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작업 유형

Search Result 658,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국내 원자력발전소 인적오류사례의 추이 분석

  • 이정운;박근옥
    • Proceedings of the ESK Conference
    • /
    • 1996.04a
    • /
    • pp.63-75
    • /
    • 1996
  • 국내 원자력발전소의 발전정지사례에 대해 원전 종사원이 분석한 자료를 수록하여 발간하는 원자력발전소 발전정지사례집을 이용하여 인적오류가 개입된 것으로 판단된 총77건의 불시정지 사례를 추출하여, 인적오류 저감의 우선순위가 높은 원자력발전소 작업분야를 도출하기 위한 분 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이하여, 먼저 인적오류가 개입된 발전소 계통, 인적오유 발생시의 작업상 황 및 작업유형, 그리고인적오류의 유형에 대한 분류체계를 작성하였다. 발전소 근무 경험을 바 탕으로 사례별로 발전정지에 가장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 작업행위를 구분하고, 이 행위에 대해 작성된 분류체계의 해당항목을 판정하였다. 이 사례별 분석결과를 이용하여 발전소 계통, 작업상 황, 작업유형, 오류유형 등, 4가지 항목에 대하여 오류발생의 추이를 분석하였으며, 또한 발전소 계통과 작업상황, 계통과 작업유형, 작업상황과 작업유형, 작업유형과 오류유형 등, 항목간 오류 발생 연관성을 조사하였다. 이 결과로 인적오류의 발생률이 높은 발전소 계통, 작업상황, 작업유형 및 오류유형이 구분되었다.

  • PDF

Comparison analysis of physiological work capacity for different tasks (작업유형에 따른 생리학적 작업능력의 비교 분석)

  • 박지수;김홍기;최진영
    • Proceedings of the ESK Conference
    • /
    • 1996.10a
    • /
    • pp.33-40
    • /
    • 1996
  • 본 연구의 목적은 작업생리학적 접근방법(physiological approach)을 이용하여 생리학적 작업 능력(PWC; physiological work capacity)을 추정할 경우 작업형태와 작업방법에 따른 차이점을 비교분석해 보고자 함이다. 작업유형으로는 자전거 에르고미터(cycle ergometer)와 트레드밀 (treadmill)을 사용하였고, 작업방법으로는 각각의 작업유형에 대하여 램프 테스트(ramp test 와 인크리멘탈 테스트(increemntal test)의 차이점을 비교하였다. 또한 외국인들의 생리학적 작업능력(PWC)과 한국인들의 생리학적 작업능력(PWC)을 비교,검토하여 NIOSH(National Institute of Safety and Healty)기준치를 사용하는데 문제점이 없는가를 검토해 보고자 하였다. 작업방법 에 따른 차이점은 자전거 에르고미터의 경우 램프 테스트(ramp test )253.63 ml/min로서 인크리 멘탈 테스트(increemental test) 2859.74ml/min 의 87.70 % 정도로 나타났으며, 트레드 밑의 경우 ramp test 2859.22ml/min로서 incremental test 289.46ml/min의 98.77%정도로 나타났다. 작업유형 에 따른 결과는 자전거 에르고미터의 ramp test 트레드밀의 ramp test 는 ramp test는 트레드밀의 ramp test의 88.72% 정도로 나타났으며, 자전거 에르고미터의 incremental tests는 트레이드밀 작 업의 98.% 정도로 나타났다.

