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잠수도

검색결과 628건 처리시간 0.035초

수중 작업에 있어서 극한 환경의 잠수 활동 기준 검토 (A Study on the Diving Standards for Underwater Work in Hostile Environment)

  • 강신영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4권5호
    • /
    • pp.735-742
    • /
    • 2010
  • 본 연구는 극한 환경에서의 잠수 기준에 대해 살펴보고, 2010년 3월 백령도 근해에서 발생한 천안함 침몰사고의 실종자 수색 작업에 적용된 우리 해군의 잠수 방식과 사용 장비, 절차 등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이번 잠수작업은 국제 기준이나 안전을 고려하면 작업을 해서는 안 되는 조건인데도 불구하고 작업이 시행되었으며, 초기 수색 작업에 있어서 임무의 성격, 신속성, 효율성을 고려하고 세부적으로 수심과 잠수 가능시간, 작업의 종류, 환경 조건, 작업 기간을 검토한 결과, 공기를 사용하는 스쿠버 방식이 적절하였다고 분석되었다.

Ship-Wake 이론을 이용한 잠수함 항적탐색 가능성 (The Detectability of Submarine's Turbulent Wake on the sea surface using Ship-Wake Theory)

  • 이용철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773-779
    • /
    • 2011
  • 자유전단류(Shear free flow) 가정을 이용한 수상함 항적모델을 잠수함에 적용 결과 잠수함 난류항적 지름은 $x^n,\;({\frac{1}{5}}{\leq}n\;<{\frac{1}{2}})$ 에 비례하였으며, 난류항적의 최소 확산을 가정할 때(${\sigma}=50.25$, 즉 ${\infty}\;x^{1/5}$인 경우), 길이65m, 폭 6.5m 속력 6kts 인 잠수함의 난류항적 반지름은 잠수함 함미로부터 1.2Km 후방에서 약 20m, 10Km 후방에서는 약 30m에 달하였고, 해수면에서 관측 가능한 잠수함 난류항적은 잔잔한 해상상태에서 잠수함 후방 약 15Km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쇄파가 발생하는 악천후에서는 해수면에서 난류항적을 관측하기는 매우 제한되었다. 이는 적어도 서해와 같이 얕은 잠수함 작전환경에서는 잠수함 난류항적이 해수면에서 나타나는 것을 의미하며 SAR와 같은 탐지체계를 이용 시 탐색 가능함을 의미한다.

스쿠버 인증과 동남아의 레저 잠수 현황 연구 (A study on the scuba certification and status of leisure diving in Southeast Asia countries.)

  • 강신영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09-114
    • /
    • 2008
  • 본 연구는 동남아 각국에서 시행되고 있는 레저 스쿠버 잠수 인증 제도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고, 잠수 현황 및 인증 현황을 비교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해 인터넷에 게시된 내용을 많이 활용하였고, 관련 문헌을 조사하였으며, 자료 보완을 위해 잠수 협회 관계자, 2007년 동남아 각국의 DIVE EXPO에 참가한 동남아 각국의 관공홍보 정부 관계자, 잠수 리조트 운영자 및 강사들과 폭 넓은 인터뷰를 하였다. 논문에는 인증 제도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스쿠버 인증과 국제 표준의 관계에 대해서도 언급하였다. 조사 결과, 동남아 지역은 레저 스쿠버 잠수 활동이 매우 활발한 지역으로 관광 산업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전 세계 레저 다이버 인증 숫자의 3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큰 시장으로 발전되어 있었다. 그러나 스쿠버 잠수 활동이 구미 지역에서 도입되었고 잠수 단체의 총 본부가 구미 지역에 있는 만큼 잠수 제도나 정책 문제에 있어서 조직 체계상 아시아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기 어려운 구조이며, 현재 상태로는 개선책을 찾기가 매우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동남아시아에서는 유럽이나 미국과 같이 국제 표준 제도와 협력하여 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한 프로그램 도입 및 단체 결성에는 아직 무관심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이에 대한 필요성이 곧 대두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거가대교 침매터널 잠수작업에서의 나이트록스 사용 사례 분석 (A Case Study of Nitrox Usage in Diving Operation of the Busan-Geoje Fixed Link Immersed Tunnel)

