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장기요소

Search Result 1,068,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A Comparative Analysis of Long-Term Preservation Policies in Foreign Electronic Records: NARA, LAC, TNA, NAA, and SFA (국외 전자기록물의 장기보존 정책 비교 분석 - 미국, 캐나다, 영국, 호주, 스위스를 중심으로 -)

  • So, Jeong-Eui;Han, Hui-Jeong;Yang, Dongmi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 /
    • v.18 no.4
    • /
    • pp.125-148
    • /
    • 2018
  • This study wa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long-term preservation policy of electronic records published abroad to derive and compare the policy elements necessary for policy establishment. The U.S., Canada, United Kingdom, Australia, and Switzerland archives were selected, which officially announced the e-Record Preservation Policy. Research and analysis of the long-term preservation policies of the five selected countries resulted in six main policy elements. These six policy elements are preservation scope, long-term preservation strategy, risk management, integrity assurance methods, preservation infrastructure, and reference models. We compared and analyzed five long-term preservation policies through policy elements and found six implications as a result. The implications were focused on establishing a long-term preservation strategy in line with the actual state of the institution and using long-term preservation policies outside of the country as advanced cases for various types of electronic records.

A Study on the Functional Elements for Long-term Preservation of Electronic Records (전자기록물의 장기보존을 위한 기능요소 연구)

  • Kim, Myeong-Ok;Lee, Sang-Yo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 /
    • v.10 no.2
    • /
    • pp.101-126
    • /
    • 2010
  • This study proposes the functional elements for long-term preservation of electronic records, which are parts of nation's important records and information assets. For this purpose, We compared the international standard ISO 14721 with international research projects and digital archives systems from multi-nations. We identified 18 functional elements for long-term preservation of electronic records. They can be used as the basis to strengthen authenticity and usability when building new digital archive systems or upgrading existing systems at the Archival Institutions.

Long-Term Preservation Strategy of Digital Records (전자기록 장기보존정책의 현황과 과제)

  • Han, Nung-woo
    •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 /
    • no.78
    • /
    • pp.79-151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ent state of long-term preservation policy for electronic records in Korea and to present future tasks. Although the current electronic record long-term preservation policy is not clearly codified, it can be said to consist of technical elements such as digital signature, hash, preservation format, and long-term preservation package. Each technological element was considered in order, and the limitations of the current policy and technology in the changing digital environment were analyzed and alternatives were presented.

A Study of Metadata for Long-Term Preservation of Digital Research Outcome (디지털 연구성과물의 장기보존을 위한 메타데이터에 관한 연구)

  • Jang, Bo-Seong;Nam, Young-Joon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42 no.4
    • /
    • pp.281-309
    • /
    • 2011
  • This research designed and proposed metadata elements for the long-term preservation of digital research outcomes collected and managed in electronic file form. Metadata structure of both domestic and foreign agencies that manage research outcomes and CERIF and PREMIS-preserved preservation metadata were referred to design the metadata elements. The metadata design was divided into research information, bibliographic information and archival information. Research information is divided into project, name and institution, and composed of eight top-level elements and 29 sub-level elements. Bibliographic information is composed of 13 top-level elements as the source of research reports. Archival information is composed of 18 top-level elements and 62 sub-level elements as the elements for context, structure, contents and management process of the electronic records.

Development for Combination Model of SWAT and SWMM (SWAT-SWMM 결합모형의 구축)

  • Kim, Nam Won;Won, Yoo S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5b
    • /
    • pp.158-162
    • /
    • 2004
  • 장기적인 측면에서 유역의 도시화는 토지이용(불투수면적의 확대), 인위적인 구조물, 하천환경의 변화로 도시화되기 이전과 매우 다른 유출거동 특성을 가진다. 이러한 유역특성변화 요소를 모형에 적절히 반영함으로써 지표수, 하천수, 지하수 등의 수문순환요소를 정량화하고 이를 수문학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장기유출모형인 SWAT과 도시지역 유출해석에 주로 이용되는 SWMM의 RUNOFF 블록의 결합모형을 구성하였고, SWAT-SWMM 결합모형의 구성방법 및 모형의 한계, 결합모형의 모식 등을 기술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the Educational Media(3D lenticular cards, flash games, and board games) using Koguryo chess characters. (고구려 장기 캐릭터를 적용한 매체 개발 (3D 카드, 플래시게임, 보드게임))

  • Kim, jun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235-236
    • /
    • 2011
  • 아동에게 적합한 고구려 장기 게임 개발을 위해 Bruner의 EIS 이론을 근거로, 역사상 가장 강력한 힘의 나라였던 고구려 문화를 담은 캐릭터 8종을 개발하였다. 장기 게임은 아동의 집중력과 사고 발달에 유용하며 두뇌발달과 학습향상에 효과적이지만, 본격적인 장기 게임을 하기까지 장기말 종류, 장기말 움직이는 방법, 장기말 배치, 기본 전술 등 익혀야 할 요소가 많고 이것을 배우는 과정이 지루하며 어렵다. 따라서 말의 종류와 이동 방법을 흥미롭게 익힐 수 있도록 3D카드와 플래시 게임을 개발하였고, 캐릭터를 적용한 보드게임을 제작해 보았다.

