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잠재적 위험도

Search Result 690,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Analysis of Potentioal Risk of Tuberculosis Using Socioeconomic Indicators - Focused on 8 Cities in Chungcheongnam-do - (사회·경제적 지표를 활용한 결핵의 잠재적 위험도 분석 - 충청남도 8개 시를 대상으로-)

  • Park, Keunoh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7 no.1
    • /
    • pp.68-80
    • /
    • 2021
  • Purpose: In this study, potential demographic, social, and economic factors causing tuberculosis were identified, and eight cities in South Chungcheong Province were compared and analyzed with the IPA method. Method: The factors potentially affecting the prevalence of tuberculosis were categorized demographically, socially, and economically, and selected through brainstorming. Furthermore, potential factors affecting tuberculosis were derived using the revised IPA. Based on this analysis, areas with a potential risk of tuberculosis were classified, and the following policy implications were suggested. Result: The analysis found the three cities of Nonsan, Boryeong, and Gongju to have the highest potential risk of tuberculosis, and the frequency of potential risk factors in the above three cities to be 6 or more. Thus, an urgent policy response to prevent tuberculosis in these regions is required. Conclus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take potential risk factors into account when promoting tuberculosis prevention policies and projects in South Chungcheong Province.

An Analysis of Potential Danger Factors by the Characteristics of Heavy Snow - Focused 11 Cities and Guns in Chungcheongbuk-do - (대설특성을 통한 잠재적 위험도 분석 - 충청북도 11개 시·군을 중심으로 -)

  • Yoon, Sanghoon;Park, Keunoh;Kim, Geunyoung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1 no.1
    • /
    • pp.23-34
    • /
    • 2015
  • This Study analyzed heavy snow properties according to the area that was based by winter weather properties and the damage data by the heavy snow among each local government of Chungcheongbuk-do. The result of analysis, Jecheon-si and Boeun-gun are represented the highest dangerous regions by potential degree of risk by average amount of snowfall for 35 years. But, the potential degree of risk by maximum amount of snowfall for 35 years is different with it. Cheongju-si and Youngdong-gun, Goesan-gun, Boeun-gun are represented the highest dangerous regions. Examining the frequency of regions with potential danger factor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heavy snowfall, Boeun-gun and Jecheon-si, Goesan-gun, Youngdong-gun, Cheongju-si is derived the highest dangerous regions in Chungcheongbuk-do.

Study of Usage of Underwriting under Shared Policy Contract (계약정보 공유에 따른 언더라이팅 활용에 대한 고찰)

  • Bae, Young-Hie
    • The Journal of the Korean life insurance medical association
    • /
    • v.22
    • /
    • pp.121-137
    • /
    • 2003
  • 현행 생명보험업계는 중복가입계약에 대한 정보교환제도를 시행함으로써 잠재적 위험에 대한 위험평가를 하고는 있으나 실제 언더라이팅 과정에서는 효율적인 활용을 못하고 있다. 따라서 언더라이팅 실무 입장에서 현행 정보교환제도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각 보험회사가 취할 수 있는 효율적인 대응방안을 제시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현행 정보교환제도의 문제점을 크게 몇가지로 나눌 수 있다. - 교환기준에 미달하는 다수의 계약건을 가입한 경우 위험평가 불가 - 위험평가상 고지의무에 충실한 계약자의 상대적 불리 - 정해진 기준과 다른 임의적 기준적용 등 선별적 자료교환으로 위험선택에서 배제된 잠재적 위험들의 계속적인 계약 및 지급 등 역선택 방조기능 - 실시간 반영된 정보부재 및 교환된 자료만으로 one-stop 위험평가를 할 수 없는 어려움 내재 - 정보교환에 대한 전체적 참여노력 부족 및 자기정보에 대한 방어와 자체 활용 이런 문제점들을 인식하고 이에 대한 효율적 대응방안을 제시해 본다. - 언더라이팅 측면에서 판매채널 다변화, 업무겸업화 둥 대외 환경변화에 따른 위험분석 및 평가, 위험분산을 위한 multi-player로서의 언더라이터 양성 필요 - 지급, 조사건의 분석 및 통계화 등 feed back 기능 강화통한 언더라이팅 활용 - 방문진단 통한 적부기능 활용 또는 모집자 사정평점제 등 언더라이팅 과정에서 활용할 수 있는 위험평가 자료축적 - 영업환경적 측면에서 고보장 상품의 경쟁적인 개발제한 - 정보교환제도 측면에서 정보교환 기준 변경 및 교환내용 추가 및 공동의 계약인수 guideline 필요 - 진단거절체, 표준미달체, 사절체 등 새로운 정보교환의 추진 필요 - 종합적인 피보험자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피보험자 종합정보의 데이터 구축 및 활용 효율적인 위험관리 외에도 각 보험회사별로 역선택 위험에 대한 심각성을 인식하고 업계간 정보교환에 적극적인 참여와 노력이 필요하며 잠재적 위험평가를 하는데 있어 계약자에게는 객관적 근거없이 불편을 갖지 않도록 언더라이팅 서비스하는 것 또한 중요하다. 지속적인 피보험자의 위험통계축적으로 잠재위험에 대한 보다 객관화된 위험평가를 할 수 있는 언더라이팅 기법을 체득함으로써 언더라이팅 경쟁력을 갖을 수 있다.