  • 우대희;강신영;이민구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790-797
    • /
    • 2015
  • 본 연구는 나이트록스 잠수와 공기 잠수를 비교하여 잠수작업에서의 안전성 및 경제성 평가를 시도하였다. 연구를 위해서 2010년 거가대교 침매터널 건설시 사용되었던 실제 잠수자료를 사용하였으며, 감압병 발생율, 작업시간, 감압시간 등 두 기체 다이빙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잠수사가 호흡기체로 나이트록스를 사용하고 감압기체로 100% 산소를 사용한다면 감압병 발생확률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감압기간 또한 크게 단축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실제 나이트록스를 사용한 공사기간과 공기 잠수를 하였을 경우의 가상의 공사기간을 비교해 본 결과 최대 3배의 공사기간 단축 효과를 가져왔음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시간적, 육체적으로 제한되어있는 환경에서 잠수 시 나이트록스 잠수가 공기 잠수보다 능률적이고 경제적임을 확인하였다.

19 ATA와 24 ATA에서의 Heliox포화잠수시 수면 변화 (Changes of sleep during simulated heliox saturation diving at 19 ATA and 24 ATA)

  • 서유진;박영만
    • 대한인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인간공학회 1998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131-136
    • /
    • 1998
  • 2개의 simulated된 잠수 실험 즉, 심도 19 ATA와 24 ATA의 고압 Heliox 환경하에서, 4명의 다이 버를 대상으로 하여연 188일간 매일 23:00부터 익일7:00시 사이에 각 다이버에대해서 표준적인 polysomnography를 기록했다. 2개의 잠수조건 하에서 양 실험 모두 해저에서 체재하는 동안 의 밤과 감압하는 동안의 밤 동안에는 총수면시간 (Total Sleep Time)의 단축, 수면효율(Sleep Efficiency)의 감소, 입면잠시(Sleep Latency)의 연장, 중도각성회수 (Number of Awakeningss) 와 감소를 보였지만, 어느쪽도 뚜려한 변화가 있었다라고는 할 수 없었다. 24 ATA 잠수조건에서 의 해저에서 체재하는 동안의 밤과 감압하는 동안의 밤 동안에서는 19 ATA 잠수조건에 비해서 4 단계수면(stage 4 sleep )만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2개의잠수조건 모두 잠수기간 중에 있어서 는 각성하기 쉬운 상황이었으며, 기본적인 수면패턴에 있어서는 큰 변화는 보이지 않았다.

  • PDF

독일 해군의 차세대 212급 잠수함(2)

  • 이기선
    • 국방과기술
    • /
    • 8호통권234호
    • /
    • pp.76-85
    • /
    • 1998
  • 잠수함은 언제, 어디에서, 어떻게 나타날지 모르는 바다의 게릴라이기 때문에 상대국가에게 해상전력의 상당부분뿐만 아니라 지상전력의 일부까지도 대 잠수함 정찰/감시 임무에 투입하도록 하는 매우 중요한 전략적 가치를 갖는다.

  • PDF

구조함정 Wet Bell Diving System 운용성능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Operation Performance of Wet Bell Diving System in the Salvage Ship)

