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잠재적 위험도

Search Result 692,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농약에 대한 소비자와의 대화-안전성을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IV)

  • 매진헌치
    • Life and Agrochemicals
    • /
    • v.29 no.10
    • /
    • pp.14-17
    • /
    • 2008
  • 일반에게 공정한 입장에서 소비자와 커뮤니케이션을 실행하는 수단으로서 "일본농약학회, 지방자치단체, 내각부 식품안전위원회나 농림수산성, 후생노동성 등의 공적기관, 농약공업회나 전국농약협동조합 등 임의단체, 전국농업협동조합이나 전국 판매상 등의 유통업자 등이 실시하는 농약의 안전 사용자 안전 등에 관한 세미나 강습회, 소비자의 간담회", "학회나 농약연구자, 과학리더에 의한 계몽서의 출판, 학회나 업자 단체에 의한 Q&A집의 학회지 게재나 배포". "각종 학회나 공적기관의 홈페이지 계몽 해설문제의 게재", "농약제조 메이커나 임의단체에 의한 인터넷을 통한 메일 잡지 배송", "신문(전국지)를 매개로 한 홍보활동" 등을 들 수 있다. 최근에는 대학에 있어서도 일반사회인(소비자 포함)을 대상으로 한 농약이나 각종 화학물질의 안전성에 관한 공개강좌가 개설되어 있다. 한편 공정한 입장서 농약에 대해서 올바르게 전달한다는 개념에서 출발하지만, 결국엔 상업적 측면이 강한 "재미있고 우습게, 농약이 가지는 잠재적 위험성을 일부러 강조하고, 때로는 과학적 사실과 다른 내용을 의도적 또는 비의도적으로 전달하여 시청자나 독자의 관심을 끌어 시청률이나 발행부수를 신장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각종 매스컴으로부터의 막대한 양의 정보발신(모든 매스컴이 해당하는 것은 아님)이 있다. 더욱이 인터넷 사이트에는 종교적 측면이 강한 단체를 포함, 농약의 위험성을 강조하는 일이 있으며 온갖 정보가 넘쳐나고 있다. 물론 공적기관을 포함, 농약의 유용성과 잠재적 위험성에 대하여 공정하고 객관적 입장에서 인터넷을 소개한 정보 발신도 행해지고 있다. "농약은 나쁘고 위험하다"라는 정보로는 센세이셔날 한 상품가치(매스컴측의 보도 메리트)가 있지만 "농약은 안전하고 문제없다"로는 상품가치가 없다고 하는 상업 저널리즘을 드러낸다. "양적으로 압도적인 매스컴 보도"를 뛰어넘어 소비자에게 올바른 정보를 전달, 이해시키는 것은 가능하지 않을까. 다음으로 농약에 관한 리스크커뮤니케이션 수법에 대한 유의점과 과제를 기술한다.

  • PDF

Does Process Quality of Inpatient Care Serve as a Guide to Reduce Potentially Preventable Readmission (PPR)? (의료서비스의 과정적 질과 잠재적으로 예방 가능한 재입원율과의 관계)

