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잠재오차

Search Result 87,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Performance Comparison of Data Mining Approaches for Prediction Models of Near Infrared Spectroscopy Data (근적외선 분광 데이터 예측 모형을 위한 데이터 마이닝 기법의 성능비교)

  • Baek, Seung Hyun
    • Journal of the Korea Safety Management & Science
    • /
    • v.15 no.4
    • /
    • pp.311-315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주성분 회귀법과 부분최소자승 회귀법을 비교하여 보여준다. 이 비교의 목적은 선형형태를 보유한 근적외선 분광 데이터의 분석에 사용할 수 있는 적합한 예측 방법을 찾기 위해서이다. 두 가지 데이터 마이닝 방법론인 주성분 회귀법과 부분최소자승 회귀법이 비교되어 질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부분최소자승 회귀법은 주성분 회귀법과 비교했을 때 약간 나은 예측능력을 가진 결과를 보여준다. 주성분 회귀법에서 50개의 주성분이 모델을 생성하기 위해서 사용지만 부분최소자승 회귀법에서는 12개의 잠재요소가 사용되었다. 평균제곱오차가 예측능력을 측정하는 도구로 사용되었다. 본 논문의 근적외선 분광데이터 분석에 따르면 부분최소자승회귀법이 선형경향을 가진 데이터의 예측에 가장 적합한 모델로 판명되었다.

내재적 거품에 관한 연구 - 한국 주식시장에서의 실증분석 -

  • Kim, Gyu-Yeong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
    • /
    • v.12 no.1
    • /
    • pp.19-32
    • /
    • 1995
  • 본 연구에서는 한국 주식시장에서의 주가행태가 Froot-Obstfeld(1991)의 내재적 거품모형(intrinsic bubbles model)과 일관성을 갖는지의 여부를 규명하기 위하여, 실질주가와 실질배당의 연별 및 분기별 시계열자료를 이용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에 이용된 표본기간이 짧다는 점과 배당금 추정상의 잠재적인 오차가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의 적극적인 해석을 제약하고 있으나, 전통적인 주가결정모형으로서의 현재가치모형은 일관성 있게 기각되고 있으며, 내재적 거품모형도 한국 주식시장에서의 주가행태와 일관성을 갖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실증분석 결과는 우리나라 주식시장에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주는 것으로 생각된다. 기업의 배당정책이 액면 배당 일변도로 이루어지는 우리나라의 실정에 비추어 볼 때 기본적 가치 (fundamentals)로서 배당을 중시하는 주가결정모형은 애초부터 한계를 가질 수 밖에 없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의 실증분석 결과가 배당의 비정상성(nonstationarity)에 의거한 주가결정 모형들을 기각하는 것 이라면, 앞으로의 연구과제는 우리나라의 주가행태와 일관성을 갖는 주가결정 모형을 개발하는 일이 될 것이다.

  • PDF

Economic Assessment of Transmission Expansion in Uncertain Market (전력시장 및 계통 데이터의 불확실성을 반영한 송전망확장의 경제성 평가)

  • Lee, Jae-Hee;Kim, Jin-A;Joo, Sung-Kwan;Kim, Tae-Hoon;Ryu, Heon-Su;Cho, Kang-Wook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07a
    • /
    • pp.562-563
    • /
    • 2008
  • 경쟁적 전력시장에서는 이익주체의 다양화로 송전망확장은 개별 시장참여자의 경제적 편익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송전설비 투자계획은 미래 전력 시장 및 계통의 예측을 바탕으로 하기 때문에 예측의 불확실성에서 발생하는 설비투자의 과잉.과소투자의 최소화 방안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은 송전망확장사업의 경제적 가치를 평가하는 방법에 대해 연구였고 미래 시장 및 계통의 불확실성을 반영하기 위해 전력수요와 연료가격의 과거 예측오차의 표준편차를 이용한 예측값의 확률밀도함수의 모델링 방법을 이용한 송전망확장의 경제성 평가 방법을 제시한다. Monte Carlo Sampling을 이용, 송전망확장으로 인한 시장참여자의 경제적 편익 변화의 기대값과 편익 변화의 범위를 산출함으로써 설비투자의 리스크와 잠재효과에 대해 분석한다.

