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작은 도서관

검색결과 131건 처리시간 0.028초

공공도서관 장서관리 현황 분석 (Examining the Collection Management Process in Public Libraries)

  • 이지연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247-267
    • /
    • 2009
  • 이 연구는 국내 공공도서관의 장서관리 현황을 분석하고 요구사항을 조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장서관리의 세부운영지침을 조사하고 공공도서관의 유형에 따라 장서관리 지침 및 요구사항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공공도서관의 장서관리 지침은 세부적으로 일부 이용자와 관련하여 명시하기 쉬운 업무를 위주로 성문화된 지침을 가진 곳이 많았으나 포괄적으로 장서관리를 다루는 체계적인 장서관리 지침이 마련된 곳은 없었다. 특히 작은도서관, 병원, 교도소, 병영도서관 등 전문 인력과 재원이 부족한 작은 규모의 도서관에서는 체계적인 장서관리 업무에 어려움을 겪거나 실무에 바로 참고할만한 지침을 갖고 있지 못한 경우가 많았다.

아파트 단지 내 작은도서관 자원봉사 경험이 지역공동체 의식형성에 미치는 영향: D 광역시 아파트 작은도서관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mpact of Volunteering Experience in a Small Library Within an Apartment Complex on the Sense of Community: A Case of Apartment Small Libraries in D Metropolitan City)

  • 이아영;이성신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53-71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아파트 단지 내 작은도서관에서의 자원봉사활동 경험이 지역공동체 의식 형성에 기여하게 되는 과정을 질적분석을 통해 알아보는 데 있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D 광역시 DS 구에 있는 5개 아파트 도서관에서 자원봉사활동을 하고 있는 33명의 봉사자와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자원봉사활동의 시작은 본인이 도서관의주 이용자가 되어서 도서관을 통해 긍정적 경험을 하고 동시에 도서관에 대한 문제점을 인식하면서인 것으로 나타났다. 자원봉사활동을 통해 그들은 지역주민들과 더욱 활발히 소통하게 되고 도서관이라는 공간을 함께하는 공간으로 인식하게 되며, 이러한 인식을 통해 자원봉사활동경험은 지역에 대한 공동체 의식을 형성하는데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공도서관 건립.운영에 대한 컨설팅시스템 구축 방안 연구 (A Study On Establishment Plan of Consulting System for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a Public Library)

  • 정현태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255-275
    • /
    • 2008
  • 최근 어린이도서관, 작은 도서관 기적의 도서관 등 소규모 도서관이 증가하면서, 도서관건립운영에 필요한 전문적인 지식과 경험을 제공하는 도서관컨설팅시스템의 구축이 요망되고 있다. 도서관컨설팅에 대한 공공도서관 사서들의 의견을 조사한 결과, 도서관컨설팅에 대한 잠재적 수요는 매우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도서관컨설팅에 대한 사회적 경험이 부족한 우리나라의 실정에서는 도서관컨설팅서비스가 공공기관에 의해 공공서비스로서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학교 도서관의 현실적 매력

  • 이덕주
    • 도서관문화
    • /
    • 제38권4호통권305호
    • /
    • pp.30-42
    • /
    • 1997
  • 필자 이덕주 선생은 서울시사서교사협의회와 서울중등학교도서관교육연구회 사립학교 담당 총무, PC통신 하이텔네에 있는 작은모임 ‘학교도서관을 사랑하는 사람들’의 대표를 맡고 있다. 학교도서관에 대한 오해에는 학교도서관과 사서교사들의 현실에 대해 정확히 알리지 못한 사서교사들의 책임도 있다고 보아 이 글을 썻다고 한다. -편집자주

  • PDF

작은도서관 순회사서 운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tinerant Librarian at Small Libraries)

  • 김수진;김유승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59-78
    • /
    • 2014
  • 2010년부터 시작된 '순회사서 지원 사업'은 작은도서관의 업무 지원과 공공도서관과의 협력체계 구축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하지만 사업 5년차에 접어드는 시점에서, 소기의 성과에 대한 긍정적 평가와 함께, 문제점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현단계 순회사서제도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둔다. 선행연구의 분석을 바탕으로 한 이론 연구를 통해 순회사서의 개념과 등장배경을 살피고, 순회사서제도 분석과 관련 참여자 면담을 통해 순회사서에 대한 낮은 인식, 사업의 비연속성, 순회사서의 고용불안정 등 문제점들을 도출하였다. 결론에 갈음하여, 순회사서제도의 개선방안으로 순회사서사업의 연속성 보장, 순회사서의 고용안정, 업무 체계 정비, 순회사서를 대상으로 하는 실무교육, 참여도서관 점검체계, 지방자치단체의 자발적 노력 등을 제시한다.

