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잠재오차

Search Result 87,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Improvement of Agricultural Water Demand Estimation Method: Focusing on Paddy water demand estimation (농업용수 수요량 산정방법의 개선 : 논용수 수요량 산정을 중심으로)

  • Hwang, Junshik;Kwon, Youjeong;Seo, Yo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64-64
    • /
    • 2020
  • 현재 농업환경 및 식생활 변화 등으로 인하여 농지 수요는 꾸준히 감소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과 맞물려 정부에서는 2019년 6월에 물관리기본법을 제정함으로서 지속가능한 통합 물 관리를 실현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효율적인 통합 물 관리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61%라는 가장 많은 용수를 사용하고 있는 농업용수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이루어져야 할 시점이다. 금회 연구에서는 현재 농업용수 사용량 현황을 분석함과 동시에 농업용수 중 67% ~ 87%의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논 용수 산정법을 검토한 후 문제점을 분석하고 문제점 개선을 통한 용수수요 확보를 분석하였다. 논 용수 산정방법의 가장 큰 문제점은 잠재증발산량 산정식에 있다. 현재 사용하고 있는 잠재증발산량 방법은 국제식량기구(FAO)에서 권장하고 있는 Penman-Monteith 식이 아닌 과거부터 사용하고 있으며, 오차율이 높은 수정 Penman 식을 사용하고 있다. 또한 잠재증발산량 산정이 주요 인자인 작물계수의 경우도 23년전의 작물계수를 이용함으로서 현재 기후 및 작물품종 변화를 전혀 반영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전주기상청의 자료를 이용하여 Penman 및 Penman-Monteith 식을 비교한 결과 수정 Penman 식이 Penma-Monteith 식에 비하여 2배 이상의 큰 값을 보였다. 작물계수를 적용할 경우 증발산량이 많이 일어나는 5월 하순에서 8월 하순까지의 차이가 크게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는 논용수 수요량의 과대하게 산정되는 결과를 초래하며, 수자원장기종합계획 및 장기 물관리 계획시 효율적이고 합리적인 계획수립이 어려울 것으로 판단되며, 논 용수 수요량 산정방법에 대한 개선안이 시급히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 PDF

Location Benefit Analysis According to Flood Safety Increase (치수안전도 향상에 따른 자산이용고도화 효과 분석)

