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작은 도서관

검색결과 131건 처리시간 0.03초

작은도서관 운영실태 분석을 통한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omotion of Small Libraries through an Analysis on the Current Situation of their Operation)

  • 김보일;조미아;변현주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31-52
    • /
    • 2015
  • 본 연구는 작은도서관의 운영 실태조사를 통해 작은도서관 운영의 흐름을 진단하고 운영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 공립작은도서관과 사립작은도서관 중 아파트 도서관 증가 추세 반영, 작은도서관의 내실화 방안, 도서관 운영 전문성 향상을 위한 인력 배치, 공 사립도서관의 운영현황 차이를 고려한 활성화 대책, 공공도서관과 작은도서관의 협력체계 구축, 통계데이터의 정확성을 증대시키려는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작은도서관 활성화 방안으로 양적인 조성보다는 질적인 운영지원으로 방향의 전환, 공립작은도서관의 운영의 안정화 노력, 사립작은도서관 전문성 향상 및 협력체계 구축, 작은도서관 법적기준의 강화, 작은도서관 캠페인을 통한 기업 참여유도를 제시하였다.

작은도서관에 관한 법제적 고찰 (A Study on Legal Issues of Small Libraries)

  • 김유승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381-410
    • /
    • 2014
  • 본 연구는 작은도서관 관련 법령과 조례를 통해 작은도서관의 양적 팽창과 그에 따르는 문제들을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선행연구와 문헌 분석을 통해 작은도서관의 연혁과 현황을 조사하고 사회운동으로서의 작은도서관이 지니는 성격을 논하였다. 법령 분석을 통해, "도서관법"에 나타난 작은도서관의 법적 지위의 변화와 의의를 살피고, "작은도서관 진흥법"을 비롯한 작은도서관 관련 법령의 내용을 정리하였으며, 자치법규 시스템과 국가법령정보시스템을 통해 추출한 114건의 자치법규를 일반현황, 상위 법령, 정의, 시설 및 장서 기준, 운영 인력의 자격요건 등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결론에 갈음하여 작은도서관 관련 법제도의 당면과제를 시설 및 자료 기준, 운영 인력, 지원 및 관리의 세 가지 측면으로 제시하였다.

지방자치단체의 작은도서관 지원에 대한 연구 - 조례 분석을 중심으로 - (A Study of Local Government Supports for Small Libraries: Analysis on the Ordinance)

  • 이승원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223-241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지방자치단체의 작은도서관 관련 조례에 제시된 작은도서관 지원 형태를 조사 분석하여 작은도서관에 대한 지원 방법을 제안하는데 있다. 광역자치단체 및 기초자치단체 조례를 분석한 결과 지방자치 단체의 작은도서관에 대한 지원은 직접적인 지원과 간접적인 지원으로 구분할 수 있다. 직접적인 지원은 예산 지원이며, 간접적인 지원은 공공도서관과 상호협력, 운영인력에 대한 교육, 자원봉사자 지원 등이 포함된다. 지방자치단체의 작은도서관 지원 방향에 대해서, 공립 작은도서관은 직접적 및 간접적 지원 모두가 이루어져야 하지만, 사립 작은도서관에 대해서는 간접적인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interview - 부천지역작은도서관협의회 이진우 총무

  • 심효정
    • 도서관문화
    • /
    • 제45권11호통권354호
    • /
    • pp.52-56
    • /
    • 2004
  • 11월 6일(토) 부천 중앙공원에서 '동네마다 작은도서관만들기'를 위한 부천시 작은도서관 공동행사'가 열렸다. 현재 부천시는 지역단위 도서관 네트워크 구축과 관련하여 새로운 모델로 주목받고 있다. 앞으로 지방분권이 더욱 가속화되고 도서관 정책과 운영이 지역자치의 일환으로 추진되어야 할 시점에서 이 지역의 실험은 의미가 크다 하겠다. 특별히 작은도서관들의 역할에 대해 새롭게 인식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와 관련해 도서관문화편집실에서는 이번 행사를 주최한 부천지역작은도서관협의회 이진우 총무를 만나보았다.

  • PDF

경기도 작은도서관 조례 분석 및 개정방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and Direction for Revision of the Small Library Ordinance in Gyeonggi-do)

  • 최만호;노영희;장로사;김윤정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187-212
    • /
    • 2020
  • 현재 정부에서 추진 중인 생활 SOC 복합화 사업으로 인해 앞으로 경기도 작은도서관은 양적으로 보다 증가될 것으로 예견되고 있으며, 이에 작은도서관이 내실화를 통해 질적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제도적·정책적인 지원이 선행되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본청을 포함하여 경기도내 31개 시군의 작은도서관 조례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경기도 작은도서관을 활성화하기 위한 개정방향 및 조례(안)을 제안하였다. 연구결과, 경기도 작은도서관 활성화를 위한 개선방안으로 ① 작은도서관 관련 도서관법 및 사업 추진 강화, ② 작은도서관 설치 및 지원에 대한 도서관법 조항 강제조항으로 제정, ③ 「도서관법」에 관련 조항이 있을지라도 지방자치단체 작은도서관 지원 조례에서도 「도서관법」에서 명시한 기준을 충족해야 한다는 사항만이라도 간단히 기술, ④ 해당 시군 작은도서관의 봉사대상자의 수와 장서의 규모를 반영한 작은도서관 확보 운영인력의 수 및 자격조건에 대한 조항 규정 등을 제안하였다.

