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장기간 사용성 평가

Search Result 153,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Validation and Calibration of 2D Numerical Model for Analysis of Turbidity Current Regimes in Soyang Reservoir (소양호 탁수거동 해석을 위한 2차원 수치 모형의 보정 및 검증)

  • Ryu, In-Gu;Chung, Se-Woong;Yoon, Sung-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253-257
    • /
    • 2010
  • 최근 들어 이상 강우 현상으로 인한 기록적인 집중 강우와 더불어 토지 이용 변화로 인해 탁수의 발생 빈도가 증가하고 있다. 강우 유출로 유입한 탁수는 저수지 내 장기간 체류하면서 하류 하천의 수질 및 수생태계 뿐만 아니라 저수지 내부의 영양단계에도 많은 영향을 준다. 특히, 성층화된 저수지의 경우 높은 영양염류 농도를 포함한 탁수는 밀도류 거동 특성을 보이면서 수평 및 수직 혼합 과정을 거치면서 국부적인 부영양화 현상과 조류의 수화 현상의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대형 저수지의 수질관리에 있어 하천 유입 탁수의 밀도류 해석, 저수지의 수온 성층 구조 변화, 부유입자의 동력학적 해석이 중요한 요소로 부각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소양호를 연구 대상 지역으로 선정하여 2005년과 2007년 수문 사상을 바탕으로 2차원 횡방향 수치 모형을 구축하였다. 수치모형을 통해 수온 성층 구조의 재현성을 확인하였으며, 다양한 탁수 거동 모형을 구축하여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유입수의 SS(Suspended Solid)를 단일 입경으로 가정한 TM-1 모형, SS의 입경분포에 따라 3개의 그룹(SSi)으로 구분한 TM-2 모형, 3개 그룹을 포함하면서 저수지내 탁수 장기화로 인한 탁수 저감 효과를 1차 반응상수로 매개 변수화(유기물 함량($a_0$) ${\times}$ 분해속도(${\lambda}_a$))하여 수정된 지배방정식을 적용한 TM-3 모형을 사용하였다. 각각의 탁수 거동 모형은 2005년과 2007년 수문 조건에서 수온 성층 구조를 잘 재현하였다. TM-1 모형과 TM-2 모형을 비교해보면, 탁수 중심축의 최고 탁도에 대한 예측 성능은 TM-2 모형이 우수한 결과를 나타냈었다. 하지만, 장기 탁수 모의 시 저수지 수중 잔류 SS가 지속적으로 높게 나타나 중층 탁도를 과대평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TM-3 모형이 TM-2 모형에 비해 수심별 탁도 분포에 대한 중심축 탁도가 저평가되는 경향을 보였지만 저수지 내 잔류 탁도에 대한 영향 부분에서는 개선된 결과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 결과는 저수지 탁수 밀도류 해석 및 운영 시스템에 활용 될 수 있으며, 선택 취수 설비 등의 수리 구조물의 영향 평가에 활용할 수 있다.

  • PDF

A Model for Radiological Dose Assessment in an Urban Environment (도시환경에서 방사성물질 오염에 따른 선량평가모델)

  • Hwang, Won-Tae;Kim, Eun-Han;Jeong, Hyo-Joon;Suh, Kyung-Suk;Han, Moon-Hee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v.32 no.1
    • /
    • pp.1-8
    • /
    • 2007
  • A model for radiological dose assessment in an urban environment, METRO-K has been developed. Characteristics of the model are as follows ; 1) mathematical structures are simple (i.e. simplified input parameters) and easy to understand due to get the results by analytical methods using experimental and empirical data, 2) complex urban environment can easily be made up using only 5 types of basic surfaces, 3) various remediation measures can be applied to different surfaces by evaluating the exposure doses contributing from each contamination surface. Exposure doses contributing from each contamination surface at a particular location of a receptor were evaluated using the data library of kerma values as a function of gamma energy and contamination surface. A kerma data library was prepared fur 7 representative types of Korean urban buildings by extending those data given for 4 representative types of European urban buildings. Initial input data are daily radionuclide concentration in air and precipitation, and fraction of chemical type. Final outputs are absorbed dose rate in air contributing from the basic surfaces as a function of time following a radionuclide deposition, and exposure dose rate contributing from various surfaces constituting the urban environment at a particular location of a receptor. As the result of a contaminative scenario for an apartment built-up area, exposure dose rates show a distinct difference for surrounding environment as well as locations of a receptor.