  • PDF

Modeling Leaching Concentrations of Gasoline Components from Residual Gasoline in Contaminated Soil (오염토양 중 잔류가솔린의 용출농도에 대한 모델링 연구)

  • 염익태;이상현;허상철;안규홍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1998.06a
    • /
    • pp.38-42
    • /
    • 1998
  • Soil venting이 오염토양중 가솔린의 용출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예측하기 위하여 가솔린의 휘발과 용해거동이 Raoult의 법칙에 의해 설명되어 질 수 있는지를 평가해보았다. 먼저 순수 가솔린의 용해거동과 휘발거동에 대해 검토해 보고 이후 토양중 가솔린의 거동에 적용하여 보았다. 가솔린성분들의 용해거동은 휘발에 의한 성분조성의 변화와 상관없이 Raoult의 법칙에 의해 비교적 정확하게 예측될 수 있었으며 오차범위는 naphthalene을 제외하고는 최고 $\pm$ 100% 이내였다. 오염토양의 형태로 가솔린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Raoult의 법칙에 의해 정확히 예측될수 있었으나 토양중 농도가 초기 20,000 mg/kg에서 1,360 mg/kg로 감소한 경우에는 용출농도가 예측치의 50-70% 수준으로 낮은 경향을 보였다. 한편 soil venting시 휘발에 따른 조성변화를 Raoult의 법칙을 이용하여 산정하고 각 성분조성에 대한 개별물질들의 용출잠재성을 결정하는 모델을 이용하여 실험결과와 비교하여 보았다.

  • PDF

Verification of the complementary relationship of areal evapotranspiration in Yongdam Dam basin using evapotranspiration flux data (증발산 플럭스관측을 이용한 용담댐 유역 보완관계 검증)

  • Kim, Eunji;Kang, Boo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474-474
    • /
    • 2021
  • 물순환 과정에서의 증발산량은 필수적으로 고려해야 하는 요소이며, 증발산은 기상학적 인자뿐만 아니라 증발 표면 특성 등 복합적인 요인에 의해서 발생한다. 이러한 이유로 실제증발산의 절대량을 추정하는 것은 쉽지 않으며, 특히 수문학적 관점에서 유역단위의 증발산량을 산정하는 데에는 기술적인 한계가 존재한다. 반면 잠재증발산량과 실제증발산량의 보완관계가설을 활용하면 복잡한 수문모델링을 거치지 않고 팬증발량으로부터 유역의 실제증발산을 산정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관측자료를 기반으로 하여 용담댐 유역의 증발산 보완관계를 검증하고자 한다. 실제증발산량(ETA)은 용담댐 내 덕유산 플럭스 타워의 관측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잠재증발산량(ETP)으로는 기상관측소에서 관측한 팬 증발량 자료를 활용하였고 습윤증발산량(ETW)은 Priestley-Taylor 공식을 통해 산정하였다. ETW는 수분이 무제한 공급되는 상황에서의 증발산량으로 정의되며, 동시에 ETA 및 ETP와의 상대적 비율로 스케일화하여 보완관계설정에 활용하였다. 대기의 습윤지수(Moisture Index, MI)는 ETA와 ETP간의 상대적 비율로 정의하였다. 이 때 팬 증발량은 기상 및 주변 환경 조건의 영향을 받아 증발량이 과대추정 되는 경향이 있으므로 보정계수를 적용하여 보정한 값을 활용하였다. 보정계수는 FAO Penman-Monteith 식을 활용한 기준증발산량과 팬 증발량의 기울기로 산정하며, 본 연구에서는 보정계수로 0.77을 사용하였다. 또한 ETW 산정 시 적용되는 Priestley-Talyor 계수(α)는 널리 알려진 값인 1.26 대신 유역의 기상조건을 고려하여 0.99를 적용하였다. α 값의 조정을 통해 증발산 보완관계에 대한 E+의 평균 제곱근 오차(RMSE)가 0.685에서 0.075, Ep+의 경우 0.437에서 0.315로 개선되어 용담댐 유역의 증발산 보완관계가 만족할 만한 수준으로 확인되었다.