  • Lee, Jin Ouk;Choi, Seung An;Kim, Hung Soo;Shim, Myung Ph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5b
    • /
    • pp.777-783
    • /
    • 2004
  • 하천 세내지 주변은 급속한 시가지 조성과 인구밀집으로 유역의 불투수층이 증가하여 홍수도달시간이 짧아지고 홍수유출량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엘리뇨${\cdot}$라니냐 등의 이상기후로 홍수사상의 발생 빈도와 규모가 증가하면서 홍수피해도 대형화되어 가고 있다. 그러나 치수사업은 다른 공공사업에 비해 경제성이 저평가 되어 투자우선순위가 밀려 사업시행이 지연되고 예방적 차원의 대책도 미흡하여 피해가 증가하는 악순환이 계속되고 있다. 따라서 본 인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치수경제성 분석에 있어 계량화하지 못하고 있는 자산이용고도화 효과를 치수안전도와 더불어 분석하고자 한다. 자산이용고도화는 치수사업 시행으로 해당지역의 치수안전도 향상에 따른 자산가치의 상승을 말하는데, 특정지역의 자산가치를 가장 객관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공시지가를 근거로 분석을 수행하였다. 치수사업 시행으로 인한 편익과 하천 특성에 따른 지가변동률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있는지를 분산분석을 통해 검증하였으면, 자산가치의 상승을 순수 연평균지가변동률로 나타내었다. 치수안전도는 홍수피해 잠재성과 홍수방어능력으로 구분하였는데 홍수피해 잠재성은 도시화율에 따라 구분하였고, 홍수방어능력은 홍수량의 빈도해석과 불확실성을 고려하여 조건부 비초과확률로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는 소도시 지역(경안천, 복하천, 청미천)을 대상으로 200년 빈도의 홍수사상에 내해 10년, 50년 설계빈도로 건설된 제방의 조건부 비초과확률을 산정하여 지가변동률의 추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소도시 지역에서는 조건부 비초과확률이 $10\%$ 상승했을 때 순수 연평균지가변동률이 5배정도 상승함을 알 수 있었다.다시 입력자료로 사용하는 업데이트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예측결과의 오차가 완전하게 보정되지 않으면 다음 결과에 역시 오차를 주게 되어 오차보정이 상당히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오차를 보다 효과적으로 보정하기 위해서는 퍼지제어에 사용되는 퍼지규칙의 수를 늘리고, 유입량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강우량과 연계한 2변수의 Fuzzy-Grey 모형을 이용한다면 보다 정확한 유입량 예측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이 작은 오차를 발생하였으며, 전체적으로 퍼프 모형이 입자모형보다는 훨씬 적은 수의 계산을 통해서도 작은 오차를 나타낼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Gaussian 분포를 갖는 퍼프모형은 전단흐름에서의 긴 유선형 농도분포를 모의할 수 없었고, 이에 관한 오차는 전단계수가 증가함에 따라 비선형적으로 증가하였다. 향후, 보다 다양한 흐름영역에서 장${\cdot}$단점 분석 및 오차해석을 수행한 후에 각각의 Lagrangian 모형의 장점만을 갖는 모형결합 방법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mm/$m^{2}$로 감소한 소견을 보였다. 승모판 성형술은 전 승모판엽 탈출증이 있는 두 환아에서 동시에 시행하였다. 수술 후 1년 내 시행한 심초음파에서 모든 환아에서 단지 경등도 이하의 승모판 폐쇄 부전 소견을 보였다. 수술 후 조기 사망은 없었으며, 합병증으로는 유미흉이 한 명에서 있었다. 술 후 10개월째 허혈성 확장성 심근증이 호전되지 않아 Dor 술식을 시행한 후 사망한 예를 제외한 나머지 6명은 특이 증상 없이 정상 생활 중이다 결론: 좌관상동맥 페동맥이상 기시증은 드물기는 하나, 영유아기에 심근경색 및 허혈성 심근증 또는 선천성 승모

  • PDF

A Study on the Position Error of the Aids to Navigation as a Safety Factor at Sea (선박 안전항행을 위한 항로표지의 위치오차 분석)

  • Kwon, Hyuk-Dong;Kim, Woong-Gyu;Lee, Joo-Hyung;Park, Gyei-Kark
    • Journal of Advanced Navigation Technology
    • /
    • v.10 no.3
    • /
    • pp.226-234
    • /
    • 2006
  • Aids to Navigati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ility for safety at sea. However, in terms of position there always exists discrepancy in inventory by media and/or organizational body who maintains the facility which may result in incredibility for navigator's position fixing or hazard avoidance. This paper suggests two major factors as the causes of the position error when they design, install and survey the aids to navigation. One is the function of direction of tide and water depth which makes swinging circle. The other is a variable value by time resulting from multiple coordination of satellites in contact. This paper aims to minimize inaccuracy by verifying its reason through numerical analysis over inherent position error.

  • PDF

Estimating Average Causal Effect in Latent Class Analysis (잠재범주분석을 이용한 원인적 영향력 추론에 관한 연구)

  • Park, Gayoung;Chung, Hwan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27 no.7
    • /
    • pp.1077-1095
    • /
    • 2014
  • Unlike randomized trial, statistical strategies for inferring the unbiased causal relationship are required in the observational studies. Recently, new methods for the causal inference in the observational studies have been proposed such as the matching with the propensity score or the inverse probability treatment weighting. They have focused on how to control the confounders and how to evaluate the effect of the treatment on the result variable. However, these conventional methods are valid only when the treatment variable is categorical and both of the treatment and the result variables are directly observable. Research on the causal inference can be challenging in part because it may not be possible to directly observe the treatment and/or the result variable. To address this difficulty, we propose a method for estimating the average causal effect when both of the treatment and the result variables are latent. The latent class analysis has been applied to calculate the propensity score for the latent treatment variable in order to estimate the causal effect on the latent result variable. In this work, we investigate the causal effect of adolescents delinquency on their substance use using data from the 'National Longitudinal Study of Adolescent Health'.