  • 최우석;장호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7호
    • /
    • pp.176-183
    • /
    • 2020
  • 구조함은 수색 및 구조작업을 위하여 크게 세 가지 형태의 잠수체계(Diver Stage Diving, Wet Bell Diving 및 Scuba Diving)를 보유하고 있다. 어떠한 잠수체계를 활용하더라도 잠수요원이 잠수작업 완료 후 상승 시에는 잠수병 예방을 위하여 잠수작업수심 및 잠수 총 시간에 해당하는 감압표에 따라 감압절차를 준수하여야 한다. 감압절차는 크게 수중감압방법과 수중 및 함상감압을 병행하여 수행하는 방법으로 나뉘게 된다. 특히 수중 및 함상감압을 함께 수행하는 방법의 경우 U.S Navy Diving Manual에 따라 수중감압에서 함상감압으로 넘어가는 단계인 Surface Interval이 5분을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하지만 실선 테스트결과 Wet Bell Diving에서 Surface Interval이 5분을 초과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모든 가능한 원인을 식별하여 원인분석을 실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개선된 Wet Bell Diving의 측정결과를 나타내었다. 그 결과 개선된 잠수체계의 실선 테스트에서 Surface Interval이 5분 이내 만족함을 확인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결과는 향후 잠수체계의 운용 및 개선에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북한 SLBM의 비행특성 해석 (Analysis of the Flight Trajectory Characteristics of North Korea SLBM)

  • 이경행;서형필;권용수;김지원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24권3호
    • /
    • pp.9-16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북한의 잠수함 발사 탄도미사일의 비행궤적을 시뮬레이션하고 발사방법에 따른 특성을 분석하였다. 최근 북한은 잠수함 발사 탄도미사일의 비행시험을 실시하였으며, 이는 국제적인 안보에 상당한 위협이 되고 있다. 북한은 러시아의 퇴역 잠수함을 해체하는 과정에서 잠수함 발사 탄도미사일 관련 기술을 확보하였고, 이와 관련된 실험을 지속적으로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의 잠수함 발사 탄도미사일 개발이 완료되고 실전 배치된다면, 이는 우리나라에 비대칭적인 위협 요소로 작용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위협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잠수함 발사 탄도미사일의 위협에 대한 과학적이고 논리적인 분석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북한의 잠수함 발사 탄도미사일의 운동 모델을 작성하고 이를 시뮬레이션 하였다. 또한 잠수함 발사 탄도미사일의 자세각을 조절하여 사거리를 조정하였으며 이에 대한 특성변화에 대해 기술하였다. 도출된 SLBM 비행궤적을 고려할 때 중간 단계부터 종말 단계까지의 효과적인 대응을 위해서는 해상기반 탄도미사일 방어체계가 필수적으로 요구되어 진다.

잠수함의 침수시 대응을 위한 지식기반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Knowledge Based System for Submarines Leakages)

  • 이동곤;이재용;이재환;이경호
    • 대한조선학회논문집
    • /
    • 제38권3호
    • /
    • pp.107-116
    • /
    • 2001
  • 잠수함은 수중 활동으로 인하여 압력선체에 항상 수압을 받고 있기 때문에, 손상시에는 수상함에 비하여 그 영향이 상대적으로 크며 대처 가능한 수단과 시간은 제한되어 있다. 수압으로 인하여 작은 파손에도 잠수함이 치명적인 손상을 받을 수 있으며, 이는 곧 함의 임무 수행능력의 손실뿐만 아니라 승조원의 안전에도 직결되는 상황을 초래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잠수함의 손상시, 크게 압력선체 손상과 배관 계통이 손상된 경우만을 고려하여 두 경우 누수가 발생하였을 경우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지식기반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잠수함의 설계 지침서와 설계 경험을 바탕으로 잠수함의 운용자로부터 위기 대응과 관련된 지식을 추출하여 분석, 정리하였고 도출된 지식들은 지식기반시스템 개발도구를 사용하여 규칙의 형태로 지식베이스에 저장하였으며, 후향 추론기법을 사용하여 상황대처에 대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 PDF

수산물채취 잠수부의 작업특성과 잠수관련질환의 양상 (Diving patterns and diving related disease of diving fishermen in Korea)

