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장기무게

검색결과 311건 처리시간 0.032초

Cyclohexane에 의한 흰쥐의 폐독성 (Effect of Cyclohexnae on the Lung Toxicity in Rats)

  • 전태원;이상일;윤종국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245-251
    • /
    • 2000
  • Cyclohexane에 의한 생체장기의 독성을 검토할 목적으로 흰쥐에 체중 kg당 1.56 g의 cyclohexane을 복강으로 1일 1회 2일 간격으로 4회 투여한 다음 24시간 후에 처치하여 각 장기 (간, 신장, 비장, 심장, 소장, 위 및 폐)의 체중 당 장기무게 (%)와 조직세포중 glucose-6-phosphatase (G6Pase) 활성변동을 측정한 결과, 실험군의 체중 당 폐무게가 대조군에 비하여 현저하게 증가 (p<0.001)하였고 이와는 반대로 G6Pase 활성은 유의한 (p<0.001) 감소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폐를 제외한 장기에서는 별다른 차이를 볼 수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cyclohexane이 주로 폐조직에 독작용을 야기시킨다는 것을 시사해 주고 있으며, 폐조직에서 malondialdehyde 함량이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p<0.05) 증가된 것이 이를 뒷받침 해 주고 있다. 한편, cytochrome P450에 의해 나타나는 aniline hydroxylase 활성은 폐조직이 간조직에 비하여 대단히 낮았으며, alcohol dehydrogenase (ADH) 활성 역시 간조직 보다 현저하게 낮게 나타났다. 그리고 cyclohexane 투여로 인하여 ADH 활성은 간 및 폐조직 모두에서 증가하였으나 간조직에서 더욱 민감한 반응을 나타내었다. 이상 실험결과를 종합해 볼 때, cyclohexane은 폐조직에 주로 독성을 나타내며 이는 간조직에서 대사된 cyclohexane의 독성 중간대사산물인 cyclohexanone이 혈류를 통해 폐조직에 분포되어 나타난 결과로 사료된다.

  • PDF

뇌졸중의 여러가지 종류

  • 정원영
    • 월간당뇨
    • /
    • 통권156호
    • /
    • pp.24-27
    • /
    • 2002
  • 모든 인체의 조직과 장기는 혈액순환을 통해 산소와 영양을 공급받고 노폐물을 배출하여 정상적인 기능과 활동을 유지하고 있다. 특히 뇌의 크기가 1300g 정도로서 무게로는 전체의 2$\%$정도밖에 안되지만 혈류의 20$\%$정도를 공급받을 만큼 매우 중요한 기관으로, 뇌는 뇌혈관을 통하여 지속적으로 산소와 영양을 공급받아야 정상적인 활동을 할 수 있다. 노인에서 증가하고 있는 고혈압, 당뇨병 등과 같은 만성질환은 여러 장기의 혈관에 동맥경화증을 유발하며, 특히 뇌혈관에 동맥경화증이 생기게 되면 혈관이 막혀 뇌혈류가 차단되어 뇌경색증이 발생하거나 뇌혈관이 터지게 되어 뇌출혈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뇌혈관의 급격한 변화로 뇌조직의 손상으로 인한 갑작스러운 신경마비 증상이 나타나게 되는데 이러한 증상을 통틀어 뇌졸중 또는 중풍이라고 한다.