다문화 밀집지역 작은도서관의 장서 대출 현황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 안산다문화작은도서관 사례연구 - (Analysis of Collection and Circulation for Multicultual Libraries and Policy Implications: A Case of Ansan Multicultural Small Library)

  • 박은경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77-99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 이용자 밀집지역에 있는 도서관의 장서와 대출데이터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이용자들의 소장장서에 대한 장서활용도를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다문화 도서관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있다. 안산다문화작은도서관을 대상으로 2016년부터 2022년까지 장서·대출 이용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연도별, 언어별, 주제별로 소장도서수, 대출수, 비중, 장서회전율과 이용계수를 산출하여 장서이용도를 파악하였다. 개별도서별 누적대출수를 기준으로 누적 합계를 산출하여 대출 분포와 장서이용율 추이를 살펴보았다. 다문화 장서의 평가와 장서활용도를 기반으로 증거 기반의 장서개발 지침에 활용할 근거를 제공하고 다문화 도서관을 위한 정책을 제안하였다.

현상설계 - 수원영통ㆍ용인수지2지구 공공도서관

  • 김상길
    • 건축사
    • /
    • 1호통권333호
    • /
    • pp.130-131
    • /
    • 1997
  • 토지개발공사에서는 수원영통지구와 용인수지2지구의 근린공원 안에 공공도서관 건립을 위한 현상설계경기를 실시하여 총 5개 작품이 접수된 결과 두 프로젝트 모두 에이텍 건축(김상길)안을 당선작으로 선정, 지난 96년 10월21일 발표했다. 수원 영통 지구의 우수작은 엑시트건축(이강호)안이, 가작으로는 기인ㆍ건웅건축(이성우)안이 각각 선정됐으며 용인수지2지구의 우수작은 기인건축(안상춘)안이 선정됐다.

  • PDF

현상설계경기 - 4ㆍ19 기념도서관

  • 대한건축사협회
    • 건축사
    • /
    • 4호통권312호
    • /
    • pp.118-119
    • /
    • 1995
  • 보훈처에서는 4ㆍ19 정신을 기념하고 후세에 길이 남기기 위해 4ㆍ19 기념도서관 재 건립 현상설계경기를 실시하여 지난 3월 3일 (주)아도무 건축(장석웅)안을 당선작으로 선정, 발표했다. 이번 현상설계경기는 지난 2월 25일 15개 사무소의 작품을 마감하여 심사한 결과 당선작 없이 3작품을 선정, 2차 지명설계를 실시하여 최종 발표했다. 우수작으로는 이상건축(강철희)안이, 가작으로는 피아건축(김후석)안이 각각 선정됐다.

  • PDF

지역사회 개방형 학교도서관의 배치유형과 공간계획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ype and Space Composition of School Libraries that are Open to Public)

  • 공순구;박지훈;신한솔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317-340
    • /
    • 2012
  • 본 연구는 지역사회의 도서관 접근성 향상을 위한 지역 개방형 학교도서관에 대한 연구로서 기존의 학교도서관으로 이용하던 시설일부를 개방하여 지역주민에게 공공도서관의 소분관으로 제공함으로써 도서관접근성 향상 및 지역주민의 평생교육 제공에 목적을 갖는다. 또한 공공도서관의 이용활성화를 통해 국민생활의 정보이용 복지향상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에 대한 논의로 교육과학기술부와 대통령소속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에서는 도서관 접근성 향상 및 활성화를 위한 대책으로 공공도서관의 분관에 속하는 소규모도서관과 작은 도서관 확충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지역에 거점도서관의 소분관 설치 증가도 의미는 있겠지만 지역주민의 접근이 용이한 학교도서관에 같은 기능을 접목시켜 설치할 경우 도서관 조성시 대지 및 공간확보에 대한 예산을 절약할 수 있음은 물론 학교도서관 자체의 질적 향상 또한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학교도서관은 기능과 성격이 공공도서관과는 차이가 있으므로 학교도서관을 지역개방하여 활용할 경우에 대한 공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학교도서관을 지역사회에 개방하기 위한 배치와 규모 그리고 공간구성에 지향방안을 모색함으로써 향후 조성될 개방형 학교도서관이 본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