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잣송이 추출물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6초

잣송이 추출물의 급여가 세미브로일러의 생산성, 소화기관 특성 및 장내 미생물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 Supplementation with Pine Cone Extracts on Growth Performance, Digestive Organ Characteristics and Cecal Microbiota of Semi-broiler)

  • 박재인;문제빈;강선문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305-312
    • /
    • 2019
  • 본 연구는 잣송이 추출물의 급여가 세미브로일러의 생산성, 소화기관 특성 및 장내 미생물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2주령 세미브로일러 20수를 급여 사료에 따라 4처리구(n=5/처리구; 대조구(-)[항생제 및 잣송이 추출물 무급여구], 대조구(+)[2% 항생제 급여구: 20 g/kg 기초사료], 2% 잣송이 ethanol 추출물 급여구[20 g/kg 기초사료] 및 2% 잣송이 ethanol-hexane 추출물 급여구[20 g/kg 기초사료])로 나누어 16일간 공시하였다. 종료 체중, 증체량 및 사료섭취량은 잣송이 ethanol 및 ethanol-hexane 추출물 급여구가 가장 낮았으나(P<0.05), 사료요구율은 잣송이 추출물 급여구들이 대조구(-)보다 낮았다(P<0.05). 근위 및 소장 무게는 잣송이 추출물 급여구들이 대조구(-)보다 낮았다(P<0.05). 소장 및 융모의 길이는 대조구와 잣송이 추출물 급여구들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장내 미생물 균총은 잣송이 추출물의 급여에 의해 개선되지 않았다. 따라서 잣송이 추출물의 급여는 세미브로일러의 사료요구율을 향상시켰으며, 소화기관의 무게에 영향을 미쳤다.

잣송이 추출물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High-Sugar Fermented Pinus koraiensis Cone Extract)

  • 장기효;서정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140-145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식품으로 활용하기 위해 제조된 잣송이 추출물의 이화학적 품질 특성과 항산화 활성을 탐색하였다. 잣송이 추출물은 수분과 탄수화물이 구성성분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특히 대조군으로 사용된 매실 추출물보다 수분함량은 낮고 당 함량은 높아 유의적으로 높은 점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갈색도와 색도는 모두 낮아 매실 추출물과 비교해 숙성 중 Maillard 갈변 반응의 정도가 상대적으로 낮았음을 시사해주었다. 잣송이 추출물은 매실 추출물보다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유의적으로 다르지 않았으나 유기산 함량과 갈변도는 1/10 수준으로 유의적으로 낮았고, 총환원력은 매실 추출물의 60% 수준으로 측정되었다. 그런데도 잣송이 추출물에서 매실 추출물과 유사한 높은 금속 소거능과 라디칼 소거 활성이 관찰되었다. 또한, 잣송이 추출물 속 플라보노이드 총량보다도 많은 양인 6.6 mM quercetin과 비교할 때 2배나 높은 SOD 유사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는 잣송이 추출물에 quercetin보다 항산화 활성이 높은 플라보노이드가 존재할 가능성을 보여주며, 플라보노이드 조성에 대한 후속연구의 필요성을 시사해주었다. 본 연구는 잣송이 추출물이 제조법과 용도가 유사한 매실 추출물에 버금가는 항산화 활성을 부여하면서도 상대적으로 높은 당 함량과 낮은 유기산 함량으로 매실 추출물과는 관능적 측면에서 차별화될 수 있는 식품으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분화된 3T3-L1 세포에서 잣송이 초임계 추출물의 지방분해 효과 (Lipolytic Effect of Supercritical Extraction from Pine Cone (Pinus koraiensis) in Mature 3T3-L1 Adipocytes)