  • PDF

원자로 조사 Zircaloy-4의 $500^{\circ}C$ 공기중 산화거동 연구

  • 유길성;김건식;민덕기;노성기;김은가
    • 한국원자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원자력학회 1996년도 춘계학술발표회논문집(3)
    • /
    • pp.341-346
    • /
    • 1996
  • 사용후핵연료에 대한 장기건식저장과 관련하여 원자로에서 조사된 사용후 핵연료피복관에 대한 산화시험을 공기분위기에서 수행하였다. 피복관 시료의 50$0^{\circ}C$ 공기중 산화시험 결과 산화 초기에 급격한 산화율을 보였으며, 이 후 천이점까지 느리게 산화가 진행되다가 천이 후에는 선형적으로 급격히 무게가 증가하는 지르코늄 합금의 수증기 및 공기중에서의 전형적인 산화양상을 나타내었다. 시편별로는 가장 두꺼운 노내 산화막을 가진 시편이 가장 높은 산화율을 나타내었으며, 노내 산화시 천이점에 근접한 시편들이 가장 낮은 산화율을 보였다. 산화율이 가장 높은 시편의 천이후 영역에서의 산화율은 $\Delta$W = 0.74 t + 38.61과 같은 관계식으로 표현될 수 있었다. 이 때 $\Delta$W는 무게이득(mg/dm$^2$)이고 t는 산화시간(h)을 나타낸다. 시험에 사용된 피복관의 단위 산화막두께(l$\mu$m)에 대한 산화무게증가량은 약 13.4mg/dm$^2$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사용후핵연료 중간저장 시설 및 저장캐스크의 설계 전산코드 작성 및 저장시설의 운영에 관련되어 기반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저선량율 방사선 조사한 BALB/c 마우스에서의 영향평가 (Bioassay in BALB/c mice exposed to low dose rate radiation)

  • 김성대;공은지;배민지;양광모;김중선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37권3호
    • /
    • pp.159-166
    • /
    • 2012
  • 본 연구는 저선량율 방사선에 의한 급성독성을 조사하기 위해 BALB/c 마우스에게 낮은 선량율에 방사선을 만성 노출 후 일반증상과 체중, 장기중량, 부검소견, 혈액 및 뇨 검사를 통해 독성유무를 관찰하였다. 각각 암 수 20마리 마우스는 각 5마리씩 4군으로 분류하고, 3.49 $mGy{\cdot}h^{-1}$의 저선량율 방사선을 정상대조군, 0.02, 0.2, 2 Gy를 각각 5.7시간, 2.4일, 24일 간 지속적으로 노출시키고 조사 후 1일에 마우스를 희생하여 독성을 평가하였다. 저선량율 방사선은 최고선량의 (2 Gy) 노출에도 사망률, 임상증상, 체중, 사료와 음수 섭취량, 뇨검사, 혈청 생화학에서 독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하지만 고환, 난소, 자궁을 포함한 생식 장기는 방사선량 의존적으로 장기의 무게가 감소되었으나, 다른 장기의 무게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모든 방사선 조사군에서 혈액학적인 부작용은 관찰되지 않았고, 단지 호중구수가 노출선량에 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 이번 실험결과 마우스에서 저선량율 방사선 노출은 최고 선량인 2 Gy의 노출에 다른 부작용은 관찰되지 않았으나, 암컷 수컷의 생식장기에 무게 감소가 관찰되었다.

황칠 추출물을 첨가한 청국장이 마우스의 면역기능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Dendropanax morbifera extract Addition on Chungkukjang on Immune Response of Mice)

  • 김진솔;정민주;정경아;송선영;이현화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6호
    • /
    • pp.430-438
    • /
    • 2019
  • 본 연구는 황칠추출물과 청국장의 기능성 강화를 위해 황칠추출물이 첨가된 청국장의 면역 활성 효능을 검증하고자 실시하였다. 황칠추출물 250, 500, 750 mg/kg 투여군, 청국장 400 mg/kg 투여군, 청국장 400 mg/kg에 황칠추출물 500 mg/kg을 첨가한 투여군으로 나누어 9주간 마우스에 경구 투여 한 후 체중 및 장기무게, 항체 생산 세포 수, 혈청 면역글로불린의 농도를 측정하고 지라의 조직을 검사하였다. 황칠추출물과 황칠추출물을 첨가한 청국장의 투여가 수컷 마우스의 체중과 장기무게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모든 투여군에서 체중과 각 장기의 무게는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양적혈구에 대한 항체 생산 세포 수 측정에서는 황칠추출물 250 mg/kg과 500 mg/kg 투여군에서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으며, 림프구은 황칠추출물 500 mg/kg 투여군이 대조군보다 증가하였다. 황칠추출물 500 mg/kg을 첨가한 청국장 400 mg/kg 투여군은 대조군에 비교하여 IgG 수치가 증가하였으며, 지라 조직 검사결과 백색수질의 증가가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황칠추출물의 영향으로 황칠 추출물을 첨가한 청국장이 생체 내 면역기능 활성에 효과가 있음을 나타내며 향후 다양한 기능성식품 개발 가능성과 면역증진 식품 소재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Vitamin $B_2$ 결핍이 3일간 금식 또는 6일간 감식 흰쥐의 에너지대사물 농도에 미치는영향 (The Effects of Vitamin $B_{2}$ Deficiency on Stored Fuel Utilization during 3 Days Fasting or 6 Days Underfeeding in Rats)