Effects of Silicone Fluids on Insulation Properties of Silicone Rubber (Silicone Fluid들이 실리콘 고무의 절연특성에 미치는 영향(1))

  • Kang, Dong-Pil;Park, Hoy-Yul;Ahn, Myeong-Sang;Kim, Dae-Whan;Lee, Hoo-Bum;Oh, Se-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3.05e
    • /
    • pp.40-43
    • /
    • 2003
  • 전기방전에 대한 shed 재료의 열화내성과 우수한 발수성의 장기간 유지특성은 폴리머 애자의 장기성능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인자들이다. 애자 제조시 무결점 성형성 또한 중요한데 열화내성을 확보하기 위해 다량의 ATH의 첨가가 수반되기 때문에 적절한 process oil의 사용이 불가피하다. 사용하는 오일의 종류와 량에 따라 옥외절연물의 장기성능에 영향을 주는 표면발수성이나 방전내성은 크게 차이가 나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화학적 구조와 정도가 다른 몇 가지 실리콘 fluid들을 실리콘 고무에 처방하여 기본물성과 초고압 옥외절연물의 shed 재료로서 장기성능에 영향을 주는 방전열화내성과 표면발수성의 회복특성을 평가하였다. 실리콘 고무의 무결점 사출성형에 가소도가 중요한데 동일한 무기물 첨가조건에서 유사한 가소도를 갖게 하는데 필요한 량은 fluid들의 종류에 따라서 상당한 차이가 있었다. 특히 PDMS는 점도는 낮지만 분자량이 커서 많은 량이 첨가되어 기계적 특성저하가 크게 일어났다. 코로나 처리후 발수성 회복특성은 fluid들의 분자크기와 반응기의 종류에 따라 상당히 영향을 받았으며 분자가 클수록 초기회복속도는 다소 느려도 최종의 상시발수성은 다소 높게 유지되었으며 2일 이내에 거의 초기 접촉각으로 회복되었다. 내아크성은 무게손실이 적을수록 오차범위도 작은 안정된 특성을 보였으며 fluid들의 종류에 따른 무게손실의 차이는 크지 않았다. 트래킹 방전에 의한 무게 감소는 fluid의 분자가 크면서 페닐기를 가진 fluid들이 첨가된 고무가 우수한 특성을 보였다.

  • PDF

Assessment of rainfall-runoff performance using corrected satellite precipitation products by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합성곱신경망을 이용한 보정 위성강수자료 강우-유출 성능 평가)

  • Young Hun Kim;Le-Xuan Hien;Sung Ho Jung;Gi Ha L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65-65
    • /
    • 2023
  •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홍수, 가뭄 등 수재해가 세계 곳곳에서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로 인해 정확한 강우-유출 해석의 중요도는 높아지고 있으며 강우-유출 해석에 따라 수자원 관리 및 계획수립의 정도가 달라질 수 있다. 본 연구 대상 지역인 메콩강 유역은 중국과 동남아시아 5개국(라오스, 태국, 미얀마, 베트남, 캄보디아)을 관통하는 국가공유하천으로 기초자료의 획득이 어렵고 국가별로 구축된 자료가 질적, 양적 품질이 상이하여 수문해석에서의 기초자료로 사용하기에 불확실성이 있다. 최근 기술의 발달로 글로벌 격자형 강수자료 획득이 용이함에 있어 미계측 대유역에서의 다양한 연구들이 수행되고 있지만, 지점강수자료와 시·공간적 오차로 인한 불확실성을 내포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글로벌 격자형 강수자료의 적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지점 격자형 강수자료(APHRODITE)와 4개의 위성강수자료(CHIRPS, CMORPH, PERSIANN-CDR, TRMM)를 수집하고 합성곱 신경망 모형인 ConvAE 기법을 이용하여 위성강수자료의 시·공간 편의 보정을 수행하였다. 또한, 하천 수위에 대한 장기간 정보 수집이 가능한 메콩강 본류 4개 관측소(Luang Prabang, Pakse, Stung Treng, Kratie)를 선정하였으며 SWAT 모형을 이용하여 매개변수 보정(2004~2013)과 격자형 강수자료의 보정 전·후의 유출모의(2014~2015) 결과를 비교·분석하였다. 격자형 강우를 이용한 보정 및 유출 분석 결과 4개의 위성강수자료 모두 성능이 향상되었으며 그 중 보정된 TRMM이 가장 우수한 성능을 보여 해당 유역에서의 APHRODITE를 대체할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ConvAE를 이용한 보정기법과 이를 이용한 강우-유출 해석은 향후 다양한 격자형 강수자료를 활용한 미계측 대유역에서의 수문해석에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Evaluation of Biocatalyst and Bioreactor System for the Continuous Treatment of Trichloroethylene (미생물 생촉매를 이용한 Trichloroethylene 연속처리용 생물반응기 시스템 평가)

