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잔존치아

검색결과 170건 처리시간 0.024초

역행성 임플란트 근단병소 주위염(Retrograde Peri-implantitis) 치료의 7년 관찰 (Treatment of retrograde peri-implantitis: seven-year follow-up study)

  • 이주연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0권3호
    • /
    • pp.259-264
    • /
    • 2014
  • 역행성 임플란트 근단병소 주위염은 임상증상을 동반한 근단부의 방사선 투과성 병소로 정의되며 임플란트 식립부위 또는 인접한 치아의 잔존하고 있는 감염에서 유래한 세균감염, 골 삭제시의 열 발생 등의 다양한 원인에 의해 야기될 수 있고, 다양한 치료방법으로 임플란트를 제거하지 않고 유지할 수 있는 증례들이 보고되고 있다. 본 증례에서는 근관 치료 실패로 발치한 상악 우측 제2소구치 부위에 식립한 임플란트에서 발생한 역행성 임플란트 근단병소 주위염을 표면의 detoxification과 차폐막과 골이식재를 동반한 골유도재생술로 해결하여 기능을 회복하였으며, 7년간 장기적으로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는 증례에 대해 보고하고자 한다.

클로르헥시딘이 접착성 수복재의 결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THE EFFECT OF CHLORHEXIDINE ON THE BOND STRENGTH OF ADHESIVE RESTORATION)

  • 염혜웅;김종수;권순원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30-37
    • /
    • 2002
  • 치아 수복 후 나타날 수 있는 술 후 동통과 치수 병변의 주원인은 수복재 자체의 독성보다는 박테리아의 침투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와동내 항균제 처리는 잔존 박테리아를 제거하여 제 증상을 완화하는데 효과적이지만, 상아질면이나 상아 세관에 잔유물을 남겨 상아질 결합제와 치질간의 긴밀한 결합을 방해하여, 미세누출을 증가시키고, 결합강도를 약화시킬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2% 클로르헥시던 도포가 접착성 수복물과 치질과의 결합강도 및 미세누출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건전한 소의 전치 상아질을 노출시키고 와동을 형성한 후, 클로르헥시딘을 도포하고 복합레진, 컴포머 그리고 글라스아이오노머를 각 제조사의 지시에 따라 각각 충전하고, 1000회 열순환 처리 후 전단 결합 강도와 미세누출 양상을 비교 평가하였다. 상아질 전단 결합 강도와 수복재 변연 미세누출 양상에서 실험군과 대조군간에 통계학적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 PDF

하악 4전치 상실시 치료 계획 (Treatment plan for missing mandibular 4 incisors)

  • 한광진
    • 대한심미치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25-34
    • /
    • 2016
  • 상실한 하악 4전치에서의 치료 계획은 어느 다른 부위보다 수술의 성공률이나 보철치료시 유리한 환경을 지니고 있다고 흔히 생각되는 부위이다. 하지만 하악 전치들의 M-D 사이즈나 crowding으로 인한 공간적 제한, 임시치아 문제, 치조골 흡수로 인해 생기는 심미적인 문제 등 의외로 까다로운 경우가 종종 발생하는 부위기도 한다. 본문에서는 하악 4전치 상실 시의 치료 계확에 대해서 케이스를 통해 알아 보겠다. 하악 4전치 상실시 가능한 옵션들: 하나 혹은 4전치중 일부 상실의 경우나 잔존 치조골의 흡수가 거의 없어 임플란트 위치 관계가 심미적으로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라면 직경이 작은 임플란트들을 원래 발치와 중앙에 식립(Narrow type 이나 One body mini implant type) 최종 보철물 형태가 Pink porcelain을 포함하는 이미 광범위한 치조골의 흡수가 일어난 경우 즉 임플란트 식립 위치가 덜 중요한 상황이라면 regular size의 임플란트들을 측절치와 중절치의 사이 Interseptal bone위치에 식립 4전치중 하나 혹은 일부가 상실됐고 남아 있는 전치들의 예후가 불량하다고 의심되나 환자가 당장 나머지 전치들의 발치에는 동의하지 않을 때 남아 있는 전치들이 발치 될 때까지의 Tentative restoration로서 Resin Bonded Bridge(Resin Retained Bridge/Resin Bonded Fixed Partial Denture)의 적용.