  • 조윤옥;설승민;최성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81-187
    • /
    • 1996
  • 본 연구에서는 비타민 $B_{2}$ 결핍이 3일간 금식과 6일간 감식시 체내 저장연료 이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알아본 결과, -B2군은 pair-feeding을 감식시켰음에도 불구하고 +B2군에 비해 체중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식이 이용효율도 낮았다. 모든 장기, 특히 간장 무게는 -B2군이 +B2군에 비해 무겁게 나타났으며, 감식과 금식시에도 -B2군의 장기무게가 가벼워졌으나 여전히 유의하게 무거웠으며 -B2군의 간장 중성 지방이 높게 나타나 지방간 증상으로 간장이 비대해진 것으로 추정된다. 혈장 포도당과 단백질 함량은 섭식, 금식 및 감식시 +B2군과 -B2군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혈장 중성지방 수준은 +B2군에 비해 -B2군이 섭식시는 높은 수준을 나타냈으나 금식 및 감식시에는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간장 중성 지방도 이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혈장 유리지방산 수준은 섭식시에는 +B2군과 -B2군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금식으로 인해 +B2군은 유리지방산 수준이 증가하였고 -B2군은 오히려 감소하여 -B2군이 +B2군 보다 낮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비타민 $B_{2}$ 결핍으로 인해 이 유리지방산의 유리가 원활히 일어나지 않았거나, 비타민 $B_{2}$ 결핍으로 인해 지방산화가 저해된 것이 금식으로 지방이 에저지원으로 이용되어야만 하는 상황이 발생하여 감소된 지방산 산화가 다소 회복된 것으로 추정된다. 금식 및 감식시 +B2군에 비해 -B2군이 근육단백질 수준은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고 근육 글리코겐 수준은 낮은 경향을 나타내어 -B2군이 심각한 비타민 $B_{2}$ 결핍으로 저지방이나 근육단백질을 이용하지 못하게 됨에 따라 근육 글리코겐을 이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B2군에 비해 -B2군의 뇨중 총질소 배설량이 적은 것으로도 재확인되었다. 그러므로 금식이나 감식시 체지방이나 체단백질을 이용하는 에너지 보충 적응기전이 일어나야 하나 비타민 $B_{2}$ 결핍상태에서는 이러한 체내 열량공급이 지장을 받게 되며, 체단백질 이용저하로 포도당 신생이 영향을 받아 장기간의 금식 또는 감식시에는 혈장 포도당 수준도 낮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 PDF

Polyacetylene 화합물들의 투여량에 따른 독성 (The Toxicological Parameter Assessment in Experimental Animals for Various Dosages of Polyacetylene Compounds)

  • 박진규;진승하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3권1호
    • /
    • pp.49-55
    • /
    • 1989
  • 정상 wistar rat strain의 체중 및 장기무게 변화 그리고 사료, 물 섭취량의 변화 등을 조사함으로써 polyacetylene 화합물들의 투여량에 따른 독성변수(toxicological parameter)의 범위를 추정하고자 하였다. 또한, ICR mouse strain의 Sarcoma-180으로 유도되는 고형암의 억제와 관련해서 polyacetylene 화합물들의 투여량에 따른 독성변수(toxicological parameter)와의 관계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Panaxydol 40$\mumoles/kg b.w.을 3일간 연속 복강 투여했을때 wistar rat의 체중증가율은 대조군보다 약 17% 감소하였으나, polyacetylene 의 투여를 중지하면 약 4일 경과후부터 체중증가율이 정상으로 회복되었다. 이 투여량을 20$\mumoles/kg b.w.로 줄이면 대조군과의 체중증가율의 차이는 약 10% 정도로 완화되며 그 체중감소율은 panaxydol, panaxynol, panaxytriol의 순으로 증가하였다. 이때 장기무게의 관찰 결과는 대조군과 polyacetylene 화합물들 투여군 사이에 의미있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상 mice의 간세포에 대한 electron micrograph 관찰결과, panaxydol 40$\mumoles/kg b.w./day 투여시에도 대조군에 비하여 별다른 미세조직의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 PDF

