차자료 분석연구로, 분석대상은 2017년 노인실태 조사 참여자 중 서울시 노인 999명, 가중치 부여 1,295,491명이다. 돌봄요구군의 분류를 위하여, 의료요구, 일상생활수행 지원요구, 사회적 활동 지원요구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지원요구가 하나도 없는 일반군이 50.4%, 의료요구군이 17.9%, 일상생활수행 지원요구 또는 사회적 활동 지원요구가 있는 복지요구군이 14.2%, 의료요구와 복지요구가 모두 있는 복합요구군이 17.5%이었다. 성별, 흡연, 치매검진, 지난 1년간 외래이용, 일상생활수행 도움 여부, 비동거 자녀 또는 손녀 여부를 제외한 일반적 특성, 장기요양등급 및 장애등급 현황, 경제적 부담 및 일상생활 도움 정도, 건강행태와 건강상태, 삶의 만족도에서 돌봄요구군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p<.001). 복합요구군에게 의료와 복지의 통합돌봄 서비스를 우선 제공해야 한다. 특히 복합요구군은 의료, 복지, 운동, 영양, 정신건강, 간호의 요구를 모두 가지고 있는 대상자로 다학제적 팀 접근이 필요하다.

등급판정 관련 특성이 장기요양 인정률에 미치는 영향 (Factors affecting regional rate of certification in Korean Long-term Care Insurance)

  • 강임옥;한은정;박종연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381-396
    • /
    • 2011
  •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the regional rate of certification for long-term care insurance benefits. Analyzed data were the 253,935 certified beneficiaries (equivalent to 4.9% of total elderly population) as long-term care degree (LTC degree) 1~3 extracted from the applicants for long-term care in the beginning stage of the system from April 15 2008 to July 1 2009. Although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individuals, after restructured into regional data and then analysed in the unit of 225 administrative regions for the Korean Long-term Care Insurance. The rate of certification was operated as the percentage of people of LTC degree 1~3 to the elderly population in each region. The average rate of certification among regions was 4.91%, and ranged from 2.20% to 8.32%. In the analysing regression models, most socio-demographic variables, applicants' disease characteristics, regional service infrastructure, and the certification interviewer's characteristics were included. The most influencing variables were the disease factors of applicants, especially dementia or cerebrovascular disease rather than arthritis, osteoporosis, or fracture patients were strong factors for the regional rate of certification. However, advanced studies adding more explainable factors on the regional variance of certification rate would be necessary to provide political agenda and measures for evidence-based certification process with high reliability and validity for a sustainable LTC system in Korea.

노인장기요양보험 등급외 판정자의 관리현황과 개선방안 (A study on the present status and improving management of the non-eligible people in Korean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 권진희;한은정;이정석;박종연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04-127
    • /
    • 2010
  • To vitalize the link program of Korean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to community-based services for non-eligible people, we analysed the claim data from the Korean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NHIC), and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to charging employees of elderly service department at local governments. The subjects were all 81,377 people, 57,454 of them were arranged to community-based services. The link program was more necessary among the missed subjects rather than the arranged people due to the need for physical or psychological assistance. By the result of the survey to the local government employees, 59.5% of subjects responded their proportion of link service was over 10% and under 20%, and 54.3% of them responded their job boundary are not clear. Major type of linking was notification the subject list to local government, 91.4%; proportion of periodical notification on the status of their service link were 57.1%, only 7.1% were followed to manage after the link. Difficult factors at the link process were pointed out the overload by other side work, deficiency of resources, rigidity of priority of link, and so on. Considering these results, to vitalize the community-based services to the non-eligible people, it may be essential the active participation of the subjects, construction of parts working in coordination among the institutions including NHIC, local governments, and service providers; development of various services for maintenance or promotion of the non-eligible peoples' health and functional status; and active participation of institutions from the third sector, and so 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