상악 완전 무치악에서 $Locator^{(R)}$ attachment가 장착된 milled titanium bar를 이용한 임플란트 지지 피개의치: 증례 보고 (Implant Supported Overdenture using Milled Titanium Bar with $Locator^{(R)}$ Attachment on Fully Edentulous Maxillae : A Case Report)

  • 오상천;한지석;김민정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7권2호
    • /
    • pp.223-231
    • /
    • 2011
  • 본 증례 보고의 목적은 상악 무치악 환자에서 임플란트 지지 피개의치를 위한 $Locator^{(R)}$ attachment가 장착된 새로운 milled titanium bar를 소개하고 새로운 대안으로써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함이다. 56세 남자 환자가 상악 고정성 보철물(10-유닛 브릿지)의 동요도를 주소로 본원에 내원하였다. 악관절 및 치과 치료에 영향을 줄만한 특이한 전신병력은 없었다. 방사선 검사 및 임상 검사 결과, 상악의 경우 모든 잔존치아에서 심한 골흡수와 동요도를 보이고 있어 전악 발치를 시행한 후, 임플란트 지지 피개의치를 제작하기로 하였다. 의치의 안정성과 유지력, 저작효율, 청소의 용이성, 심미성과 발음 그리고 경제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Locator^{(R)}$ 어태치먼트를 CAD/CAM으로 제작된 milled titanium bar에 탭핑(tapping)으로 연결시키는 새로운 디자인을 고안하였으며, 1년 이상 경과 후, 기능과 심미적인 면에서 만족할 만한 성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초음파 다이아몬드 기구로 형성된 치근단 역충전 와동의 정화도 및 와벽형태 (CLEANLINESS AND WALL MORPHOLOGY OF ROOT-END RETROGRADE CAVITY MADE BY ULTRASONIC DIAMOND INSTRUMENTS)

  • 김성교;임춘희;권태경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3권1호
    • /
    • pp.515-524
    • /
    • 1998
  • 치근단 역충전 와동 형성을 위한 초음파 다이아몬드 기구의 임상적 적용의 타당성 및 특성을 평가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다이아몬드 기구로 형성된 치근단 역충전 와동의 와벽 형태 및 와동 정화도를 관찰하여 스테인레스 스틸 기구의 것과 비교하였다. 초음파 기구로 형성된 와동의 와벽형태를 평가하기 위하여 발거된 상악 제 1 대구치 치근에서 근관을 형성하고 gutta-percha로 충전한 다음 근단 3mm부위를 치아 장축에 직각되게 절제하고 초음파 다이아몬드 기구 및 초음파 스테인레스 스틸 기구로 역충전 와동을 형성하였으며, 형성된 치근단 역충전 와동내벽의 정화도를 평가하기 위해서 와벽의 잔존 잔사 및 도말층의 양을 측정,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다이아몬드 기구로 형성된 와동의 와벽 형태는 다이아몬드 입자에 의해 긁힌 자국이 선명한 양상을 특정적으로 보인 반면, 스테인레스 스틸 기구로 형성된 와동의 와벽은 계단식의 층을 특정적으로 보여 주었다. 다이아몬드 기구로 형성된 와동에서는 스테인레스 스틸 기구 와동에 비해 내벽 도말층의 량이 유의하게 많이 나타났다 (p<0.01).

  • PDF

수직고경이 감소된 환자의 디지털 진단 분석을 이용한 완전 구강 회복 증례 (Full mouth rehabilitation for a patient with vertical dimension loss using digital diagnostic analysis: A clinical report)