  • PDF

Analysis of Simulated Long-term Runoff Effects due to Various Small Scale Irrigation Facilities (장기유출모의시 유역내 소규모 수리시설물의 영향)

  • Ryoo, Kyong-Sik;Hwang, Man-Ha;Lee, Sang-Jin;Sung, Young-D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334-1338
    • /
    • 2008
  • 최근 전 세계적으로 효율적인 유역내 수자원을 관리하기 위한 목적에서 하천 및 유역의 장기유출분석에 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러한 장기유출은 단기유출과 달리 인위적인 요소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는다. 인위적인 요소 중에 가장 대표적인 것이 저수지와 같은 저류시설물이다. 따라서 강우-유출모형을 통한 장기유출량 모의시에 이러한 인위적인 저류시설물의 영향을 모두 시스템화하여 유출모형에 반영하는 것은 바람직하나 현실적으로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소규모 수리시설물이 장기유출에 끼치는 영향에 대해 시 공간적으로 상세히 분석하고 또한 분석된 결과를 토대로 장기유출 모형에 소규모 수리 시설물의 영향을 반영할 수 있도록 모형을 재구성함으로서 유역의 장기유출에 대한 모의결과의 신뢰도를 증진시키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금강유역의 소규모 수리시설물 현황을 파악하고 각 수리시설물별로 하천유량에 끼치는 영향을 분석한 후, 수리시설물의 영향을 고려할 수 있도록 SSARR모형을 구축하였다. 수리시설물에 의한 영향평가를 실시한 결과, 공간적으로는 저수지가 많이 분포한 소유역에서, 시기적으로는 강우가 풍부했던 2003년을 제외한 2/4분기에서 에러발생빈도가 크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리시설물의 영향평가를 토대로 유출량과 수리시설물의 상관식을 유도하였으며 이를 이용한 주요지점 유출량을 모의하였다. 그 결과 용담댐, 수통, 호탄, 옥천 및 대청댐지점의 모의유량이 상대적으로 수리시설물을 고려하지 않은 경우보다 에러와 오차가 크게 감소하였다.

  • PDF

Comparison of Long-Term Runoff in Urban Area by Rainfall-Runoff Relationship (강우-유출관계에 의한 도시지역의 장기유출 특성 비교)

  • Kim, Nam Won;Won, Yoo S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5b
    • /
    • pp.610-614
    • /
    • 2004
  • 장기 유역 유출모형인 SWAT에 도시지역의 영향을 적절히 고려할 수 있도록 SWMM 모형을 포함시킨 SWAT-SWMM 결합모형을 테스트하기 위해 시험유역에 적용하였다. 이로부터 SWAT 모형과 SWAT-SWMM 결합모형에 의한 수문순환요소(지표수, 지하수, 하천유출, 증발산 등)를 비교${\cdot}$분석하였다. 또한 각 모형이 수문순환요소를 모식하는 방법을 비교${\cdot}$분석하여 SWAT-SWMM 결합모형을 개선하였다.

  • PDF

장기 노출된 철녹 콘크리트의 전기적 특성

  • 김찬오;손기상;김종훈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Conference
    • /
    • 2002.05a
    • /
    • pp.257-261
    • /
    • 2002
  • 산업폐기물인 철녹을 콘크리트에 배합하여 그 강도특성을 밝힌 후에 다시 장기적으로 계절적 변화에 따라 노출된 구조 요소인 재료의 전기적 특성을 밝히는 것은 새로운 재료연구에 중요한 일이라 하겠다. 여기서 전기적 특성은 철의 본 성질을 기대할 수 없는 것으로 폐기물로서도 사용할 수 없는 것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콘크리트와 비교해서 전기적으로 특성이 개선될 수 있음을 기대하고 이에 대한 실험으로 사실확인을 하고 적용하는 요소에 따라 전기적 특성을 증진하는 배합요소를 찾고자 한다.(중략)

  • PDF

The Study of the Influence on Long Term Streamflow Caused by Artificial Storage Facilities Based on SWAT Modeling Process (SWAT모형을 이용한 인공저류시설물의 하류장기유출 영향분석 기법에 관한 연구)

  • Shin, Hyun-Suk;Kang, Du-Kee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9 no.3 s.164
    • /
    • pp.227-240
    • /
    • 2006
  • In the several decades, various storage facilities have been developed and operated to supply water resource, flood control or environmental preservation etc. Then, how those man-maid storage facilities affect on the downstream water and environment and how the hydrologists can evaluate those features for water resources problem-solving are high-concentrated problems in this field. Most large watersheds in Korea contain various types of artificial facilities such dams, reservoirs, in-land ponds, wetlands etc. But the study to develop the technology for achieving the effect of the variances and properties of the long term streamflow caused by the artificial storage facilities have been on the simple watershed models and experimental modeling in the real fields. In this paper, we introduce the procedure and methods to consider the above problems based on continuous and semi-distributed featured SWAT model. At the first, we describe the elements and mechanisms of storage facilities in SWAT model to see how we can apply that in proper and appropriate manner for real field problems. Then, we applied the process to a sample watershed, Taewha River basin which covers the most of Ulsan region. Specially, we concentrate on our effort to the effect of upper reservoirs on down stream long term flows based on various scenario basis. The result was described and analysed in spacial and temporal variations on that basin using the precise mann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