  • PDF

Procedure for monitoring autocorrelated processes using LSTM Autoencoder (LSTM Autoencoder를 이용한 자기상관 공정의 모니터링 절차)

  • Pyoungjin Ji;Jaeheon Lee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37 no.2
    • /
    • pp.191-207
    • /
    • 2024
  •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quickly detect out-of-control situations in autocorrelated processes. The most traditionally used method is a residual control chart, which uses residuals calculated from a fitted time series model. However, many procedures for monitoring autocorrelated processes using statistical learning methods have recently been proposed. In this paper, we propose a monitoring procedure using the latent vector of LSTM Autoencoder, a deep learning-based unsupervised learning method. We compare the performance of this procedure with the LSTM Autoencoder procedure based on the reconstruction error, the RNN classification procedure, and the residual charting procedure through simulation studies.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procedure and the RNN classification procedure are similar, but the proposed procedure has the advantage of being useful in processes where sufficient out-of-control data cannot be obtained, because it does not require out-of-control data for training.

Considerations and Alternative Approaches to the Estimation of Local Abundance of Legally Protected Species, the Fiddler Crab, Austruca lactea (법정보호종, 흰발농게(Austruca lactea) 서식 개체수 추정에 대한 검토와 대안)

  • Yoo, Jae-Won;Kim, Chang-Soo;Park, Mi-Ra;Jeong, Su-Young;Lee, Chae-Lin;Kim, Sungtae;Ahn, Dong-Sik;Lee, Chang-Gun;Han, Donguk;Back, Yonghae;Park, Young Cheol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23 no.2
    • /
    • pp.122-132
    • /
    • 2021
  • We reviewed the methods employed in Korean tidal flat surveys to measure the local abundance of the endangered wildlife and marine protected species, the fiddler crab, Austruca lactea. A complete census for infinite population is impossible even in a limited habitat within a tidal flat, and density estimates from samples strongly vary due to diverse biological and ecological factors. The habitat boundaries and areas shift with periodicities or rhythmic activities of organisms as well as measurement errors. Hence the local abundance calculated from density and habitat areas should be regarded as transient. This conjecture was valid based on the spatio-temporal variations of the density averages, standard error ranges, and spatial distribution of the crab, A. lactea observed for 3 years (2015-2017) in Songdo tidal flat in Incheon. We proposed the potential habitat areas using the occurrence probability of 50% from logistic regression model, reflecting the importance of habitat conservation value as an alternative to local abundance. The spatial shape of potential habitat predicted from a generalized model would remain constant over time unless the species' critical environmental conditions change rapidly. The species-specific model is expected to be used for the introduction of desired species in future habitat restoration/creation projects.

A Research on the Daily Runoff Simulation for the Downstream Region of Multipurpose Dams in the Han River (漢江水系 다목적댐 下流 日 流出 模擬 硏究)

  • Lee, Sang-Ho;Kim, Yeong-Seong;Sin, Yong-No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0 no.6
    • /
    • pp.575-585
    • /
    • 1997
  • A daily runoff system was constructed to support decision making for water use in the downstream region of multipurpose dams in the Han River. The daily runoff system used the modified model from NWSRFS by Tabios III et al. (1986), and potential evapotranspiration was computed from Penman equation. DWOPER was used for channel routing. While the North Han River is the main river reach in the channel routing system, the South Han River and the Soyang River became tributaries. The rainfall-runoff model was calibrated and verified for five subbasins. Daily runoffs were simulated with the hydrometeorological data in 1986 and1990. The simulations were performed from April to November, and the sum of computed discharges for seven or thirty days were compared with actual releases of the downstream dams. It showed the average absolute errors of 8.7 ~31.6%. The sum of total discharges were 10% or less. While stage errors were produced by 0.5 m or less at Yoju station in the ease of simulation from April to August in 1986, the errors kept under 0.2 m since September. In the simulation for 1990, we compared two simulation results. One is produced from real internal and downstream boundary conditions and the other is one from internal and downstream boundary conditions fixed arbitrarily. The two cases showed similar results.