  • 최예원;이영후;홍성진;백장현;노관태;김형섭;권긍록;배아란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9권4호
    • /
    • pp.487-496
    • /
    • 2021
  • 완전 구강 회복이란 구강 내 잔존치아와 결손치아를 수복하여 구강의 건강, 기능 및 아름다움을 개선하고 구강악계의 다른 조직과 조화되도록 회복시켜주는 것을 말한다. 다수 치아가 상실될 경우 환자의 교합평면은 점차 붕괴되어 가며 수직고경이 감소될 수 있다. 감소된 수직고경은 악관절 및 저작근에 잠재적인 병인이 될 수 있으므로 수직고경 증가를 동반한 보철수복이 요구된다. 본 증례 환자는 68세 여환으로, 현재 사용 중인 가철성 국소의치가 파절되어 식사가 불가능한 상태로 보철치료를 통해 저작기능 회복과 마모 치아의 심미적 개선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수직 고경의 상실을 디지털 치과 기술을 사용하였다. 디지털 분석 단계에서 CAD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교합면을 설정하고 여러 기준을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CBCT 영상을 사용하여 악안면계 해부학적 구조물과 치아의 위치를 정렬하여 환자의 상태를 3차원으로 시각화하여 가상으로 치료 계획을 세울 수 있었다. 가상으로 정렬한 가상 페이스보우를 실물 교합기로 옮겨와서 한번 더 진단 분석하였다. 평가 후, 임시보철물을 제작하여 환자가 이상 없이 적응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최종 보철물로 이행하였다. 본 증례를 통해 수직고경이 감소된 68세의 여성 환자에서 가철성 국소의치를 동반한 완전구강회복으로 기능적, 심미적으로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불소를 함유한 교정용 접착제의 브라켓 주변 법랑질 탈회 예방 효과 (Effect of a Fluoride - Containing Orthodontic Primer for Preventing Enamel Demineralization around Bracket)

  • 장하영;김종빈;김종수;오소희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412-418
    • /
    • 2017
  • 브라켓 주위에 발생되는 법랑질 탈회는 교정 치료 시 극복해야 할 문제 중 하나이다. 본 연구는 교정용 브라켓 부착 시 사용되는 접착제 중 불소를 함유하는 교정용 프라이머의 적용이 법랑질 탈회 예방 및 재광화 유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건전한 표면을 가진 발치 된 소의 절치 50개를 실험재료로 하여 법랑질 처리 방법에 따라 3개 군으로 분류하였다: (I) 아무처리하지 않은 시편, (II) 불소를 함유한 교정용 프라이머인 Light Bond$^{TM}$로 처리한 시편, (III) 전통적으로 불소를 함유하지 않는 프라이머인 Transbond$^{TM}$ XT Primer로 처리한 시편. 각 군을 인공우식용액에서 탈회시킨 다음 Q-ray view로 관찰하고, 비커스 표면미세경도 측정 및 편광현미경을 이용하여 우식 양상을 평가하였다. 인공 탈회 후 프라이머는 치아 표면에서 떨어져 나가 35 - 50% 잔존하는 것으로 보인다. 표면미세경도는 Light Bond$^{TM}$를 직접 적용한 법랑질 표면에서 가장 높았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하지만 Light Bond$^{TM}$를 적용한 인접부위의 법랑질 표면미세경도는 아무처리를 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은 값을 보였다. 편광현미경을 통해 관찰한 소견으로 Light Bond$^{TM}$를 직접 적용한 법랑질 표면은 탈회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며, Light Bond$^{TM}$의 인접부위에서는 가장 얕은 우식 양상과 재광화 소견을 보였다. 이상의 연구결과, 교정치료 시 법랑질 탈회의 발생을 줄이기 위해서 브라켓 부착 시 불소를 함유하는 프라이머의 사용이 유용함을 시사하는 바이다.

임플란트와 레진 클래스프를 이용한 심미 가철성 국소의치 증례 (Esthetic removable partial denture with implants and resin clasp: Case report)

  • 김수민;전영찬;정창모;윤미정;허중보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3권1호
    • /
    • pp.58-65
    • /
    • 2015
  • 완전 무치악 환자의 수복 시 총의치나 임플란트 지지 피개의치와 더불어 임플란트를 지대치로 이용하는 국소의치가 치료 방법의 하나로 고려될 수 있다. 적은 수의 임플란트를 전략적으로 중요한 위치에 식립한 후 가철성 국소의치로 수복할 경우, 임플란트를 통해 안정을 얻고 부가적으로 유지 및 지지를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광범위한 임플란트 식립을 통한 고정성 보철물에 비해 환자의 수술 부담을 줄여줄 수 있으며, 치료비용 절감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본 증례는 오랫동안 국소의치를 사용해 온 환자에서 치아 상실 후 잔존 치조골의 상태 및 환자의 요구를 고려하여 임플란트 지지 국소의치를 제작한 증례로서 전치부에 식립한 임플란트는 고정성 보철물로 수복하고 구치부의 짧은 임플란트는 지지 기능만 부여하였다. 또한 의치상과 클래스프를 열가소성 아크릴 레진으로 제작함으로써 기능적, 심미적으로 만족스러운 치료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초음파 세정 프로토콜에 따른 근관 내 잔사 제거의 효율성 비교 (Debris removal efficiency depend on different ultrasonic irrigation protocols)

