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잠재적인 참조

검색결과 33건 처리시간 0.033초

잠재적인 참조를 고려한 논문 랭킹 방안 (Scientific Literature Ranking Considering Latent Citations)

  • 황세미;배덕호;김상욱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9D권1호
    • /
    • pp.15-20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예전 논문의 기득권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한 논문이 현재 다른 논문들로부터 받은 참조뿐만 아니라, 해당 논문의 잠재적인 참조도 함께 고려하는 랭킹 방안을 제안한다. 더 나아가, 논문의 정확한 랭킹 측정을 위해 두 논문 간의 내용 연관성도 함께 고려하는 랭킹 방안을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실제 논문 데이터를 이용한 다양한 실험들을 통해, 제안 방안의 우수성을 입증한다.

형태소 수준의 한국어 상호참조해결 (Korean Coreference Resolution at the Morpheme Level )

  • 조경빈;최요한;이창기;류지희;임준호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2022년도 제34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329-333
    • /
    • 2022
  • 상호참조해결은 주어진 문서에서 상호참조해결 대상이 되는 멘션(mention)을 식별하고, 동일한 개체(entity)를 의미하는 멘션들을 찾아 그룹화하는 자연어처리 태스크이다. 최근 상호참조해결에서는 BERT를 이용하여 단어의 문맥 표현을 얻은 후, 멘션 탐지와 상호참조해결을 동시에 진행하는 End-to-End 모델이 주로 연구가 되었다. 그러나 End-to-End 방식으로 모델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모든 스팬을 잠재적인 멘션으로 간주해야 되기 때문에 많은 메모리가 필요하고 시간 복잡도가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서브 토큰을 다시 단어 단위로 매핑하여 상호참조해결을 수행하는 워드 레벨 상호참조해결 모델을 한국어에 적용하며, 한국어 상호참조해결의 특징을 반영하기 위해 워드 레벨 상호참조해결 모델의 토큰 표현에 개체명 자질과 의존 구문 분석 자질을 추가하였다. 실험 결과, ETRI 질의응답 도메인 평가 셋에서 F1 69.55%로, 기존 End-to-End 방식의 상호참조해결 모델 대비 0.54% 성능 향상을 보이면서 메모리 사용량은 2.4배 좋아졌고, 속도는 1.82배 빨라졌다.

  • PDF

함수적 변환을 이용한 SMIL2.0 문서의 검증 (Verification of SMIL 2.0 Document using a Functional Transformation)

  • 김경덕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7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4 No.2 (C)
    • /
    • pp.284-287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상호작용을 가지는 멀티미디어 문서인 SMIL 2.0 문서를 함수적 변환을 이용하여 문서의 검증방법을 제안한다. SMIL 2.0 문서는 기존 SMIL 1.0보다 더 많은 시간 관계의 기술 방법을 제공함으로서 문서 작성의 융통성은 높아지지만 상호작용에 따른 잠재적인 모순의 발생 가능성은 더욱 높다. 특히 비결정행위에 따른 미디어 객체간 상호 참조 및 이벤트 참조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모순 검증이 필요하다. 제안하는 검증 방범은 SMIL 2.0 문서를 함수적 표현으로 변환하고 객체간 상호참조를 탐색하여 모순 유무를 나타내는 검증 프로토타입이다. 적용 예로는 상호작용을 가지는 멀티미디어 문서의 검증이다.

  • PDF

클라우드 컴퓨팅에서의 의미 상호운용성을 위한 표준 참조 모델 (A Standard Reference Model for Semantic Interoperability in Cloud Computing)

  • 정동원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8호
    • /
    • pp.71-80
    • /
    • 2012
  • 최근 클라우드 컴퓨팅을 위한 많은 표준화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나 데이터 공유 및 교환을 위한 표준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무엇보다 해당 표준화 기구에서는 의미 상호운용성 향상을 위한 구체적인 표준화 항목 및 참조 모델을 제시하고 있지 않다. 이 논문에서는 현재까지의 표준화 문제점을 정의하고, 의미 상호운용성 제공을 위한 구체적인 표준화 항목 및 참조 모델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먼저 클라우드 컴퓨팅을 위한 전반적인 표준화 동향을 분석하고, 특히 데이터의 의미적 상호운용성을 제공을 위한 표준 개발 현황을 기술한다. 또한 다양한 분야의 표준개발에 이용된 데이터 교환 및 관리 분야의 표준 개념을 기반으로 잠재적인 표준화 항목을 정의한다. 마지막으로, 표준화 항목 간의관계성과 전체적인 의미 상호운용성 과정을 보여주기 위해 참조 모델을 기술한다. 이 논문은 표준 개발을 위한 가이드라인으로서 이용될 수 있으며, 아울러 클라우드 컴퓨팅의 표준화를 촉진할 수 있다.