  • 이민희;남다은;김옥경;허석현;이정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9호
    • /
    • pp.1342-1348
    • /
    • 2014
  • 건강에 대한 관심의 증가로 천연식품뿐만 아니라 산업 부산물을 이용한 기능성 소재 탐색에 대한 연구들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산업 부산물인 잣송이를 이용하여 초임계 방법으로 추출을 하여 항비만 식품 소재로서의 기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분화된 3T3-L1 지방세포에서 잣송이 초임계 추출물이 지방의 축적 및 지방분해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잣송이 초임계 추출물을 1, $5{\mu}g/mL$ 농도로 처리 시 세포 내 지방 축적이 억제되었고 중성지방분해 산물인 glycerol의 함량은 증가하였다. 잣송이 초임계 추출물이 지방합성 효소 및 지방분해 효소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real-time PCR을 실시한 결과, 잣송이 초임계 추출물은 지방합성 효소인 FAS에 아무런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고, 지방분해 효소인 LPL과 HSL의 유전자 발현이 증가됨에 따라 세포 내 중성지방이 지방산과 glycerol로 분해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이 결과들은 잣송이 초임계 추출물이 지방조직에서의 LPL과 HSL 유전자 발현 증가를 통한 지방분해로 항비만 효과를 나타냄을 보여주고 있다. 잣송이 초임계 추출물이 항비만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기능성 식품 신소재로서 개발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고지방식이로 유도한 비만 Mice에서 잣송이 초임계 추출물의 항비만 효과 (Anti-Obesity Effect of Pine Cone (Pinus koraiensis) Supercritical Extract in High-Fat Diet-Induced Obese Mice)

  • 이다솜;이민희;김혜숙;정특래;양현필;허석현;이정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12호
    • /
    • pp.1701-1707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C57BL/6J 마우스에 고지방 식이를 통한 비만을 유도시키며 동시에 잣송이 초임계 추출물을 식이에 첨가하여 8주간 식이 투여하여 항비만 식품 소재로서의 기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잣송이 초임계 추출물 20 mg/kg b.w.(HFD+PC low), 잣송이 초임계 추출물 100 mg/kg b.w. (HFD+PC high) 섭취군의 체중증가량은 고지방식이 유도 비만 대조군(HFD)에 비해 각각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간, 백색 지방, 총 지방 무게의 변화량 역시 잣송이 초임계 추출물 섭취군이 HFD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실험동물의 혈청 지질 함량은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LDL/VLDL 콜레스테롤, HDL 콜레스테롤이 HFD군에 비해 잣송이 초임계 추출물 섭취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HDL/LDL 비율을 계산한 결과에서는 잣송이 초임계 추출물 섭취군이 HFD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실험동물군의 지방 조직에서 adipogenic transcription factor ($PPAR-{\gamma}$, SREBP, C/EBP)의 발현을 측정한 결과, 잣송이 초임계 추출물 섭취군이 HFD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또한, adipogenic enzyme(FAS, LPL)의 발현을 측정한 결과, 잣송이 초임계 추출물 섭취군이 HFD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잣송이 초임계 추출물이 항비만 효과를 가진 천연 기능성 식품의 개발에 있어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생리활성 추출물의 첨가급여가 육계의 성장능력과 혈청 및 고기의 콜레스테롤 함량, 지질산화에 미치는 영향

  • 이우진;박재인;김창혁;이규호
    • 한국가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가금학회 2005년도 제22차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회
    • /
    • pp.72-73
    • /
    • 2005
  • 육계사료 내 생리활성 추출물의 첨가 급여가 육계의 성장능력과 혈청 및 고기의 콜레스테롤 함량, 지질산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대조구는 무항생제 사료(C)를 급여하였고, 처리구는 대조구 사료에 잣송이 추출물 500ppm(T1), illite 1%에 추출물 500ppm(T2), 잣송이 2.5%(T3)를 첨가하여 5주간 급여하였다. 증체량과 사료섭취량은 대조구에 비해 처리구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혈청의 콜레스테롤 함량은 추출물 첨가구인 T1, T2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가슴살 역시 추출물 첨가구인 T1, T2 처리구가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다리살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추출물 첨가구인 T1, T2 처리구가 콜레스테롤 함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TBARS값은 가슴살과 다리살에서 추출물 첨가구가 낮은 경향을 보였다. POV값은 유의적인 차이는 보였지만, 처리간의 일정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 PDF

