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잔류성유기오염물질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33초

국내 잔류성유기오염물질(Persistent Organic Pollutants) 배출목록 개발 - 부산물 PCBs, HCB, PAHs를 중심으로 - (Development of National Emission Inventories for Persistent Organic Pollutants (Unintentionally Formed PCBs, HCB and PAHs))

  • 조규탁;이동수;이지윤;김경미;이지은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21-222
    • /
    • 2003
  • 잔류성유기오염물질(Persistent Organic Pollutants, 이하 POPs)은 환경에 노출되면 장기간 잔류하면서 인체 및 생태계에 악영향을 끼치며 또한 장거리 이동하는 특징으로 인하여 전지구적인 규제ㆍ관리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필요에 부응하여 UNEP를 중심으로 국제적인 관리를 위한 논의가 이루어져 2001년 5월 스톡홀름협약(Stockholm convention for Persistent Organic Pollutants)이 당사국회의에서 채택되었고, 우리나라는 외교적 서명을 함으로써 협약가입의사를 분명히 하였다. (중략)

  • PDF

시화공단 인근 실내 더스트의 PBDEs 농도 분포 (Concentration Distribution of PBDEs in House Dust on Si-Hwa Industrial Complex)

  • 김현승;김일규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5권8호
    • /
    • pp.579-585
    • /
    • 2013
  • 잔류성유기오염물질(POPs)은 환경에 잔류하며, 먹이 사슬을 통해 축적되고, 인간의 건강과 환경에 악영향을 일으키는 화학물질이다. 잔류성 유기 오염 물질은 열에 안정적이고, 친유화성, 불용성의 물질이며, 생식, 성장 및 내분비 기능에 면역독성 및 발암성 부작용 등 다양한 유해 영향을 일으킬 수 있다. 폴리브롬화디페닐에테르(PBDEs)는 방염제로 사용되는 유기브롬 화합물이다. 독성 및 잔류성으로 인해 일부 PBDE 생산품은 주요 POPs를 관리하고 단계적으로 제한하는 스톡홀름 협약에 의해 제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잔류성유기오염물질의 농도분포를 조사하기 위해 시화산업단지의 여러 사이트에서 PBDEs를 측정하였다. 하우스더스트 샘플에서 PBDEs의 농도수준은 0.722~44.024 ng/g-dry로 나타났으며, PBDEs 동족체 중 BDE-209가 모든 지역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BDE-209의 농도는 총 PBDEs의 80.0 % 이상으로 나타났다. 대상 지역의 여러 사이트에서 고분자 PBDEs는 저분자 PBDEs 보다 높게 측정되었다.

제철공정중 오염물질 제어를 위한 BAT (BAT(Best Available Technique) for Control of Contaminated Materials in Steel Works)

  • 임채현;김효진;김영진;고동준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491-492
    • /
    • 2003
  • 최근 국제적으로는 2005년 대기배출허용기준 강화와 총량규제 도입추진, 대기 배출부과금 제도의 강화 움직임, 대기환경규제지역의 규제지역 확대에 따른 굴뚝자동측정기 부착의무화, VOCs(휘발성유기화합물) 물질 배출원 관리가 강화되는등 환경적 이슈가 점점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또 외부적으로 기후변화협약에 따른 온실가스 규제와 스톡홀름협약에 따른 POPs물질(잔류성유기오염물질)규제가 예상되며 이에 따라 국내 환경부에서도 05년까지 오염물질 배출농도 강화와 POPs 물질 inventory 구축작업과 소각로 이외의 다이옥신 배출원에 대한 다이옥신규제 대상시설이 확대될 전망이다. (중략)

  • PDF

잔류성 유기오염물질인 절연유 중 PCBs에 대한 분석 기술동향 (Technical trend of analysis for PCBs in Transformer oil)

  • 소진중;심대섭;김규섭;김언석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8년도 제39회 하계학술대회
    • /
    • pp.1211-1212
    • /
    • 2008
  • 스톡홀름협약은 잔류성유기오염물질(POPs)의 위해로부터 국민의 건강과 환경을 보호하고자 동 물질의 저감 또는 근절을 목적으로 2004. 5. 17에 발효된 국제협약이다. 현재 150 여개국이 서명, 120개국이 비준하였으며 우리나라는 2001. 10. 4 서명하였다. 이 협약의 주요 의무사항은 의도적으로 생산되는 POPs 제품의 생산,사용 금지 또는 제한하고 비의도적으로 생산되는 POPs 배출저감 또는 근절(대상물질 : 다이옥신, 퓨란, HCB, PCBs)이다.

  • PDF

Stockholm 협약 비준 대비 잔류성유기오염물질의 특정면제를 위한 국내 실태조사 (Case Studies for the Ratification of Stockholm Convention on Persistent Organic Pollutants with Specific Exemption in South Korea)

  • 김호현;이재영;양지연;이준상;신동천;정혜웅;임영욱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12권1호
    • /
    • pp.63-75
    • /
    • 2010
  • 유엔환경기구는 잔류성유기오염물질(persistent organic pollutants, POPs)의 생산 및 유통을 억제하기 위한 국제금지협약을 2001년 5월 22일 채택하였다. 이 협약은 151개 승인국 중 59개국으로부터 비준을 얻어 2004년 5월 17일 발효되었다. 한국은 2001년 10월 4일 승인한 이후 본 협약의 비준에 대비하여 등재된 물질에 대한 체계적인 조사를 시행하였다. 문헌 및 사례조사를 통하여 특정면제품목의 가능성이 chlordane, dichloro diphenyl trichloroethane (DDT), hexachlorobenzenes (HCB), heptachlor, polychlorinated biphenyls (PCBs)에서 발견되었다. 하지만 보다 상세한 추후 조사에 의하여 특정면제품목의 작성 없이 본 협약에 가입할 수 있게 되었다.

