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Processes of Small Libraries Changing Sociological Role and Its Direction of Movement in Masan City

마산지역 작은도서관의 사회적 역할 변화과정과 운동의 방향

  • 양재한 (창원전문대학 문헌정보과)
  • Published : 2008.09.30

Abstract

This paper tries to interpret the processes of small libraries changing sociological role and its direction of movement in Masan City. The roles of small libraries are changing according to the aspects of the communities. Thus the roles of the small libraries in Masan have also changed with the various changes in Korean society. The periods are divided into three : 1980's : the appearances of civil libraries, 1990's : maeul libraries that the citizens have established and participated, 2000's : small libraries that have established from cooperation of government and private. By the three periods this paper interprets the processes of small libraries changing sociological role and its direction of movement in Masan City.

이 연구의 목적은 마산지역 작은도서관의 사회적 역할 변화과정과 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작은도서관의 사회적 역할은 작은도서관이 점하고 있는 사회의 모습에 따라 변화한다. 따라서 마산지역 작은도서관의 역할 변화과정도 한국사회와 지역사회의 변화과정과 관련이 있다. 이에 1980년대 진보성향의 민간도서관 시기, 1990년대 주민참여형 마을도서관 시기, 2000년대 민관협력형 작은도서관 시기로 나누어 작은도서관의 사회적 역할 변화 과정을 해석하고, 그 운동의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양재한, 공공도서관의 성립과정과 사회적 역할(대구 : 태일사, 2000)
  2. 김준, '작은도서관 개념에 대한 이해,' 우리동네 작은도서관(서울 : 한국어린이도서관협회, 2007), p.29
  3. 남영준 외, 작은도서관 중장기 발전방안 연구(국립중앙도서관, 2006), p.6
  4. 이용남, '마을문고 운동 추진전략과 행태에 대한 분석적 고찰 - 새마을운동 체제로의 통합 이전까지를 중심으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36권, 제1호(2002. 3), p.92
  5. 이용남, '마을문고의 이념과 원리: 공공도서관 운동의 측면에서,' 국회도서관보, 제16권, 제3호(1979), pp.63-69
  6. 남영준 외, 작은도서관 중장기 발전방안 연구(국립중앙도서관, 2006), pp.9-10
  7. 남영준 외, 작은도서관 중장기 발전방안 연구(국립중앙도서관, 2006), pp.13-14
  8. 남재우, '한국사 속의 마산 . 창원,' 마산 . 창원 역사읽기(마산 : 불휘, 2003), p.17
  9. 허정도, 근대기 마산의 도시화과정 연구 : 개항(1899년)부터 해방(1945년)까지(박사학위논문, 울산대학교 대학원, 2002), p.50
  10. 남재우, '한국사 속의 마산 . 창원,' 마산 . 창원 역사읽기(마산 : 불휘, 2003), pp.24-25
  11. 남재우, '한국사 속의 마산 . 창원,' 마산 . 창원 역사읽기(마산 : 불휘, 2003), pp.26-28
  12. 김하경, 내 사랑 마창노련, 상(서울 : 갈무리, 1999), p.13
  13. 마산시 홈페이지
  14. 양재한, 공공도서관의 성립과정과 사회적 역할(대구 : 태일사, 2000), pp.62-80
  15. 전세중, '문화운동공간, 집현전과 책사랑,' 마산 . 창원 역사읽기(마산 : 불휘, 2003), p.302
  16. 김포옥. 광복이후 한국공공도서관사 연구 : 일제하 공공도서관 제도의 영향을 중심으로(박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1990), p.7
  17. 전세중, '문화운동공간, 집현전과 책사랑,' 마산 . 창원 역사읽기(마산 : 불휘, 2003), p.305
  18. 전세중, '문화운동공간, 집현전과 책사랑,' 마산 . 창원 역사읽기(마산 : 불휘, 2003), p.304에서 재인용
  19. 전세중, '문화운동공간, 집현전과 책사랑,' 마산 창원 역사읽기(마산 : 불휘, 2003), pp.305-307
  20. <책사랑> 제1호(1988. 11), 권두
  21. 김하경, 내 사랑 마창노련(상)(갈무리, 1999), p.13
  22. 전세중, '책 사랑이 걸어온 길: 민간도서관 책사랑 10주년을 돌아보며'(자체보고서), 1999. 6. 27
  23. 성경륭, '살기좋은 지역만들기 정책의 비전과 과제,' 살기좋은 지역만들기(국가균형발전위원회)(서울 : 제이플러스애드, 2006), p.24
  24. 푸른내서주민회 창립총회 자료(1998. 10. 25)
  25. 푸른내서주민회 소개 홍보물 참조
  26. 내서마을도서관 소개 홍보물에서 발췌
  27. 김세훈 외, 작은도서관 분관시스템 구축 방안(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국립중앙도서관), p.1
  28. 김세훈 외, 작은도서관 분관시스템 구축 방안(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국립중앙도서관), p.67-70
  29. 김세훈 외, 작은도서관 분관시스템 구축 방안(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국립중앙도서관), p.28
  30. 2007 작은도서관 지원대상 내역.
  31. 2008 작은도서관 지원대상 내역.
  32. '고맙습니다 경남대 작은도서관' TKS - Library 이용정보
  33. 김준, '작은도서관 개념에 대한 이해,' 우리동네 작은도서관(서울 : 한국어린이도서관협회, 2007), p.34-35
  34. 김소희, '우리동네 작은도서관, 사람을 만듭니다,' 우리동네 작은도서관(서울 : 한국어린이도서관협회, 2007), p.19
  35. 김소희, '우리동네 작은도서관, 사람을 만듭니다,' 우리동네 작은도서관(서울 : 한국어린이도서관협회, 2007), pp.14-25
  36. 이호, '변화하는 도시사회의 주민운동,' 도시서민의 삶과 주민운동(서울 : 발언, 1996), pp.287-2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