하천유형에 따른 물리서식처 평가체계 (Assessment system of physical habitat based on stream types)

  • 김기흥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2년도 학술발표회
    • /
    • pp.5-5
    • /
    • 2022
  • 하천의 서식처 특성 즉, 수리, 하도 및 하안 특성 평가의 목적은 하천기본계획 수립과 하천복원사업의 실행과정에 있어 기본방향의 설정 및 통합적 평가기준으로서 사업의 성공여부를 평가하고, 또한 하천 이용과 보전, 나아가 복원계획에 대한 잠재적인 적합성의 근거를 파악하고 이에 가치를 부여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 실무자가 적용할 수 있는 물리 서식처의 수리 및 하도 특성 평가를 위한 지표와 정량적 평가기준을 마련함에 있어 선진국 하천의 분류체계 및 물리 서식처 평가기준을 검토하였다. 또한, 검토 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 하천의 물리적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하천의 유형을 분류하고 각 유형의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정량적 평가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평가체계의 가장 중요한 특징 중 하나는 개발 목적에 따라 하천의 물리, 생태, 경관, 이용 상황 등을 고려하여 하천환경의 다양성과 고유성을 제대로 반영한 평가시스템으로 구축하였다. 하도특성을 지배하는 주요 인자로 하상경사와 하상재료를 조합하여 급경사, 중경사, 완경사로 하천유형을 분류하고 하도 및 수리, 하안 및 식생, 하천교란 등의 3개 영역으로 하천을 세분화하여 평가 시스템을 구축하였으며, 또한 하천환경의 수리 및 하도특성의 정도는 두 가지로 첫째는 하천의 자연적인 모습인 참조하천의 관련된 것이고 나머지는 인간에 의해 교란된 비교하천으로 보았으며, 인간에 의해 교란된 정도와 서식처 기반 수준에 따라 1등급에서 5등급으로 등급화하여 평가체계를 구성하였다.

  • PDF

테라헤르츠 펄스의 발생 및 그 응용 (Terahertz Pulse Generation and Its Applications)

  • 손주혁
    • 한국광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광학회 2000년도 제11회 정기총회 및 00년 동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0-21
    • /
    • 2000
  • 헤르츠가 최초로 무선통신의 가능성을 보인 이후 인류는 수 킬로헤르츠 (kHz)의 주파수를 이용하기 시작하여 메가헤르츠 (MHz) 대역에서 라디오, 텔레비젼, 음성 통신 등의 엄청난 기술적 발전으로 문명에 기여해 왔다. 이 MHz 대역이 포화하기 시작하자 더 높은 주파수의 기술을 연구하여 개인 휴대통신, 위성통신 등에 기가헤르츠 (GHz) 대역을 활용하였다. 반면에 빛이라 불리는 매우 높은 주파수의 전자기파는 뢴트겐이 X-ray를 투시 촬영기에 이용한 이래 광통신 등이 발명되어 가시광선에서 적외선까지 더 낮은 주파수 쪽으로 발전·활용되어 왔다. 이러한 광파와 마이크로 전자기파 사이의 테라헤르츠 (THz)주파수 대역 (또는 원적외선 영역 혹은 T-ray라 불림)은 많은 잠재적인 응용분야에도 불구하고 용이한 신호원의 부재로 기초적인 연구도 미비한 상태이다 (그림1 참조). (중략)

  • PDF

기업 보유역량 기반의 잠재 유망 기술-제품 포트폴리오 도출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Emerging Technology-Product Portfolio Generation Based on Firm's Technology Capability)

  • 이용호;권오진;고병열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14권spc호
    • /
    • pp.1187-1208
    • /
    • 2011
  • 본 연구는 기업의 보유자원(역량) 기반 관점에서 기업이 필요로 하는 유망기술 도출 모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첫째, 중소기업과 유망기술에 대한 고찰을 통해 중소기업이 필요로 하는 유망기술에 대해 개념적으로 정의하였다. 둘째로, 연구의 개념적 틀을 제시하고 X사의 사례 분석을 통하여 제시된 연구의 틀에 대한 유용성을 검증하였다. 기업이 진입해 있는 기술, 용도, 제품분야 키워드를 기준으로 기업의 진입영역을 대리하는 참조특허집합(reference patent set)을 구성하였다. 분석데이터는 참조특허집합을 두 단계까지 전방인용(forward citation)한 특허로 대상을 확장하여 구성하였다. 분석특허 풀에서 전문가가 선정한 키워드를 기준으로 클러스터 분석을 수행하고 클러스터의 활동성, 참조특허집합과의 관련성 지표를 기준으로 군집별 유망성을 분류하였다. 마지막으로 기업이 접근 가능한 영역에 대한 잠재 포트폴리오를 표현하고 기업이 단계적으로 접근가능한 유망영역, 모니터링 대상, 모니터링 제외대상 영역을 도출하였다.