  • Choi, Jae-Young
    • Korea Journal of Hospital Management
    • /
    • v.23 no.1
    • /
    • pp.87-106
    • /
    • 2018
  • Objecti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process quality of inpatient care and risk-adjusted, thirty-day potentially preventable hospital readmission (PPR) rates. Data Sources/Study Setting: This was an observational cross-sectional study of nonfederal acute-care hospitals located in two states California and Florida, discharging Medicare patients with a principal discharge diagnosis of heart failure, acute myocardial infarction, or pneumonia January through December 31, 2007. Data were obtained from the Healthcare Cost and Utilization Project State Inpatient Database of the 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 Centers for Medicare and Medicaid Services Hospital Compare database, and the American Hospital Association Annual Survey of Hospitals. Study Design: The dependent variable of this study is condition-specific, risk-adjusted, thirty-day potentially preventable hospital readmission (PPR). 3M's PPR software was utilized to determine whether a readmission was potentially preventable. The independent variable of this study is hospital performance for process quality of inpatient care, measured by hospital adherence to recommended processes of care. We used multivariate hierarchical logistic models, clustered by hospital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ondition-specific, risk-adjusted, thirty-day PPR rates and process quality of inpatient care, after taking clinical and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patients and structural and operational characteristics of hospitals into account. Findings: Better performance on the process quality metrics was associated with better patient outcome (i.e., low thirty-day PPR rates) in pneumonia, but not generally in two cardiovascular conditions (i.e., heart failure and acute myocardial infarction). Practical Implication: Adherence to the process quality metrics currently in use by CMS is associated with risk-adjusted, thirty-day PPR rates for patients with pneumonia, but not with cardiovascular conditions. More evidence-based process quality metrics closely linked to 30-day PPR rates, particularly for cardiovascular conditions, need to be developed to serve as a guideline to reduce potentially preventable readmissions.

PPS 분진폭발에 대한 잠재적 위험성에 관한 연구

  • Kang, Young-Gu;Kim, Hong;Cho, Myu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Conference
    • /
    • 1998.11a
    • /
    • pp.105-108
    • /
    • 1998
  • Dust explosion은 combustible solid의 미세한 입자가 공기 혹은 산소중에서 폭발범위의 농도에서 부유할 때 화염 혹은 spark 등의 에너지 공급에 의해 폭발하는 현상이며 plastic 공업, 금속분말, 유기약품, 무기약품, 안료, 농수산건조물 등에서 분체취급 분야의 확대 및 취급량의 증가에 따라 분진폭발의 잠재 위험성이 급증하고 있어 화학적 성질, 농도, 입경, 폭발 압력 등의 분진특성과 함께 분진폭발의 착화온도와 상한 및 하한 농도에 대해 이론 및 실험적으로 광범위하게 연구가 진행되어져 왔다. (중략)

  • PDF

조직간 정보시스템 유형별 위험 관리

  • 김미숙;김유일
    • Proceedings of the CALSEC Conference
    • /
    • 1999.11a
    • /
    • pp.713-720
    • /
    • 1999
  • 최근 조직간정보시스템의 연구는 조직간 전략적 협력을 형성함에 있어서 발생될 수 있는 잠재적 갈등의 위험 인지에 초점을 두고 있다. 기존 연구 대부분은 조직간의 위험발생에 있어서 경제적 관점의 위험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는 조직간 기술적 호환과 관련된 기술적 문제, 조직상호간의 활동, 서로 다른 문화ㆍ전략 차이간의 조정에 요구되는 사회정책적 문제는 고려하지 않고 있어서 조직간의 합리적이며 경제적인 협력적 동맹관계를 논의하는데는 충분치 않다. 따라서 조직간 협력적인 동맹관계를 다루기 위해서는 기존의 경제적 관점에 기술적 관점, 사회정책적 관점을 추가한 세가지 측면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조직간 정보시스템의 개념적 특성을 살펴보고, 조직간의 상호의존성, 구조적 특성, 기술, 조정매카니즘 요소등에 의해 정보자원공유, 가치사슬망, 네트웍 형태의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여 각 유형별에 대한 경제적, 기술적, 사회정책적 관점의 위험을 분석하고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한 관리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유로커런시시장과 외환시장에서의 초과수익률의 모형화