  • 사공준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1권1호
    • /
    • pp.139-156
    • /
    • 1998
  • 수산물채취 잠수부에서 발생하는 잠수관련질환을 예방하고, 조기치료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잠수부들의 작업환경과 잠수관련질환의 발생양상을 파악하는 단면조사연구를 시행하였다. 수산물채취 어업잠수부 433(서해안 130명, 남해안 220명, 동해안 29명, 기타 54명)을 대상으로 면접과 우편설문을 통하여 인구학적 특성, 취업상태, 잠수기술의 습득경로, 잠수부경력 등의 직업력, 성수기와 비수기의 작업일수, 작업수심, 작업 시기, 잠수방식, 작업횟수, 작업시간, 작업간 휴식시간, 상승시 수중체류 및 급상승의 경험 등 작업특성을 조사하고, 한해 동안 감압병에 이환된 경험과 재압치료 및 잠수관련질환 증상의 경험을 1996년 1월과 2월에 조사하였다. 잠수부들의 평균연령은 39.7세(24-58세), 남자가 92.8%, 고등학교졸업의 학력이 58.4%였다. 평균 잠수부 경력은 12.9년(2-40년), 잠수방식은 후카 70.4%, 헬멧 22.2%, 스쿠버 2.5%였다. 잠수부의 고용상태는 정규 고용 34.7%, 임시고용 54.0%였다. 잠수기술의 습득경로는 선배잠수부 48.5%, 군대 37.6%, 잠수교육기관 12.3%였다. 주된 작업시기는 4-6월이 56%로 가장 많고, 7-9월이 6.4%로 가장 적었다. 성수기의 한달 평균 작업일수는 20.3일, 비수기는 12.5일 이였다. 잠수작업횟수는 하루 5-6회 45.0%, 일회 평균작업 시간은 51.1분, 잠수간 평균휴식시간은 35.5분이었고, 잠수부의 83.6%가 상승시 수중체류를 하고 있으며 80.4%가 급상승을 경험하였다. 후카잠수부의 작업수심은 30m(43%)와 40m(40.4%), 헬멧잠수부는 30m 이하(75.0%), 스쿠버잠수부는 20m 이하(90.9%)에서 주로 작업하였다. 잠수횟수는 주로 후카잠수부가 3-6회(86.5%), 헬멧잠수부가 5-8회(79.9%), 스쿠버잠수부가 4회 이하(81.8%)였다. 잠수부의 65.0%가 지난 일년 동안에 감압병을 경험하였다고 응답하였으며, 잠수작업에 종사한 이후 조사시점까지 전체 잠수부의 31.2%가 재압치료를 받은 경험이 있었다. 감압병의 증상으로는 근골격계 증상과 피부증상이 많았고, 배뇨장애는 39%가 경험하였다고 응답하였다. 혼란효과를 고려하지 않은 단변량분석에서 남자보다 여자에서 감압병의 발생률이 높고, 연령이 증가할수록 감압병의 발생률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잠수부경력이 길수록 감압병의 발생률이 높았으며, 임시 고용에 비해 정규고용의 감압병 발생률이 높았다. 잠수기술은 선배잠수부로부터 습득한 경우가 군대와 교육기관에서 습득한 경우 보다 감압병 발생률이 높았다. 후카잠수부에서 비해 헬멧잠수부의 감압병 발생률이 높았고, 스쿠버잠수부는 감압병을 경험하지 않았다. 작업수심이 깊을수록, 작업횟수가 많을수록 감압병의 발생률이 증가하였다. 급상승의 경험이 있는 군이 없는 군에 비하여 감압병 발생률이 높았다. 일일 평균 40m이상 수심에서 5회 이상 반복잠수를 하는 잠수부가 22.7%, 40m이상의 수심에서 60분 이상 작업하는 잠수부가 6.1%, 5회 이상 반복잠수를 하면서 60분 이상 작업하는 잠수부가 29.1%였다. 작업 횟수가 5회 이상인 군의 감압병 발생률이 4회 이하인 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많은 수의 잠수부가 잠수관련질환에 이환되고 있으며, 감압규정이 무시되고 있는 잠수부의 근무여건을 고려하면 잠수관련질환은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2차예방에 보다 많은 관심이 필요하며 잠수관련질환의 발생과 유병에 관한 지속적인 연구, 정기적인 건강진단제도, 잠수장비에 관한 규정 및 안전과 보건에 관한 교육과 훈련이 필요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