  • PDF

A Study on the Potential Risk Analysis for the Safety Management in the Formwork (거푸집공사 안전관리를 위한 잠재적 위험 분석에 관한 연구)

  • Shin, Yoon-Seok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 /
    • v.21 no.2
    • /
    • pp.121-128
    • /
    • 2021
  • Due to the increase of size and complexity of construction project, the frequency of serious accidents in construction industry has been increased. Especially, the proportion of accidents in formwork of building construction site is very high, and many previ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preventing them in the viewpoint of the diverse approaches. However, their effectiveness on accidents prevention was poor, and as a result, it is limited to consider the potential risks because many workers and managers tend not to be concerned with unsafe factors in formwork. Therefore, in this study, a realistic and proactive way for analyzing these potential risks was proposed in the manner of quantitatively assessing the potentials resulted from the unsafe factors in formwork. To verify the applicability of the proposed methodology, group survey was carried out,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the traditional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hereafter IPA) technique. Through the use of the proposed methodology, unsafe factors that were not found in the IPA but have potential risk were identified. Eventually,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proactive prevention of construction serious disaster accidents in formwork by enabling a more efficient management.

Analyzing the Influence of Digital Textbook Use for Potential Risk Group of Internet Addiction and Average Group (디지털교과서 활용이 인터넷 중독 잠재적 위험군과 일반 사용자군에게 미치는 영향의 차이 분석)

  • Ahn, Seonghu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19 no.4
    • /
    • pp.431-440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digital textbook use for potential risk group of internet addiction and average group. For this, I selected two samples. One was a group to use digital textbook at school, the other was a group not to use that. Then each potential risk group of internet addiction were sort out in two groups by a test of internet addiction. I firstly compared a average user group and a potential risk group of internet addiction in group to use digital textbook. Also, I too did that in group not to use digital textbook. Then I analyzed the relevance of using digital textbook and internet addiction. As a result, I found that using digital textbook have not the relevance with internet addiction. But in this paper, I proposed a way to teach ICT ethical training before students use the digital textbook, because most of potential risk students of internet addiction tend to think they was influenced by digital textbook.