  • PDF

혼합모델 조립라인의 작업순서 결정

  • 최종열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3.10a
    • /
    • pp.106-107
    • /
    • 1993
  • 오늘날 다양한 고객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재공품재고 없이 단일조립라인에서 다양한 제품들을 생산하는 혼합모델조립(MMAL)방식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MMAL은 모든 일감에 대해 동일한 작업장, 작업시간이 동일한 여러가지 사양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작업장, 그리고 작업시간이 상이한 작업들을 수행하는 작업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째 유형의 작업장에서의 작업순서결정은 전혀 문제가 되지 않는다. 그러나 두번째 유형의 작업장에서는 작업순서에 따라 작업준비비용이 달라지게 된다. 세번째 유형의 작업장에서는 필요로 하는 작업유형의 종류와 양에 따라 원활한 흐름에 변화를 가져온다. 조립라인의 일괄작업순서가 작업장의 처리능력보다 많은 부하를 초래하면 후속 작업장의 원활한 작업을 위하여, 해당 작업장의 작업자들을 지원하는 보완작업(utility work)을 행하여야 하나, 타 작업장에서 해당조립품의 작업시간에 따라 해당작업장의 부하는 평활화될 수 있으므로 보완작업량은 통제가능하다. 따라서 준비비용과 보완작업 비용의 합을 최소화하는 일정계획이 요구된다. 이에 관한 연구들이 행해져오고 있으나, 두가지 비용의 합을 최소화하는 연구는 아직 많이 진척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선행연구들에서 이미 제시된 TSP개념을 이용한 비선형2진 혼합정수계획모델인 수리모델을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모델은 너무 복잡하여 현실문제를 적용할 경우 계산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단시간에 최적에 가까운 해를 구하기 위한 휴리스틱 기법의 개발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를 위한 기초연구로서 우선 준비비용을 고려하지 않는 경우의 휴리스틱기법을 개발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작업장에서 행해지는 작업유형은 기본작업과 여러가지 선택작업이 있을 수 있으므로 선행연구를 확장하여 기본작업과 두가지의 선택작업이 행해지는 경우에 촛점을 맞추었다. 그리하여 다작업장의 휴리스틱에 의거한 작업순서 결정을 위해 우선 BB의 상한을 구하는 연구를 행했다. 이를 위해 우선 단일작업장에서 야기될 수 있는 모든 상황을 고려한 최적 작업순서 결정규칙을 연구했으며, 이의 증명을 위해 이 규칙에 의거했을 때의 보완작업량이 최소가 된다는 것을 밝혔다. 보완작업 계산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해 과부하(violation)개념을 도입하였으며, 작업유형이 증가된 상황에서도 과부하 개념이 보완작업량을 충분히 반영할 수 있음을 밝혔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최적 작업순서 규칙에 의거했을 때 야기될 수 있는 여러가지 경우의 과부하를 모두 계산했다. 앞에서 개발된 단일작업량의 최적 작업순서 결정규칙을 이용하여 다작업장의 문제를 실험했다. 이 문제는 규모가 매우 크므로 Branch & Bound를 이용하였으며, 각 가지에서 과부하량이 최적인 경우만을 고려하는 휴리스틱을 택하여 실험자료를 이용하여 여러 회 반복실험을 행했다. 그리고 본 연구의 성과를 측정하기 위해 휴리스틱 기법시 소요되는 평균 CPU time 범위에서, 랜덤 작업순서에 따른 작업할당을 반복실험하여 이중 가장 좋은 해와 비교했다. 그러나 앞으로 다작업장 문제를 다룰 때, 각 작업장 작업순서들의 상관관계를 고려하여 보다 개선된 해를 구하기 위한 연구가 요구된다. 또한, 준비작업비용을 발생시키는 작업장의 작업순서결정에 대해서도 연구를 행하여, 보완작업비용과 준비비용을 고려한 GMMAL 작업순서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 PDF

Occupational Balance and Time Use Satisfaction of Adolescents With Disabilities (장애 청소년의 작업 균형과 시간 사용 만족감에 관한 연구)

  • Bak, Ah-Ream;Cha, Tae-Hyun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Sensory Integration
    • /
    • v.18 no.1
    • /
    • pp.44-55
    • /
    • 2020
  • Objective : This study used the data of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to analyze the time use of disabled youth and their self-satisfaction with it by their type of occupation. Methods : Using raw data extracted from Statistics Korea, 84 disabled youth from 10 to 24 years old were re-classified into six occupational areas based on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Framework (OTPF)-3. The occupational type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time use by individuals based on data from Statistics Korea. Finally, according to the type of occupation, self-satisfaction with the use of time was identified. Results : The total amount of time spent by disabled youths was the largest in the rest and sleep categories, followed by daily living, education, leisure, social participation, and play. The analysis of occupational types showed that the groups were turned around (10.71% of participants), high activity group (50.00%), low activity (28.57%), and balanced (10.7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ypes in the first five of the aforementioned categorie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ack of time use, bu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ir satisfaction with their use of time. The balanced type (21.53%) reported the most satisfaction. inadequacy Conclusion : The purpose of the project was to provide the raw data of intervention activities that can improve the quality of life and health of disabled youth. By analyzing their time use and occupations, deficiencies in time management and their satisfaction with their use of time can be noted.