  • Kim, Eung-Gyu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Studies
    • /
    • v.6 no.1
    • /
    • pp.223-247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유로커런시와 외환시장의 초과수익률을 설명하는 여러 가지 모형을 검증하였다. 비록 Campbell-Clarida(1987)와 Lewis(1990,1991)는 이 시장에서 3개월물의 초과수익률에 대한 단일잠재변수모형을 기각할 수 없었지만 본 연구에서는 이 모형이 여러 포트폴리오에 대하여 기각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이 모형의 검증은 결합가정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모형의 기각원인을 찾는다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기각의 가능성으로 세계 경제에 하나 이상의 위험요인이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이 될 수도 있고 불안정한 상수가 원인일 수가 있다. 상수의 안정성검증에서 1979년 12월을 전후한 기간에 상수가 변하지 않는다는 귀무가설이 모든 포트폴리오에서 기각되었다. 따라서 양기간에 단일잠재변수모형과 두잠재변수모형을 검증하였다. 모든 포트폴리오에 대하여 1979년 12월 이전에는 단일변수모형이 기각되지 않았지만, 1979년 이후에는 체계적으로 기각되었다. 한편 두잠재변수모형은 양기간 모두에서 기각되지 않았다 따라서 위험요인에 변화를 주는 연방준비은행의 운영절차의 변화가 단일변수모형의 기각의 원인일 수 있다고 유추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시간 가변적인 베타가 단일변수모형의 기각의 원인이 될 수 있는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Harvey(1989,1991)에 의해서 개발된 모형을 적용해 보았지만 모형이 기각되었다. 따라서 유로커런시와 외화자산의 3개월물의 초과수익률에 두 잠재변수모형이 자료를 비교적 잘 설명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잠재변수모형의 검증은 자산가격결정의 일반균형이론의 검증도 아니고 검증력도 강하지 않기 때문에, 위험프리미엄을 설명해주는 단순한 실증분석으로 보아야 한다.

  • PDF

Safety Analysis of Potential Hazards at Hydrogen Refueling Station (수소충전소 잠재적 위험에 대한 안전성해석)

  • Park, Woo-Il;Kim, Dong-Hwan;Kang, Seung-Kyu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s
    • /
    • v.25 no.4
    • /
    • pp.43-48
    • /
    • 2021
  •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FLACS, a specialized gas accident analysis program. Hydrogen refueling stations subject of safety analysis, consist of compression facilities, storage tanks, and hydrogen piping. The safety analysis of potential risk factors was conducted after reflecting the design specifications of major facilities and components, environmental conditions around hydrogen refueling stations, etc. As of 2021, about 70 refueling stations in Korea are available, and 1,200 are scheduled to be introduced in the next 2040. To prepare for possible accidents caused by potential hazards for the safe distribution of hydrogen refueling stations, we intend to derive hydrogen leakage diffusion scenarios and review their safety.

Potential Risk Factors Analysis for Children Traffic Accident Based on Rescue Operations and Emergency Medical Services Data (구조구급활동 데이터 기반 어린이 교통사고 잠재적 위험요소 분석)

  • Kim, Yoo Jung;Hwang, Woo-Suk;Pyo, Kyu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20.07a
    • /
    • pp.227-228
    • /
    • 2020
  • 어린이 교통관련 안전사고 잠재적 위험요인 및 개선요인을 도출하기 위해 119구조구급자료 중 6세부터 11세까지의 어린이 사고 자료를 분석하였다. 4개 광역지자체의 2014년부터 5년간 자료에 대한 사고내용을 전수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사고 장소 및 시간대 분석 결과 어린이 교통사고는 하교시간 오후 시간대에 도로에서의 집중적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어린이 교통사고 잠재적 위험요인을 분석한 결과 자동차와 자전거를 이외 탈 것에 관한 사고비율이 최근 높아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연간 교통사고 전체 건수에 대한 추이는 큰 변화는 없었으나 개인 탈것의 사고 증가는 뚜렷하였다. 그 중 킥보드에 대한 사고가 가장 많았고, 퍼스널 모빌리티가 가장 뚜렷한 증가 분야였다. 현재 어린이에게 적용되고 있는 퍼스널 모빌리티 등에 대한 안전가이드라인이나 규정 등은 미비하나 향후 퍼스널 모빌리티의 보급은 크게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향후 어린이 교통사고를 줄이기 위해서는 어린이가 개인 전동 이동수단 활용 시 안전에 대한 규정마련과 교육이 시급하다.