  • 허건;김진우;조경모;;이은혜;박세희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6권2호
    • /
    • pp.104-111
    • /
    • 2020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Passive Ultrasonic Irrigation (PUI) 적용 강도 및 적용 횟수에 따른 상아질 잔사 제거의 효율성 비교에 있다. 연구 재료 및 방법: 48개의 하악 소구치를 표준화하고 이등분 한 후, 한쪽 상아질벽에는 치근첨에서 1, 3, 5 mm의 거리에, 반대쪽 상아질벽에는 2, 4 mm의 거리에 함요를 형성하였다. 각 함요에 NaOCl과 혼합된 상아질 잔사를 채웠다. 치아는 PUI 적용 강도에 따라 'Weak'과 'Strong'의 2개 그룹으로 나누고(n = 24), PUI 적용 횟수에 따라 '1회', '2회', '3회'의 3개 그룹으로(n = 8) 다시 나누었다. 근관 세정 과정 이후 함요에 잔존하는 상아질 잔사의 양을 평가하였다. 결과: Weak 그룹과 Strong 그룹 간의 통계적 유의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Weak 그룹 내에서 PUI 적용 횟수에 따른 통계적 유의성 역시 관찰되지 않았다. 그러나 Strong 그룹에서 PUI를 2회, 3회 적용하였을 때, 1회의 경우보다 유의하게 낮은 상아질 잔사의 양이 관찰되었다. 결론: PUI 적용 강도에 따른 상아질 잔사 제거의 효율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Strong 그룹에서 PUI를 다회 적용시, 1회 적용할 때 보다 근단 1/3 부위의 세정 효과가 증가한다.

백서 치아 발거후 잔존 치주인대가 발치와의 치조골 재건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RESIDUAL PERIODONTAL LIGAMENT ON ALVEOLAR BONE REMODELING OF EXTRACTION SOCKETS IN RATS)

  • 조성훈;허익;박준봉;이만섭;권영혁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25권3호
    • /
    • pp.703-719
    • /
    • 199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the effects of the periodontal ligament on the healing and the formation of alveolar bone in the extraction socket, when this ligament had artificially remained in the socket during the tooth removal. Twenty rats aged 4 weeks were used and devided into the control groups (10) and the experimental groups (10) in this study. The maxillary right and left first molars were extracted in both groups. In the experimental groups the periodontal ligament was remained in the extraction sockets using 0.4% ${\beta}-aminopropionitrile$, and in the control the periodontal ligament was completely removed by curettage. At 1, 3, 5, 7 and 14 days after the tooth extraction, rats in both groups were serially sacrificed. And the specimens were prepared with Hematoxylin-Eosin stain for the light microscopic evalu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On 1 day, the periodontal ligament was only found in the extraction socket walls of the experimental groups, and there was not the distinguishable difference between the control and the experimental groups. 2. On 3 days, there were more collagen fibers and the appearance of higher cellular density in the experimental groups than in the control. And the cells and collagen of the periodontal ligament were so actively proliferated and synthesized that invaded into the connective tissue of the extraction sockets in the experimental groups. 3. In the experimental groups, the trabecular bone was formed on the basal and lateral bone surface on 5 days. However, there was not the new bone forming appearance in the control groups at this time. 4. On 7 days, the trabecular bone was formed in the control groups. 5. On 14 days, the extraction sockets were almost entirely filled with the bony trabeculae in both groups. But,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s showed the prominent differences in the amount & the density of the new bone formed. In conclusion, it was suggested that the residual periodontal ligament tissue in the extraction socket will play a major role as the important cell source in the healing and the new bone formation of the extraction socke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