들깨 생산단지 시설재배지 중 잔류성유기염소계 농약류 잔류량 조사 (Investigation of Resiudal Organochlorine Pesticides in Green Perilla (Perilla frutescens var. japonica Hara) Greenhouse Soil and Its Leaves)

  • 임성진;오영탁;노진호;양지연;최근형;류송희;문병철;박병준
    • 농약과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21-227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들깨 시설재배지 토양 및 작물 중 잔류성유기염소계 농약의 잔류량을 조사하였다. 토양 및 작물 중 잔류성유기염소계 농약 분석을 위한 추출 및 정제는 QuEChERS 방법을 다소 개선한 방법으로 수행되었다. 들깨 시설재배지 토양 및 농산물 중 잔류성유기염소계 농약의 회수율은 각각 76.3-113.4 및 79.4-107.3%, 정량한계는 각각 0.03-0.24와 $0.33-0.50{\mu}g/kg$ 수준이었다. 들깨 시설재배지 토양에서 dieldirn 및 endosulfan sulfate 2 성분만이 각각 1.6-9.2 및 $22.0-87.8{\mu}g/kg$ 수준으로 검출되었으나 들깻잎의 모든 시료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들깨 시설재배지 토양이 농산물 안전성을 위협할 정도로 잔류성유기염소계 농약으로 오염되지 않았음을 나타냈다.

변압기 절연유 중 PCBs 신속분석법 개발 (The Development of Rapid analytical Method for PCBs in Transformer Oils)

  • 박석운;남창현;박현주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전력기술부문
    • /
    • pp.136-138
    • /
    • 2008
  • PCBs는 잔류성유기오염물질(POPs) 중 하나로 변압기 절연유 등에 주로 사용되어 왔으나 환경 및 인체유해성이 밝혀짐에 따라 생산 및 사용이 금지된 물질로써 국내에서는 절연유 중 PCBs 분석이 전력산업과 변압기 절연유의 재활용 및 처리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현행 폐기물공정시험방법은 분석절차가 까다롭고 고가의 분석비용이 소모되며 고도로 훈련된 분석인력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신속하게 PCB를 분석할 수 있는 간이 분석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현행 폐기물공정시험방법에 대한 기술적 검토를 수행하여 복잡한 전처리 절차를 축소하고 번거로운 정성 및 정량작업을 간소화한 결과, 분석비용은 약 1/2, 분석시간은 약 1/3로 줄일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간이 분석법을 현행 공정시험법과 적절히 병행하여 사용 할 경우 폐 변압기의 신속한 분석이 가능하여 분석비용 절감에 따른 큰 경제적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PDF

수동대기채취기를 이용한 잔류성유기오염물질의 농도산정 (Calculation Method for the Concentration of Persistent Organic Pollutants (POPs) Collected by Passive Air Samplers)

  • 최성득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17-227
    • /
    • 2013
  • Passive air samplers (PAS) have been developed since the early 2000s and widely used for the atmospheric monitoring of persistent organic pollutants (POPs). PAS are useful especially for the investigation of source-receptor relationship of POPs because they provide higher spatial resolution data. In Korea, however, only a few research groups have conducted POPs monitoring using PAS. One of the reasons for the limited application of PAS might be due to a complicated calculation method for air concentration. In this study, therefore, we introduced the principle of polyurethane foam (PUF)-PAS, which has been most widely used in the world, and provided an example of the calculation of air concentration of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PAHs). As all data tables and equations for this calculation were provided, this method can be used for the conversion of the amount of POPs (ng) in a PUF disk to air concentration ($ng/m^3$).

토지 이용형태별 잔류성유기오염물질의 오염특성 (Characteristics of Contamination for Persistent Organic Pollutants in Soil by Land Use)

  • 이민진;김경수;윤정기;김태승;김종국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08-216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토양 중 POPs 오염수준을 토지이용형태별로 구분 조사하여 오염특성을 규명하고 효율적인 토양 중 POPs 오염물질 관리방안 마련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였다. 농약류 중 Heptachlor, Aldrin, Endrin, Mirex, Toxaphene이 모든 지역에서 검출되지 않았고 Dieldrin은 N.D.-12.08 ${\mu}g$/kg, Chlordane은 N.D.-16.08 ${\mu}g$/kg, ${\Sigma}$DDT는 N.D.-38.19 ${\mu}g$/kg, HCB는 N.D.-1.32 ${\mu}g$/kg의 범위를 나타냈다. PCBs는 N.D.-172.12 ${\mu}g$/kg의 범위로 절연유오염지역이 높게 나타났으며, PCDD/Fs는 N.D.-6.68 pg I-TEQ/g으로 공단지역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