Conceptual Study for the Potential Risk of Flood Damage Occurence (홍수피해발생 잠재위험성의 개념적 연구)

  • Park Seok Geun;Kim Hung Soo;Lee Keon Haeng;Yoon Yong Na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850-854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홍수가 발생할 경우 그 피해에 대한 잠재위험도를 산정하는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대상유역의 연간 홍수피해 잠재위험도의 기대치를 나타내는 홍수피해 잠재위험 기대치(Expected Potential Risks of Flood Damage, EPR)라는 새로운 개념을 정의하고 이 개념을 이용해 잠재위험도를 산정하도록 한다. 우선 EPR을 선장하기 위한 요소로 대상유역의 노출성(E)과 취약성(V)을 정의하고, 빈도-유량 곡선, 수위-유량 곡선, 수위-노출성$\cdot$취약성 곡선, 빈도-노출성$\cdot$취약성 곡선을 정의하도록 한다. 빈도-유량 곡선은 대상유역의 하천정비기본계획 자료와 실측자료를 이용해 산정하고,, 수위-유량 곡선은 HEC-G대RAS 모형을 이용하여 산정하였다. 대상유역은 경기도 용인시에 위치한 금학천 유역으로, 산정결과는 최대 노출성 및 취약성 지수를 각각 100으로 볼 때, 노출성 지수는 28, 취약성 지수는 32.25이고, 50년 빈도 홍수피해 잠재위험도는 30.13로 산정되었다.

  • PDF

Flood Risk Assessment of Seoul based on Watershed Characteristics (유역특성 기반의 서울시 침수위험성 분석)

  • Kim, Sung Eun;Kang, Won-Sam;Baek, Jong-Ra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38-38
    • /
    • 2022
  • 서울특별시(이하 서울시)는 기존 상습침수지역과 2010년, 2011년 집중호우로 발생한 침수피해를 바탕으로 34개의 침수취약지역을 선정하고, 이들 지역에 2011년 3월부터 2023년 12월까지 총사업비 1조 5,300억여 원을 투입하여 하수관거 정비, 펌프장 신설 및 증설, 저류조 신설 등 배수능력을 확충하는 사업을 진행해오고 있다. 하지만, 기후변화로 인해 집중형 배수시설의 설계용량을 초과하는 강우의 발생빈도가 증가하고, 극한홍수 발생위험과 기상예측 불확실성이 커짐에 따라, 배수시설의 용량을 증설하는 집중형 우수배제체계 중심의 침수관리만으로는 안전한 침수대응이 어렵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침수대응 다각화를 위해 유역의 자연적, 사회환경적 특성을 대표할 수 있는 52개 지표를 선정하고 서울시를 소규모 유역 단위인 163개의 배수분구로 구분하여 지표별 공간적 분포와 특성 분석을 통해 각 배수분구를 유형화하고, 유형특성에 따른 침수취약성과 잠재적 침수발생 위험성을 분석하여 침수위험성을 평가하였다. 유역의 특성을 대표하는 각종 지표의 서울시 내 공간적 분포를 분석한 결과, 지표별 공간적 분포 특성이 상이했으며, 지표별 최대/최소값의 차이가 수배에서 수백배까지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서울시 내외에 산포된 총 40개 기상청관측소의 2010년부터 2019년까지 시간강우자료를 이용하여 강우관련 지표들의 시공간적 분포를 분석한 결과, 연평균강우량, 여름철강우량, 일최대강우량 등에서 지역적으로 최대 수백 mm의 강우량 차이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역특성에 따른 서울시 침수위험성을 평가한 결과, 침수발생 및 피해에 불리한 유역의 공간적 취약성이 높은 배수분구로는 봉천1, 송파, 길동, 미아, 상계1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침수발생에 대한 잠재적 위험성이 높은 배수분구는 이문, 정릉, 제기1, 장안, 전농 등의 순으로 분석되었다. 침수발생에 대한 잠재적 위험성과 침수피해에 불리한 공간적 취약성이 모두 높아 침수위험성이 큰 배수분구는 상계1, 미아, 장위, 창동1, 동선, 수유2, 방학, 길동, 월계2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 PDF

Study on Handling Practices and Consumption of Potentially Risky Foods in Family Home (가정에서 잠재적 위험성 식품을 다루는 주부들의 습관과 섭취방법에 관한 연구)