잣송이 부산물로부터 수증기 증류법에 의한 피톤치드의 추출 (Production of Phytoncide from Korean Pine Cone Waste by Steam Distillation)

  • 김배용;이철태
    • 공업화학
    • /
    • 제26권6호
    • /
    • pp.648-658
    • /
    • 2015
  • 수증기 증류법을 이용하여 잣나무의 손상 없이 잣송이 부산물로부터 피톤치드 성분의 대량 추출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또한 수증기 증류법에 의해 얻어진 잣나무 피톤치드 oil을 대상으로 column chromatography법에 의한 피톤치드의 구성 성분의 분리 가능성을 타진하였다. 잣송이 부산물로부터 물 수증기 증류법과 수증기 증류법에 의해 피톤치드의 대량생산이 가능하며, 수증기 증류법의 경우가 물-수증기 증류법의 경우에 비해 수율이 2배가량 높을 정도로 효과적이었다. 수증기 증류법의 경우 $100^{\circ}C$, 30 min간 증류 시 잣나무 피톤치드 oil의 수율이 최고점이 얻어졌다. 얻어지는 잣나무 피톤치드 oil의 주성분은 ${\alpha}$-pinene, ${\beta}$-pinene, D-limonene ${\beta}$-myrcene 및 3-carene 등 12가지 이상의 성분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수용성의 성분이 함유되어 있는 다량의 유효성분도 함께 생산되어지면 이들 성분은 oil상에서 확인된 물질과는 동일한 성분은 전혀 없는 verbenone, ${\alpha}$-terpinieol, fenchol, 등의 성분으로 이루어짐을 확인하였다. 얻어지는 잣나무 피톤치드 oil의 다양한 구성 성분들은 column chromatography법에 의해 그 분리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다양한 버섯 수확 후 배지로부터 목질섬유소 분해효소의 최적 추출 및 특성 (Optimal Extraction and Characteristics of Lignocellulytic Enzymes from Various Spent Mushroom Composts)

  • 임선화;이윤혜;강희완
    • 한국균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160-166
    • /
    • 2013
  • 느타리버섯(Pleurotus ostreatus), 큰느타리버섯(Pleurotus eryngii), 팽이버섯(Flammulina velvtipes)과 노루궁뎅이버섯(Hericium erinaceum), 느티만가닥버섯(Lyophyllum ulmarium), 노랑느타리버섯(Pleurotus cornucopiae), 잣버섯(Lentinus lepideus), 버들송이버섯(Agrocybe cylindracea)의 수확 후 배지 (spent mushroom compost, SMC)로부터 ${\alpha}$-amylase (EC 3.2.1.1), lignin peroxidase (EC 1.11.1.14), laccase (EC 1.10.3.2), xylanase (EC 3.2.1.8), ${\beta}$-xylosidase (EC 3.2.1.37), ${\beta}$-glucosidase (EC 3.2.1.21) 및 cellulase (EC 3.2.1.4)의 활성을 추출 buffer별로 조사하였다. 물과 0.25% Triton X-100가 효소 회수율이 높았으며 xylanase는 팽이버섯 SMC에서 153 U/g으로 가장 많이 생산되었으며 laccase는 큰느타리버섯 SMC에서 8.0 U/g로 가장 높았다. ${\alpha}$-amylase (3.6 U/g)와 cellulase (3.2 U/g)는 버들송이 SMC에서 가장 많이 생산되었다. 큰느타리버섯 SMC 추출물의 laccase와 cellulase 활성은 상용 효소와 필적하는 효소활성을 보여 산업적 이용 가능성을 시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