Parameter estimation of Hargreaves equation through a comparison of complementary relationship with PET from the Penman-Monteith equation (Penman-Monteith 잠재증발산과의 보완관계 비교검증을 통한 Hargreaves식의 매개변수 추정)

  • Kim, Jihoon;Kang, Boo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225-225
    • /
    • 2016
  • 잠재증발량에 대한 많은 경험식들이 제시되어 있지만 각각의 방식에 대한 국내의 적용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비교검토된 사례는 매우 제한적이다. 널리사용되고 있는 Hargreaves식은 비교적 단순한 형태를 지니고 있으나 대기수분량을 계산에 반영치 못하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남한 내 다목적 댐 유역의 1973-2014년 기상자료를 바탕으로 Penman-Monteith (P-M) 식과 Hargreaves식을 통해 계산한 잠재증발산량($ET_{PM}$, $ET_{Harg}$)의 비교를 통해, Bouchet (1963)의 보완 관계 관점에서 $ET_{Harg}$$ET_{PM}$에 비해 과다 산정되는 경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1973-2004년에 대한 각 댐 유역의 기상관측소 단위별로 산정된 $ET_{PM}$을 상대적인 정해로 간주하여 Hargreaves식의 매개변수를 추정하였다. 추정된 매개변수는 동일 관측소의 2005-2014년 기상자료와 함께 Hargreaves식에 적용 후, 다목적 댐 유역별 $ET_{PM}$$ET_{Harg}$을 산정하여 검정을 수행하였다. 수행 결과, Hargreaves 식의 매개변수 조정 전 $ET_{PM}$과의 Nash-Sutcliffe 일치계수는 0.47-0.79 (1973-2004), 0.28-0.76 (2005-2014)이었고, RMS 오차는 17.79-25.85 (1973-2004), 18.24-27.40 (2005년-2014년)이었으나, 매개변수 조정 후 Nash-Sutcliffe 일치계수는 0.96-0.98 (1973-2004), 0.95-0.98 (2005-2014)로, RMS 오차는 5.78-7.11 (1973-2004), 4.97-6.95 (2005-2014)로 조정 전 보다 향상된 결과를 보였다.

  • PDF

Movie Recommendation System based on Latent Factor Model (잠재요인 모델 기반 영화 추천 시스템)

  • Ma, Chen;Kim, Kang-Chul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16 no.1
    • /
    • pp.125-134
    • /
    • 2021
  •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film industry, the number of films is significantly increasing and movie recommendation system can help user to predict the preferences of users based on their past behavior or feedback. This paper proposes a movie recommendation system based on the latent factor model with the adjustment of mean and bias in rating. Singular value decomposition is used to decompose the rating matrix and stochastic gradient descent is used to optimize the parameters for least-square loss function. And root mean square error is used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system. We implement the proposed system with Surprise package. The simulation results shows that root mean square error is 0.671 and the proposed system has good performance compared to other papers.

Dynamic analysis of financial market contagion (금융시장 전염 동적 검정)

  • Lee, Hee Soo;Kim, Tae Yoon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29 no.1
    • /
    • pp.75-83
    • /
    • 2016
  • We propose methodology to analyze the dynamic mechanisms of financial market contagion under market integration using a biological contagion analytical approach. We employ U-statistic to measure market integration, and a dynamic model based on an error correction mechanism (single equation error correction model) and latent factor model to examine market contagion. We also use quantile regression and Wald-Wolfowitz runs test to test market contagion. This methodology is designed to effectively handle heteroscedasticity and correlated errors. Our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single equation error correction model fits well with the linear regression model with a stationary predictor and correlated errors.