전북지역 작은도서관의 현 단계와 기능 확대에 관한 연구 (Analysis and Solution of Small Libraries in Jeon-buk Province)

  • 김홍렬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77-98
    • /
    • 2010
  • 최근에 정부, 지방자치단체, 민간기업의 지원과 관심이 전국적으로 확대되면서 작은도서관이 수적으로 크게 증가하였다. 전라북도에서도 2004년 이래로 47개의 작은도서관이 새로이 조성되어 운영되고 있으며, 그중에서도 모범적인 운영사례를 보이는 도서관이 생겨나기도 한다. 그러나 그동안 국내의 작은도서관 운동은 수적인 증가에만 치우친 나머지, 대부분의 작은도서관은 아직도 열악한 환경 속에서 운영상에 많은 문제점을 안고있다. 이것은 주민에 대한 서비스의 질적 수준의 저하를 가져오며, 나아가 정보격차해소와 문화복지 향상이라는 작은도서관 본연의 역할을 달성하는데 상당한 장애가 되고 있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본 연구는 중앙정부, 지방자치단체의 지원이나 민간기업의 후원으로 조성된 전라북도 지역의 작은도서관의 현 단계를 점검하고, 문제점을 제시하여 작은도서관이 본연의 임무를 충실히 달성하기 위한 발전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공립 작은도서관 운영 현황과 과제 - 부산광역시 K구를 중심으로 - (An Empirical Study on the Operation of Public Small Libraries in K District of Busan)

  • 장덕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73-91
    • /
    • 2018
  • 최근 지역주민에 대한 생활밀착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작은도서관의 증가세가 꾸준하다. 한편으로는 작은도서관 특유의 친근함과 융통성을 기반으로 한 공동체 공간으로서의 역할에 주목한 지자체들이 작은도서관을 지속적으로 건립, 운영하고 있지만, 양적 증가에 부합하는 내실있는 운영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지적도 적지않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인식을 바탕으로 특정 지자체가 설립, 운영하고 있는 작은도서관들을 방문 조사하여, 현행 작은도서관의 운영의 의의와 문제점 등을 도출하였다. 이 연구는 실제 방문 조사를 통한 관찰과 운영자들과의 면담으로부터 자료를 확보함으로써 보다 실제적인 관점에서 지역의 작은도서관이 지니고 있는 한계와 애로사항, 그리고 작은도서관의 발전방안을 모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작은도서관 운동의 현 단계와 발전 방안에 관한 연구 - 대전광역시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resent Stage and Development Strategy of Small Libraries Movement in Daejeon)

  • 박미라;이응봉
    • 한국정보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관리학회 2010년도 제17회 학술대회 논문집
    • /
    • pp.123-131
    • /
    • 2010
  • 작은 도서관은 정책이 아닌 시민들의 자발성을 바탕으로 마을마다 부족한 도서관의 인프라를 구축하고자 시작된 풀뿌리 시민운동이자 대안 공동체 운동이다. 1960년대 마을문고 운동으로 시작된 작은 도서관은 현재의 21세기 지식기반사회에 이르기까지 많은 수가 마을 중심에서 지역주민들에 의하여 설립, 운영되고 있으며, 독서실 이미지의 도서관을 벗어나서 진정한 의미의 도서관을 찾아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작은 도서관의 개념과 전국의 사례에 비추어 1998년대 후반부터 시작된 대전의 작은 도서관 운동의 현 단계와 발전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 PDF

우리나라의 효율적인 공공도서관 확충 방안 연구 - 영국의 작은 공공도서관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ffective Enhancement of the Public Library Infrastructure in Korea: Focusing on the Operation of Small Public Libraries in the UK)

  • 김영석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29-48
    • /
    • 2007
  • 우리나라의 공공도서관 수는 최초의 '도서관법'이 제정된 이후 지난 40년간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증가에도 불구하고 공공도서관 시설은 선진국과 비교해 보면 여전히 많은 차이가 나고 또 절대적으로 크게 부족하다. 이러한 결과는 지금까지 추진해 왔던 대규모 형태의 공공도서관 건립 방식이 도서관을 확충하는데 효율적이지 못하다는 것을 증명한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공공도서관을 짧은 시간 내에 획기적으로 확충하기 위해서는 영국의 경우처럼 작은 공공도서관을 건립하는 방법을 채택하여야 한다. 즉, 몇 개의 큰 공공도서관을 건립하는 방식을 탈피하여 큰 도서관을 건립할 비용을 쪼개어 여러 개의 작은 도서관을 건립 운영하도록 한다.

  • PDF

마산지역 작은도서관의 사회적 역할 변화과정과 운동의 방향 (A Study on the Processes of Small Libraries Changing Sociological Role and Its Direction of Movement in Masan City)

  • 양재한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7-52
    • /
    • 2008
  • 이 연구의 목적은 마산지역 작은도서관의 사회적 역할 변화과정과 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작은도서관의 사회적 역할은 작은도서관이 점하고 있는 사회의 모습에 따라 변화한다. 따라서 마산지역 작은도서관의 역할 변화과정도 한국사회와 지역사회의 변화과정과 관련이 있다. 이에 1980년대 진보성향의 민간도서관 시기, 1990년대 주민참여형 마을도서관 시기, 2000년대 민관협력형 작은도서관 시기로 나누어 작은도서관의 사회적 역할 변화 과정을 해석하고, 그 운동의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