다양한 중량물 운반(carrying) 유형에서의 최대허용 하중에 대한 비교평가

  • 이관석;박희석;서치원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5.04a
    • /
    • pp.813-821
    • /
    • 1995
  • 본 연구의 목적은 심리육체적 방법(Psychophysical method)을 이용하여 다양한 중량물운반 유형에서의 최대허용하중을 구하는 것이며 이의 타당성을 생리학적 방법(physiological method)을 이용하여 검토하는 것이다. 또한, 인체측정과 근력측정 자료를 이용하여 각 운반유형에서의 최대허용 하중을 예측하는 모형을 개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네 가지의 운반유형(Front carrying, One-hand side carrying, Two-hands side carrying 그리고 Back carrying)과 두가지의 보행 속도 (50.0 그리고 79.2 m/min)를 주요변수로 8가지의 작업에 대해 무작위로 선택하여 각 작업에 대한 최대허용 하중을 시간과 경비의 감소측면에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는 심리육체적 방법으로 구하였다. 피실험자는 운반작업의 경력이 있는 실제 작업자군(n=7)과 그렇지 않은 학생군(n=10)으로 구분하여 건강한 남성 피실험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주실험전에 인체측정과 근력측정을 실시하였다. 이후에 심리육체적 방법과 생리학적 방법을 실시간(on-line)으로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로 학생군과 작업자군간의 신체조건은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근력은 작업자가 우월하였다. 심리육체적 방법을 사용하여 도출된 최대허용 하중은 학생군, 작업자군 모두 운반유형의 변화에 따라 유의함을 보였다.(학생군:p=.0001 작업자군:p=.0001). 반면에 속도의 변화는 유의하지 않았다(학생군:p=.7954 작업자군:p=.9231). 또한 학생군과 작업자군 모두 Back carrying에서 가증 큰 하중을 운반하였다(학생군:8.16kg 작업자군:12.9kg). 심박수를 이용한 생리학적 연구에서는 평균 심박수가 거의 100 이하를 유지하므로써 피실험자들이 8시간 작업기준으로 보아 무리가 없는 최대허용 하중을 결정하였음을 보였다. 또한 각 운반작업에 대한 최대허용 하중을 예측하는 회귀모형을 제시하였다.

  • PDF

Analysis of Flow and Emotional Experience of College Student Among Type of Occupational Balance Using Experience Sampling Methods Based on Smart Phone (스마트폰 기반 경험표집법을 통해 수집된 작업균형유형에 따른 대학생의 몰입과 정서경험 분석)

  • Hong, Seung-Pyo;Yoo, Yeon-Hwan;Kwo, Jae-Sung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3 no.2
    • /
    • pp.227-235
    • /
    • 2015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type of occupational balance of college students and analyze the differences between positive or negative emotions according to degree of flow. The Experience Sampling Methods (ESM) were conducted for 12 college students using smart phones. As a result, 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group, apathy showed the highest percentage (34%) and in over work group, flow showed the highest percentage (41%). In occupational balance group, frequency of labor and leisure activities was high but boredom was experience a lot in leisure activities. When the students experienced flow in main activities, mean score of positive emotions showed the highest value. Through this study, we identified the differences of flow experience in occupational performance based on type of occupational balance and confirmed improvement of positive emotions in activities experienced flow.

Semi-Supervised Answer Type Classification For Question-Answering System (질의 응답 시스템을 위한 반교사 기반의 정답 유형 분류)