유역일증발산 추정모형 개발

  • Kim, Nam-Won;Kim, S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1991.07a
    • /
    • pp.102-113
    • /
    • 1991
  • 한정된 수자원을 관리하기 위한 물관리시스템을 구축운영하는데 수문학적 물손실의 관점에서 증발산은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증발산이 실제 유역에서 변화하는 것을 일별로 추정하기 위해서 유역일증발산 모형을 개발하여 실제증발산을 추정하였다. 실제증발산은 잠재증발산을 먼저 산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강우차단에 의한 증발, 토양증발, 지표하 증산으로 나누어 추정하였다. 잠재증발산 추정방법은 토양-식생-대기의 관계를 정교히 모식할 수 있는 Penman-Monteith 방법을 채택하였고, 강우차단에 의한 증발은 Bultot와 Dupriez가 제안한 모형을, 토양증발은 Ritchie가 제시한 모형을 채택하였다. 증산은 토양층을 상부·하부층으로 나누어 상부층증산과 하부층 증산으로 분리 추정하였으며, 증발산과 토양수분의 관계는 Thornthwait-Mather의 관계를 이용하여 추정하였다. 이 모형의 타당성을 임업연구원에서 운영하고 있는 2개의 시험유역을 대상으로 검토하였다. 그결과 실제일증발산을 년단위로 계산한 실제증발산값은 물수지 개념에 의한 실제증발산결과와 비교할 때 약 8~30% 오차를 수반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모형의 실제유역의 적용에 있어서 입력되는 여러 매개변수가 가정에 의해 결정된 것이기 때문일 것이라고 판단된다.

  • PDF

A Balancing Method to improve efficiency of Stereo Coding (스테레오 코딩의 효율화를 위한 밸런싱 방법)

  • Kim, Jong-Su;Choi, Jong-Ho;Lee, Kang-Ho;Kim, Tae-Yong;Choi, Jong-Soo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2 no.4
    • /
    • pp.87-94
    • /
    • 2007
  • Imbalances in focus, luminance and color between stereo Pairs could cause disparity vector estimation error and increment of transmission data. If the distribution of errors in residual image is large, it may influence to lowering of compression performance. Therefore,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fficient balancing method between stereo pairs to reduce the effect. For this, we registrated stereo images using a FFT based method to consider the pixels in the occluded region, we eliminated the pixels of blocks which has large error of disparity vector estimation in balancing function estimation. The balancing function has estimated using histogram specification, local information of target image and residual image between stereo images. Experimen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is effective in error distribution, PSNR and disparity vector estimation. We expect that our method can be improving compression efficiency in stereo coding system.

  • PDF

Detecting Cadastral Discrepancy Method based on MMAS (MMAS 기법에 의한 지적불부합지 탐색기법)

  • Cho, Sung-Hwan;Huh, Yong
    • Journal of Cadastre & Land InformatiX
    • /
    • v.45 no.2
    • /
    • pp.149-160
    • /
    • 2015
  • This paper suggests the MMAS(Map Matching using Additional Surveying) method to improve the cadastral discrepancy search algorithm that currently does not include corrections of mis-represented parcel data. The MMAS is a method to search for cadastral discrepancy after correcting mis-represented parcel data using nearby anchor points confirmed by surveys. The MMAS first transforms the coordinate system of the digital cadastral map by overlaying anchor points obtained in the field surveying process over the corresponding edges of buildings and facility points on the digital topographic map. Then, it searches for cadastral discrepancy by checking if the area differences exceed the tolerance limit. This method improves the current method for searching for cadastral discrepancy by performing the process after correcting extortion of the digital cadastral map. This helps to identify cadastral discrepancies that are not detectable within the distorted digital cadastral map. With our experiment, this method identified more discrepancies compared to the method without the correcting the distortion of the digital cadastral map. We believe this method will be able to help the national cadastral re-survey by identifying potential cadastral discrepancy more accurat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