아연 보충급여에 따른 한국재래계의 성장, 사료이용성, 장기무게, 혈액생화학적 성상, 장기무게 및 소화효소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Zinc Supplements on Growth, Feed Efficiency, Organ Weight, Blood Biochemical Profiles, and Activity of Digestive Enzymes in Growing Korean Native Chicks)

  • 전동경;김민정;윤일규;안호성;문은서;손시환;임용;장인석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17-125
    • /
    • 2019
  • 본 연구는 Zn 보충급여가 한국재래계의 생산성 및 소화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기초사료(100 ppm)에 ZnO 또는 Zn-methionine 형태로 각각 50 ppm을 첨가하여 체중, 사료이용성, 장기무게, 혈액생화학적 성상 및 소화효소 활성도를 조사하였다. 사양성적을 보면 대조군(CON)에 비해 산화아연(ZNO) 및 유기태(ZMT)군에서 체중은 각각 1.2% 및 2.4%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지만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사료섭취량과 사료요구율 역시 모든 처리군에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 비장 및 소장점막 무게는 아연의 급여 및 화학적 형태에 따른 차이가 없었으나, 췌장무게는 ZNO군에서 대조군과 ZMT군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되었다(P<0.05). 혈액 생화학 성분인 glucose, total protein, triglyceride, total cholesterol, aspartate aminotransferase(AST)와 alanine aminotransferase(ALT) 등은 ZnO 또는 Zn-methionine 급여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췌장 효소활성도를 조사한 결과 ${\alpha}$-amylase와 carboxypeptidase A 활성도는 아연의 급여에 따른 차이가 없었으나, trypsin은 ZnO와 Zn-methionine 급여에 따라 활성도가 현저히 증가되었다(P<0.05). 소장의 흡수상피세포에 존재하는 이당류분해효소(maltase 및 sucrase)는 Zn 급여원에 따라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펩타이드 분해효소인 leucine aminopeptidase의 활성도는 ZnO 급여 또는 Zn-methionine 급여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P=0.08). 이상의 결과로 보아 기초사료에 Zn의 보충급여(50 ppm)는 닭에서 단백질 소화작용에 관여하는 효소의 활성도 증진효과를 보이며, 단백질의 생체 이용성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각종 회복식이가 무단백식이를 섭취한 흰쥐의 체구성 성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Various Recovery Diets on the Body Composition of Protein-depleted Rat)