  • 이은열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13 no.6
    • /
    • pp.970-975
    • /
    • 2003
  • Microbial trichloroethylene (TCE) degradation using trickling biofilter (TBF) is a cost-effective treatment method, in which monooxygenase (MO) fortuitously transforms TCE via cometabolism. Simple TBF, however, could not be stably operated for long-term treatment of TCE due to the contradictory characteristics of cometabolism. In this paper, microbial biocatalyst and biofilm reactor system, a two-stage continuous stirred tank reactor (CSTR)/TBF system using Burkholderia cepacia G4 and Methylosinus trichosporium OB3b, are evaluated for the long-term continuous treatment of TCE. The maximum TCE elimination capacities were in the range of 28 and 525 mg TCE/1$.$day. The reactor systems were stably operated for more than 3∼12 months.

KOCED performance evaluation in the wide field of wireless sensor network (무선센서망 내 KOCED 라우팅 프로토콜 광역분야 성능평가)

  • Kim, TaeHyeon;Park, Sea Young;Yun, Dai Yeol;Lee, Jong-Yong;Jung, Kye-Dong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8 no.2
    • /
    • pp.379-384
    • /
    • 2022
  • In a wireless sensor network, a large number of sensor nodes are deployed in an environment where direct access is difficult. It is difficult to supply power, such as replacing the battery or recharging it. It is very important to use the energy with the sensor node. Therefore, an important consideration to increase the lifetime of the network is to minimize the energy consumption of each sensor node. If the energy of the wireless sensor node is exhausted and discharged, it cannot function as a sensor node. Therefore, it is a method proposed in various protocols to minimize the energy consumption of nodes and maintain the network for a long time. We consider the center point and residual energy of the cluster, and the plot point and K-means (WSN suggests optimal clustering). We want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KOCED protocol. We compare protocols to which the K-means algorithm, one of the latest machine learning methods, is applied, and present performance evaluation factors.

Characteristics of Calcium Leaching Resistance for Concrete Mixed with Mineral Admixture (광물질 혼화재를 혼합한 콘크리트의 칼슘용출 저항 특성)

  • Choi, So-Yeong;Choi, Yoon-Suk;Yang, Eun-Ik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 /
    • v.20 no.4
    • /
    • pp.59-67
    • /
    • 2016
  • Concrete is a very useful construction material for the sealing disposal of hazardous substances. In general, mass concrete is applied to these structures. And, the mineral admixtures are recommended for the long term performance. Calcium leaching could be happened due to the contact with pure water in underground structures. Thus, it is needed to evaluate the resistance of calcium leaching for concrete mixed with mineral admixtures. From the test results, the mineral admixtures are effective to the improvement of long term compressive strength and chloride diffusion coefficient in concrete members. When calcium leaching is happened, however, the reduction of compressive strength and chloride penetration resistance is severe than OPC case, the micro pore distribution is adversely affected. Consequently, when the mineral admixtures are applied to underground structures which is exposed to calcium leaching environment, it is desirable to reduce water-to-binder ratio, to expose after the sufficient pozolanic reaction, and to use BFS than FA.

The TiO2 based electrode consisting binary catalysts which is prepared by anodization for water oxidation application (양극산화법을 통해 제조한 IrO2-RuO2 촉매를 포함하는 고성능 수전해 산소발생용 TiO2 나노튜브 전극)