  • Park, Seonyeong;Lee, Donghyeon;Kim, Yonghee;Ryu, Seonghan;Lee, Gary Geunbae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3.10a
    • /
    • pp.45-49
    • /
    • 2013
  • 기존 연구에서는 질의 응답 시스템에서 정답 유형을 분류하기 위해 패턴 매칭 방식이나 교사 학습(Supervised Learning)을 이용했다. 패턴 매칭 방식은 질의 분석을 통해 수동으로 패턴을 구축해야 한다. 교사 학습에서는 훈련 데이터 전체에 정답 유형이 태깅(Tagging)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사용자의 질의에 정답 유형을 수동으로 태깅하는 작업이 많이 필요하다. 웹을 통해 정답 유형이 태깅되지 않은 대용량의 사용자 질의 말뭉치를 구할 수 있지만, 이 데이터에는 정답 유형이 태깅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대용량의 사용자 질의에 비례하여, 정답 유형을 수동으로 태깅하는 작업량이 증가한다. 앞서 언급한 두 가지 방법론에서, 정답 유형 분류를 위해 수작업이 많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논문에서는 일부 태깅된 훈련 데이터를 필요로 하는 반교사 학습(Semi-supervised Learning)에 기반한 정답 유형 분류를 제안한다. 이는 정답 유형 분류 작업에 필요한 노동력을 최소화함으로 대용량의 데이터를 통한 효율적 질의 응답 시스템 구축을 가능하게 한다.

  • PDF

Effects of text types and working memory on children's comprehension (글의 종류와 작업기억이 아동들의 글 읽기에 미치는 영향)

  • Lee, Eun-Ju;Do, Kyu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Cognitive Science Conference
    • /
    • 2005.05a
    • /
    • pp.216-219
    • /
    • 2005
  • 언어 작업기억과 시공간 작업기억이 아동의 글 이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정상 아동과 읽기 지진아동들에게 두 개의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1에서는 글의 유형(설명글과 묘사글)별로 글 이해 정도와 언어작업기억과 시공간 잡기장 용량을 측정하여, 정상아동과 읽기 지진 아동 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연구 2에서는 글 유형과 2차 기억과제와의 간섭효과를 측정하여 보다 직접적으로 글 유형에 따라 관여하는 작업기억의 종류가 다를 수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두 연구에서 읽기지진 아동은 묘사글을 읽을 때 시공간 작업기억을 사용하는 것을 밝혀내었다.

  • PDF

The Relationship between Sensory Processing Feature, Leisure Participation Type, Perception of Occupational Participation and Quality of Life for University Students' Life Care (대학생의 라이프케어를 위한 감각처리특성과 여가참여유형, 작업참여인식 및 삶의 질과의 관련성)

  • Park, Young-Ju
    • Journal of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 /
    • v.13 no.6
    • /
    • pp.203-210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sensory processing feature, leisure participation type, perception of occupational participation, and quality of life (QoL) for life care in university students.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February 2019 to March for 169 university students. The author used the Adolescent / Adult Sensory Profiles (AASP) for sensory processing, and used the leisure activity questionnaire to find out the type of leisure participation, and used the Occupational Self Assessment (OSA) for perception of occupational participation, and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SWLS) for QoL.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used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sensory processing feature, leisure participation type, perception of occupational participation, and QoL. Among the sensory processing feature,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low registration and sports. And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ensory seeking and sports, social activities, tourism.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perception of occupational participation and low registration, sensory sensitivity, sensory avoiding. Hobbies, appreciativeness and social activities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perception of occupational participation. And also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erception of occupational participation and QoL (p <.05, p <.01). Sensory processing feature correlated with leisure participation type, occupational participation perception, and QoL. Future research should develop evaluation tool for leisure activities, occupational participation and QoL based on sensory processing.

Korean Syntactic Processes in Working Memory (작업 기억내에서의 한글 통사처리과정)

  • Kim, Young-Ji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1.10a
    • /
    • pp.209-218
    • /
    • 1991
  • 작업 기억내에서의 통사처리과정을 살펴보기 위해 생략어를 포함하는 네가지 유형의 대등 연결문을 마지작 단어 읽기 과제를 통해 비교하였다. 특히 통사과정에 관한 설명으로 제시되는, 근접 가설, 작업 기억 가설, 최근 필러 이용 가설의 상대적 설명의 효율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실험 결과는, 주어가 공통논항인, 표준 어순의 연결문이 다른 세 유형의 연결문보다 이해 시간이 빨랐다. 이 결과는 어느 한 가설로는 설명될 수 없으며, 대안적인 설명으로 작업 기억내에서 이용 가능한 여러 정보의 상호 제약에 의해 이루어짐을 논의 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