  • PDF

중소규모 조직을 위한 소프트웨어 위험관리 프로세서 프레임워크 개발 (Developing a Framework of Software Risk Management Process for Small Organizations)

  • 박영미;도성룡;한혁수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476-479
    • /
    • 2008
  • 소프트웨어 프로젝트는 본질적으로 모호한 요구사항, 정확하지 않은 산정과 기술의 어려움 등 많은 불확실성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불확실성은 프로젝트가 내부에 잠재적인 문제인 위험(Risk)을 지니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위험은 발생되면 프로젝트 성공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위험을 사전에 예방하고 최소화하기 위한 프로세스(Process)의 정립이 필요하다. 상당수의 중소규모 조직이 이러한 위험관리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있지만, 위험관리 프로세스를 정의하고 이행하는 것은 전문적인 지식을 요구한다. 따라서 특정 조직과 프로젝트에 적합한 프로세스가 안정적인 단계에 이르기 위해서는 많은 시행착오의 과정이 필요하다. 이러한 어려움 때문에 중소규모 조직에서는 쉽게 프로세스 구축을 시도하지 못하고 있다. 관련 표준과 참조모델에서도 위험관리 프로세스 영역을 포함하여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지만, 상위수준의 활동목표와 수행되어야 하는 프랙티스(Practice)만을 제시하고 있는 세부적인 절차나 방법들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PMBOK 과 CMMI, 그리는 기존 전문가들의 연구를 바탕으로 소프트웨어 위험관리 프로세스 프레임워크(Framework)를 개발하였다. 중소규모 조직에서는 이 프레임워크를 활용하여 규모와 프로젝트의 특성을 반영한 위험관리 프로세스를 정의하고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고등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외적동기, 흥미, 과학 과목 성취도의 구조적 관계와 성별에 따른 잠재평균 분석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nd Latent Means Analysis of Gender among Academic Self-Efficacy, Interest, External Motivation and Science Achievement for High School Students)

  • 주영주;정영란;이유경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876-886
    • /
    • 2011
  • 본 연구는 고등학교 과학 과목에서의 학업적 자기 효능감, 외적동기, 흥미 및 성취도의 성별에 따른 잠재평균 분석 및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PISA 2006의 한국 학생 데이터를 사용하여 잠재평균 비교 및 변인 간의 인과관계를 살펴보았다. 다집단 분석의 잠재평균 비교 결과, 남학생을 참조집단으로 삼았을 때 여학생들의 잠재평균은 학업적 자기효능감, 외적동기, 흥미에서 모두 낮게 나타났다. 또, 학업적 자기효능감, 외적 동기는 흥미에 영향을 미쳤고, 학업성취도에는 학업적 자기효능감, 흥미, 외적 동기의 순으로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고등학교 과학과목에서 흥미 증진 및 성취도 향상을 위해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높이고, 동기 진작 방안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GIS 용어 표준화과정에 대한 고찰 (Control Procedures of Standardization for GIS Terminology)

  • 성효현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6권2호
    • /
    • pp.183-199
    • /
    • 1998
  • 본 연구는 한국 95용어 표준을 구축하기 위한 기초를 마련하기 위해 국제표준기관인 ISO의 지리정보기술 위원회(TC211)에 제시된 용어표준화 과정과 국내 정보산업 표준화 과정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ISO/TC211에서 제시되는 문서들을 수집하여 용어 표준화 과정 및 최근까지 구축된 지리정보 용어의 표준안을 참조하였다. 특히 다양한GIS표준화 기구에서 수행되고 있는 국제 GIS용어표준안을 비교 분석하여 실제적 흑은 잠재적인 문제들에 대하여 주어진 상황에서 최선의 질서를 이루기 위해 공통적이거나 혹은 반복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규정을 제정하는데 도움을 주려한다. 국제적으로 GIS의 용어표준화 과정은 제안단계를 거쳐 준비단계에서 작업초안(WD:Working Draft)을 작성하는 단계에 머무르고 있다. 반면에 우리나라에서 정보산업 분야의 국제표준 제정작업은 정보산업의 경쟁력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해 추진하는 국책과제로서, 통상산업부가 추진하는 산업기술 기반조성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적극적으로 용어표준화과정에 참여할 경우 우리나라 상황에 적합한 용어표준으로 국제표준화를 선도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현재 국제표준화기구에서 추진되고 있는 용어 표준화추세를 정확하게 파악한다면, 한국의 ISO/TC211ㆍ지리정보기술위원회의 용어 표준 작업반에서 국내의 업계 및 관련기관의 의견을 수렴한 GIS용KS(안)을 개발하는데 매우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