  • Yu, Hyeon-Seok;O, Gi-Seok;Lee, Gi-Baek;Choe, Jin-Seop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6.11a
    • /
    • pp.191.2-191.2
    • /
    • 2016
  • $TiO_2$는 우수한 화학적 및 물리적 안정성 때문에 수전해 장기간 사용에 적합한 전기화학 전극으로 여겨진다. 큰 표면적을 갖는 $TiO_2$를 제조하기 위한 수많은 방법 중 양극산화(anodization)는 비교적 간단하고 저렴한 공정으로 인하여 매우 실용적인 방법으로서 알려져 있다. 특히, 고도로 정렬 된 $TiO_2$ 나노튜브($TiO_2$ NTs) 의 경우에는 분말상과 달리 전극제조를 위해 추가적인 접착제를 필요하지 않다. 그러나, $TiO_2$는 일반적으로 절연 특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전극의 활용을 위해서는 본질적으로 촉매의 사용이 불가피하다. 다수의 전기 촉매 중, $IrO_2$$RuO_2$는 수전해 분야에 잘 알려진 산화 촉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특유의 높은 종횡비 때문에 $TiO_2$ 나노튜브에 전기 촉매를 균일하게 도핑하는 것은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RuO_2$를 도핑하기 위한 단일공정 $TiO_2$ 양극산화 기술이 보고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2원 촉매($IrO_2$$RuO_2$)를 $TiO_2$ 나노튜브에 도핑하기 위한 단일공정 양극산화 기술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전구물질로써 $KRuO_4$($RuO_2$ 전구체)와 IrOx 나노입자(IrOx NPs, $IrO_2$ 전구체)를 사용하였다. 특히, IrOx를 나노 입자는 $IrCl_3$로부터 중간 매체로 합성된다. IrOx는 단일공정 양극산화 중에 $TiO_2$ 나노튜브 상에 도핑 가능한 이온 형태인 $IrO_4$-로 전환될 수 있다. 제조된 시료는 열처리 후 바로 전극으로 사용되었으며 SEM, XPS, TEM, ICP-OES 등으로 정성, 정량 분석을 수행하였다. LSV와 EIS를 통해 전기화학적 성능 평가가 이루어졌으며, LSV를 통해 포집한 기체는 가스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정량분석한 후 그 효율을 측정하였다.

  • PDF

Comparative Evaluation of Shielding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co-friendly Shielding Material Tungsten (친환경 차폐재료 텅스텐 특성에 따른 차폐성능 평가)

  • Kim, Seon-Chil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2 no.10
    • /
    • pp.129-136
    • /
    • 2021
  • Radiation shields used in medical institutions mainly use lead to manufacture products and fitments. Although lead has excellent processability and economic efficiency, its use is being reduced due to environmental issues when it is disposed of. In addition, when used for a long time, there is a limit to using it as a shielding film, shielding wall, medical device parts, etc. due to cracking and sagging due to gravity. To solve this problem, copper, tin, etc. are used, but tungsten is mostly used because there is a difficulty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to control the shielding performance. However, it is difficult to compare with other shielding materials because th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type of tungsten are not well presented. Therefore, in this study, a medical radiation shielding sheet was manufactured in the same process using pure tungsten, tungsten carbide, and tungsten oxide, and the particle composition and shielding performance of the sheet cross-section were compared.As a result of comparison, it was found that the shielding performance was excellent in the order of pure tungsten, tungsten carbide, and tungsten oxide.

Autonomic Nerve Change after Loess Bedding Radiating Far-infrared ray and energy (원적외선에너지 방출 황토침구 사용 후의 자율신경 변화에 대한 연구)

  • Lee, Ku Yeon;Lee, Hyung H.;Hahm, Suk Chan
    • Journal of Naturopathy
    • /
    • v.9 no.1
    • /
    • pp.27-32
    • /
    • 202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of the human body after the use of ocher bedding radiating far-infrared rays to 15 insomnia subjects. Methods: Changes of autonomous nerve in the subjects after using loess bedding estimated by heart rate variability. Results: The mean HF before the use of ocher bedding was 220.8 msec2, and the mean after use decreased to 5.1 msec2. The average value of LF before use was 418.1 msec2, and the mean after use decreased to 5.2 msec2. The average before use of the VLF was 1463.3 msec2, and the average after use dropped to 6.8 msec2. The average value of TP before use was 977.3 msec2, and the average after use dropped to 6.7 msec2. The decrease in postoperative values of all four item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e high value of the subjects before use inferred to be the reason that all of the subjects had high stress and anxiety due to their long-term sleep disord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ulses of the subjects before the use of the bedding. SDNN and RMSSD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fore and after use. Conclusions: Autonomic nerves HF, LF, VLF, TP frequency is evaluated to be affected by the investigation of far-infrared radiation that occurs ocher. This research data regarded as high value as primary data in this fie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