  • PDF

Development of Risk Index for Evaluation of River Risk (하천 위험도 평가를 위한 위험지수의 개발)

  • Kim, Sang-Ho;Hwang, Shin-Bum;Cho, Ah-Ra;Lee, Jong-T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440-444
    • /
    • 2011
  • 집중호우로 인한 자연재해는 대부분 하천을 중심으로 발생하며, 설계빈도를 초과한 홍수량을 인해 제방을 월류하거나 제방의 붕괴로 인해 피해가 발생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제방 붕괴와 같은 홍수의 위험으로부터의 취약성을 감소시키는 동시에, 홍수에 의한 피해에 대해 빠른 복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정책을 홍수 경감 대책이라고 하며, 홍수에 대비하는 정책은 홍수의 주기 및 재해특성과 관련이 있고, 인간과 사회에 대한 잠재적인 피해를 줄이기 위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여러 가지 이유에 의해 발생하는 제방의 붕괴 현상이 복잡한 수리학적 또는 토질 기초 공학적 현상 등에 의하여 일어나기 때문에 이에 대한 발생 원인을 규명하는 것이 쉬운 일은 아니나, 일반적 월류, 세굴, 침하 및 지진 등으로 꼽히는 제방 붕괴 위험 원인들을 검토하여 제방 붕괴를 유발할 수 있는 하천의 위험 인자들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토대로 하천 내 주요지점에 대한 위험도를 산정할 수 있는 기법을 개발하고 시험유역을 대상으로 하천에서 발생 가능한 위험 지구를 선정하여 그 타당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 PDF

Study of the Risk of Ignition due to Internal Combustion Engines in Areas with Potentially Explosive Gas Atmospheres (잠재적 폭발위험장소에서 내연기관에 의한 점화 위험성에 관한 연구)

  • Kim, Yun Seok;Rie, Dong Ho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30 no.5
    • /
    • pp.1-8
    • /
    • 2016
  • Safety management in hazardous areas with potentially explosive gas atmospheres (here in after referred to as hazardous areas) in large scale facilities dealing with combustible or flammable materials at home and abroad is very important (significant) for the coexistence of the company and local society based on business continuity management (BCM) and reliance. For the safety management in hazardous areas, two systems are mainly used: (1) the control system for the prevention of combustible or flammable substances and (2) the explosion proof system for the elimination of ignition sources when flammable gases are leaked to inhibit the transition to fire or explosion accidents. While technology and regulations on explosion proof facilities or devices for electrical ignition sources are well developed and defined, those for thermal ignition sources need to be more developed and established. In this study,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in hazardous areas was investigated to determine the risk of ignition. For this purpose, document searches were conducted on the relevant international standards and accidents cases and risk analysis reports. In addition, this study assessed the application cases of the diesel engine's safety equipment, such as spark arresters regarding the site of process safety management (PSM) system in central Korea. To practically apply these results to the hydrocarbon industry, the safety management method for explosion prevention in hazardous areas was provided by risk identification for ignition source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such as diesel engines.

Qualitative Hazard Analysis for a Batch Radical Reaction Process using HAZOP Method (HAZOP 기법을 이용한 회분식 라디칼 반응 공정에 대한 정성적 위험성 평가 방법 연구)

  • Park, KyungMin;Lee, DongKyu;Lee, JoonMan;Ahn, WonSool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0 no.2
    • /
    • pp.385-393
    • /
    • 2019
  • Potential fire, explosion and safety hazards exist in medium- or small-scale chemical plants using radical batch reaction processes due to the various conditions of materials, works or products. To minimize the potential damage, a study was conducted on qualitative hazard analysis using the HAZOP technique, which is a typical method for a qualitative risk assessment and analysis of the potential risks encountered in these chemical plants. For this purpose, a domestic chemical plant, which produces the acrylic resin by a radical batch reaction process, was selected and a risk assessment and analysis according to the procedure of HAZOP method was performed for the process. As the result of the study, to prevent the hazard, the input of inert gas and the installation of a pressure gauge were indispensable. In addition, the initiator and monomer should also be separated, and inhibiting substances and equipment are also necessary to prevent a runaway rea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