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afety Analysis of Potential Hazards at Hydrogen Refueling Station

수소충전소 잠재적 위험에 대한 안전성해석

  • Received : 2021.06.14
  • Accepted : 2021.08.27
  • Published : 2021.08.31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FLACS, a specialized gas accident analysis program. Hydrogen refueling stations subject of safety analysis, consist of compression facilities, storage tanks, and hydrogen piping. The safety analysis of potential risk factors was conducted after reflecting the design specifications of major facilities and components, environmental conditions around hydrogen refueling stations, etc. As of 2021, about 70 refueling stations in Korea are available, and 1,200 are scheduled to be introduced in the next 2040. To prepare for possible accidents caused by potential hazards for the safe distribution of hydrogen refueling stations, we intend to derive hydrogen leakage diffusion scenarios and review their safety.

본 연구는 가스사고 전문해석 프로그램인 FLACS를 이용하여 진행하였다. 안전성해석 대상인 수소충전소는 압축설비, 저장탱크, 수소 배관 등으로 구성되어있다. 주요 시설 및 구성품의 설계 사양, 수소충전소 주변의 환경 조건 등을 반영한 후 잠재적 위험요인에 대한 안전성해석을 실시하였다. 국내 수소충전소는 2021년 기준 약 70여곳의 충전소가 보급되어있으며, 향후 2040년에는 1200기 도입이 예정되어있다. 수소충전소의 안전한 보급을 위해 잠재적 위험에 의한 발생 가능한 사고를 대비하고자 누출·확산 시나리오를 도출하여 안전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연구는 산업통상자원부(MOTIE)와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KETEP)의 지원을 받아 수행한 연구과제 (No. 20162310100020)입니다.

References

  1. Park, W. I., Yu, C. H., Kim, Y. G., and Lee, H. R., "A Study on the Risk Assessment of Hydrogen and Electric Charging Station in Hybrid Energy Hub", Korea Institute of Gas, 2020(2), 22-28, (2020)
  2. 한국가스안전공사, 수소자동차 충전소 기준해설서, (2018)
  3. Shin, S. C., "The study on Ignition Risk of Automotive Gasoline by Electrostatic Discharge",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Technology, (2018)
  4. 산업통상자원부,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 (2019)
  5.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KOSHA GUIDE P - 107 최악 및 대안의 누출 시나리오 선정에 관한 기술 지침, (2016)
  6. FLACS v10.9 User's Manual, Gexcon AS, (2019)
  7. 기상청, "국내기후자료",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