  • PDF

Short-term Traffic States Prediction Using k-Nearest Neighbor Algorithm: Focused on Urban Expressway in Seoul (k-NN 알고리즘을 활용한 단기 교통상황 예측: 서울시 도시고속도로 사례)

  • KIM, Hyungjoo;PARK, Shin Hyoung;JANG, Kitae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34 no.2
    • /
    • pp.158-167
    • /
    • 2016
  • This study evaluates potential sources of errors in k-NN(k-nearest neighbor) algorithm such as procedures, variables, and input data. Previous research has been thoroughly reviewed for understanding fundamentals of k-NN algorithm that has been widely used for short-term traffic states prediction. The framework of this algorithm commonly includes historical data smoothing, pattern database, similarity measure, k-value, and prediction horizon. The outcomes of this study suggests that: i) historical data smoothing is recommended to reduce random noise of measured traffic data; ii) the historical database should contain traffic state information on both normal and event conditions; and iii) trial and error method can improve the prediction accuracy by better searching for the optimum input time series and k-value. The study results also demonstrates that predicted error increases with the duration of prediction horizon and rapidly changing traffic states.

Dam Basin-scale Regionalization of Large-scale Model Output using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인공신경망모형을 이용한 대규모 대기모형모의결과의 댐유역스케일에서의 지역화기법)

  • Kang, Boo-Sik;Lee, Bong-K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79-183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GCM 기후변화 전망 시나리오를 이용하여 유역단위의 기후변화를 추정하였다. 원시 GCM 시나리오를 지역화 시키기 위해서 인공신경망 모형을 사용하였다. GCM에서 모의되는 강수플럭스, 해면기압, 지표면 근처에서의 일 평균온도, 지표면으로부터 발생하는 잠열플럭스 등과 같은 22개의 변수는 인공신경망의 잠재적 예측인자로 사용되었으며, AWS에서 관측된 강수량과 온도는 예측변수로 사용되었다. 원시 GCM 데이터는 CCCma(Canadian Centre for Climate Modeling and Analysis)에서 제공되는 CGCM3.1/T63 20C3M 시나리오를 사용하였으며, 인공신경망 학습과정에서 사용된 기준시나리오(reference scenario)자료의 기간은 1997년부터 2000년까지의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인공신경망을 학습을 통하여 결정된 각 층사이의 가중치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 배출농도를 가정하여 생성된 CGCM3.1/T63 SRES B1 기후변화시나리오(project scenario)를 인공신경망의 입력값으로 하여 미래의 기온과 강수변화를 전망하였다. 신경망의 학습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기온과 강수에 대한 평균 및 누적기간을 각각 일단위와 월단위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인공신경망은 3층 퍼셉트론(다층 퍼셉트론)을 사용하였으며, 학습방법으로는 역전파알고리즘(back-propagation algorithm)을 이용하였다. 민감도분석을 통하여 선택된 예측인자는 소양강댐유역(1011, 1012소유역)에서의 인공신경망 예측인자로 활용되었으며, 2001년부터 2100년까지의 일 평균온도와 일 강수량의 변화경향을 추정하였다. 1011유역, 1012유역에서는 여름철의 온도변화경향이 겨울철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일 평균온도의 통계분석 결과 평균예측오차가 가장 적게 나타나는 지역은 1001유역으로 -0.08로 평균예측오차가 가장 적게 나타났으며, 인공신경망기법을 이용하여 스케일 상세화된 일 평균온도와 관측된 일 평균온도가 얼마나 잘 일치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1012유역에서 CORR이 0.7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