  • 최영란;서동희;김미경;김숙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10권1호
    • /
    • pp.1-9
    • /
    • 1977
  • 본 연구는 무단백식이 섭취시의 영향과 그 후에 표준, 고단백, 고지방, 고탄수화물의 4가지 회복식이를 섭취함으로써 회복되는 정도를 비교한 것이다. A. 무단백식이 2주간 섭취로 체중이 20%정도 감소 되었으며 이에 비해 체내 전체 지방 감소율은 더욱 컸고 단백질의 감소율은 작았으며, 수분의 감소율은 비슷하였으나, 회분은 변화가 없었다. 장기중 특히 간과 비장의 무게 감소율이 체중에 비해 컸으며, 성분으로 볼 때 간에서는 질소량의 감소가 컸고, 지방량은 거의 감소가 없었다. 비장에서는 질소량, 지방량이 모두 비슷한 정도로 감소되었다. 심장과 신장의 무게는 체중과 비슷한 정도로 감소 되었으며 뇌는 거의 변화가 없었다. 근육의 무게는 장기에 비해 비교적 감소율이 적었으며, 성분으로 볼 때 지방량이 단백질량보다 감소율이 컸다. Epididymal fat pad의 무게와 지방함량, 뼈의 무게는 모두 유의적인 감소가 없었으며, serum의 단백질량은 21% 감소, 지방량은 33%의 감소를 보였다. B. 무단백식이 2주간 섭취 후 회복식이를 2주간 섭취함으로써 체중은 무단백식이 2주때에 비해 $30{\sim}67%$ 증가하여 고지방군이 가장 무거웠으며, 고탄수화물군이 가장 가벼웠다. 회복 2주때의 전체 체구성 성군은 표준군과 고단백군에서 무단백식이 섭취전과 비슷한 상태로 되었다. 이에 비해 고지방군에서는 체내 단백질의 %가 약간 낮았고, 지방의 %는 현저히 높았다. 고탄수화물군에서도 지방의 %는 높았으나 수분의 %가 약간 낮았다. 장기 및 근육의 무게와 구성성분은 표준군과 고단백군에서 비슷했으며, 고지방군에서는 표준군과 비교할 때 무게는 비슷했으나 질소량이 약간 떨어졌으며 반면 지방량이 높았다. 고탄수화물군에서는 무게와 질소량이 다른 회복군에 미하여 모두 현저히 낮았다. Epididymal fat Pad저 무게와 지방량은 고지방군에서 특히 높았으나 나머지 세군은 서로 비슷하였다. serum의 단백질과 지방량은 4군간에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앞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무단백식이 섭취후의 회복율은 식이의 3대 영양소가 균형을 이루었을 데 가장 좋은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다시마 (Laminaria japonicus) Alginate의 가열가수분해에 따른 물리$\cdot$화학적 및 생물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5. 랫드의 체중, 장기, 췌장과 소장의 성분 및 소장융모의 미세구조에 미치는 저분자 Alginate의 영향 (Studies on Physicochemical and Biological Properties of Depolymerized Alginate from Sea tangle, Laminaria japonicus by Thermal Decomposition 5. Effects of Depolymerized Alginate on Body Weight, Organ, Pancreatic and Small Intestinal Composition, and Small Intestinal Microvilli Structure in Rats)

  • 김육용;조영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21-26
    • /
    • 2001
  • Alginate를 가열에 의해 저분자화하여 저분자화에 따른 소화생리 특성을 검토하기 위해, 랫드에 저분자 alginate인 HAG-10,HAG-50, HAG-100 및 alginate를 장기간 섭취시켰을 때, 체중, 각종 장기의 무게와 길이 및 췌장과 소장의 소화효소활성과 단백질, DNA 및 RNA 함량을 측정하였고 소장응모의 미세구조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랫드의 체중은 $5\%$$10\%$ HAG-50 및 $10\%$ alginate에서 체중의 증가가 유의적으로 현저히 억제되었다. 간장의 무게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고, 위의 무게와 길이는 $10\%$ HAG-10, $1\%$, $5\%$$10\%$ HAG-50, $1\%$$5\%$ HAG-100 그리고 $5\%$ alginate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췌장의 무게와 길이는 모두 약간 증가하였다. 소장과 맹장의 무게와 길이는 $1\%$$5\%$ HAG-10을 제외하고 모두 증가하였으나 대장의 무게와 길이는 전반적으로 감소하였다. 췌장의 amylase 활성은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고, lipase 활성은 HAG-50에서 약간 저하하였으며, protease 활성은 $1\%$ HAG-10만 제외하고 유의적으로 저하하였다. 췌장의 단백질 함량은 모두 증가하였으나, DNA와 RNA 함량은 유의 적 인 차이가 없었다. 소장의 단백질 함량은 $5\%$$10\%$ HAG-50에서 그리고DNA는 $5\%$ HAG-50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RNA는 전반적으로 증가하였다 소장융모의 미세구조는 HAG-50에서 주름이 많고 표면적이 넓은 잎사귀 모양의 응모세포와 돌림주름 및 Boblet cell이 현저히 발달되어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