  • Yoon, Ki-Sun;Yoon, Hyun-Joo;Koo, Sung-Ja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 /
    • v.20 no.3
    • /
    • pp.147-158
    • /
    • 2005
  • A food safety surve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housewives' handling practices and consumption of potentially risky foods in family home. More than $40\%$ of the respondents wash their hands without soap or use their wash towels after contact with potentially risky foods such as meat, poultry, fish, shellfish, raw eggs, meat processed foods, raw fruits and vegetables. Over half of the respondents have consumed undercooked eggs without recognizing the potential health risk of consumption of raw eggs. $34\%$ of the respondents do not wash their hands after breaking raw eggs, indicating high risk of cross contamination while handling raw eggs. More than $60\%$ of the respondents just use running water to wash fresh fruits and vegetables. $78.9\%\;and\;45.2\%$ of the respondents have consumed sushi/sashimi or raw oysters, respectively in the past 12 month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e substantial risks of unsafe food-handling practice at the points of cross-contamination, cooling practices, storage time, and consumption of potentially risky foods at home. Considering the housewives' participation in school food service, development of food safety education program for the housewives is needed to promote safe handling practices of potentially risky foods.

Analysis of Public Perception of Nuclear Power Generation Reflected in the Times (시대성이 반영된 원자력발전에 대한 일반인들의 인식 분석)

  • Park, Cheol Koo;Hwang, Chul Hwan;Kim, Dong Hy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 /
    • v.11 no.6
    • /
    • pp.483-491
    • /
    • 2017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erception of the general public through analysis of various potential risk factors reflecting nuclear power generation and nuclear power (radiation) and risks. A total of 293 copies of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various strata in Busan. As a result, among the potential factors in everyday life, there was a high awareness of the risk to the fire. Next, the perception of risk for radiation terror and nuclear (nuclear) energy was relatively high compared to other risk factors. In the analysis according to age, educational background, and political ideological tendency, the results were contradictory to the necessity, risk and safety of nuclear power generation. The potential risk factors and the perception of nuclear power according to the tendency of political ideology were analyzed to be positive recognition of conservative ideology and negative recognition of progressive group. In other words, the perception of nuclear power was analyz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tendency of political ideology. Therefore, it should be decided to reflect the opinions of experts and various opinions of the general public in the setting of nuclear radiation (radiation), it is believed that ordinary people need to take flexible action without having a vague sense of anxiety about various potential risks and nuclear power (radiation) based on objective and scientific grounds.

Flood Damage Reduction Estimation for 4 Major River Restoration Project Applying Overtopping Risk of Levee Using Bayesian MCMC (Bayesian MCMC에 의한 하천제방 월류위험도 적용 4대강살리기사업 홍수피해경감편익 산정 방안)

  • Yi, Choong-Sung;Lee, Han-Goo;Chung, Nahm-J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448-452
    • /
    • 2011
  • 기존의 하천개수사업 치수경제성분석에서는 홍수피해경감편익 산정시 계획홍수위 이하의 홍수에 대해서 제방이 완벽히 방어한다는 가정 하에 제방으로 인한 피해경감액을 편익으로 산정하고 있다. 그러나 전통적 빈도해석 방법 및 수리수문 모형에 내재된 매개변수 불확실성으로 인하여 특정 하천구간에서 산정된 계획빈도 이하의 홍수위가 제방고에 해당하는 임계사상을 초과할 수도, 반대로 계획빈도 이상의 홍수위가 임계사상을 초과하지 않을 가능성도 있다. 이러한 불확실성은 수공구조물의 붕괴에 대한 잠재성을 가진 중요한 요인으로도 작용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잠재적 위험도를 제방 월류위험도로 정의하고 이를 Bayesian MCMC에 의해 산정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제시된 방법론은 4대강살리기사업 전 후에 대해 적용하였으며, 계획홍수위 저하에 따른 잠재적 홍수위험 감소 효과를 정량적으로 나타낼 수 있었다. 월류 위험도는 빈도별 홍수피해액의 피해발생 확률로서도 적용될 수 있으며, 이는 물리적 침수구역 설정의 어려움에 따른 홍수피해액 과다산정 문제 해결의 대안으로서도 의미가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