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작업 공간

Search Result 1,931, Processing Time 0.053 seconds

4D BIM based Workspace Planning Process in Building Construction Project (4D BIM 기반의 건설프로젝트 작업공간 계획 프로세스)

  • Choi, Byungjoo;Lee, Hyun-Soo;Park, Moonseo;Kim, Hyunsoo;Hwang, Sungjoo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14 no.5
    • /
    • pp.175-187
    • /
    • 2013
  • Each participant in building construction project requires their own workspace to execute their activities. In this environment, inappropriate workspace planning in construction site causes workspace conflicts which result in a loss of productivity, safety hazard and poor-quality issues. Therefore, workspace should be regard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resources and constraints have to be managed at construction site. However, current construction planning techniques such as Gantt chart, network diagram and critical path method have proven to be insufficient to workspace planning. This paper contains formalized process for workspace planning in 4D BIM environment to prevent workspace related problems in construction project. The proposed process in this paper represents workspace occupation status for each activity and suitable solutions for identified workspace conflicts by integrating workspace attributes and activity execution plan.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project manager will be able to prevent probable workspace conflicts and negative effect on project performance by devising appropriate workspace plan during preconstruction phase.

디퓨저 배치방식에 따른 작업공간내의 환기성능 평가

  • 한화택
    • The Magazine of the Society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ng Engineers of Korea
    • /
    • v.29 no.3
    • /
    • pp.17-23
    • /
    • 2000
  • 개방형 사무실 건물에서, 총 환기량이 적정할지라도 국부적으로 환기가 부족하거나 또는 과다한 작업공간들이 존재할 수 있다. 이것은 환기시스템을 설계할 때 작업공간의 배치와 관련된 정보를 활용하지 않기 때문이다. 모든 작업공간이 충분히 환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급기구나 배기구 그릴의 형태나 배치선정 등과 같은 다 양한 설계변수들이 작업공간의 HVAC 시스템의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야 한다. 본 원고는 최근 수행된 작업공간의 환기 성능에 관한 연구결과를 요약한 것이다.

  • PDF

Workspace Generation and Interference Optimization Algorithm by Work-type using 3D Model Object in a Construction Project (건설프로젝트의 작업유형별 3차원 작업공간 생성 및 간섭 최적화 방안)

  • Kim, HyeonSeung;Moon, HyounSeok;Kim, ChangHak;Kang, LeenSeok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4 no.6
    • /
    • pp.1911-1918
    • /
    • 2014
  • The increase of input resources, such as labor and equipment, in a construction project causes workspace interference between activities and it influences on the productivity and quality of construction activities. To solve this problem, many studies related to the workspace interference have been performed, however they verified the workspace concerning with only the geometric location of activities or generated the shape of workspace by a whole object concept not separated units of detailed operations. It is difficult for project manager to reasonably analyze the workspace conflict, because the size of workspace canno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an activity and input time of a resource. This paper presents a methodology that can generate three-dimensional models in order to optimize the workspace shape and size by considering with the characteristics of each activity and input time of each resource. The suggested method can be used for the active BIM system that optimizes the workspace conflict without additional construction duration and for the searching algorithm of optimized moving path for construction equipment.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Collaborative Virtual Space Authoring Tool (공동 작업이 가능한 가상공간 저작 서버의 설계 및 구현)

  • 김규평;이종학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04a
    • /
    • pp.274-276
    • /
    • 2001
  • 최근 인터넷상에서 웹 출판이 가능한 삼차원 가상공간을 효율적으로 구축하기 위한 다양한 VRML(Virtual Reality Modeling Language) 저작도구들이 개발되고 있다. 기존의 오프라인 방식의 VRML 저작도구들은 실세계에 존재하는 다양한 형태의 객체들을 라이브러리로 제공하지만 수많은 객체들을 모두 제공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으며, 여러 사람이 공동 작업을 통해 하나의 가사공간을 구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온라인 상에서 객체를 저작하고 공동 작업을 통해 가상공간을 구축할 수 있는 가상공간 저작 서버를 제안하고 구현한다. 가상공간 저작 서버에 접속하는 모든 클라이언트들은 자신이 저작한 삼차원 객체들을 다른 클라이언트들과 공유해서 사용할 수 있다. 공동 작업이 가능한 가상공간 저작 서버는 여러 곳에 흩어져 저장되어 있는 가상 객체들의 재사용을 가능하게 하며 가상공간 구축에 대한 공동 작업을 통해 작업의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다.

3D Workspace Modeling Based on Context Understanding for Robotic Manipulation (컨텍스트 이해를 통한 로봇의 작업을 위해 필요한 3D 작업공간 모델링)

  • Kim, Eun-Young;Lee, Suk-Han;Jang, Dae-Sik;Han, Jung-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5.05a
    • /
    • pp.1619-1622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로봇이 작업을 계획하기 위해 필요한 3차원 작업 공간을 세 가지의 컨텍스트(context)들을 이해함으로써 빠르게 모델링하는 새로운 기법을 소개 하고 있다. 로봇이 사람과 비슷한 속도와 정확도로 작업 공간을 이해하고 모델링하는 것에 초점을 두고 있으며 이를 위해 작업 공간상의 특징적인 세 가지의 컨텍스트(작업공간의 간략화를 위한 전체 공간상의 평면특징,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정의된 물체 그리고 로봇의 주어진 작업에 따라 다양한 상세함을 갖는 그 외의 장애물)를 정의하였고, 그것들을 빠르게 이해함으로써 어떻게 3차원 작업 공간을 형성하는지 설명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 3 차원 정보를 갖는 scale invariant feature transformation(SIFT)를 stereo-sis SIFT 로 간주했으며 이를 이용하여 위에서 언급한 컨텍스트들을 이해하였고 다양한 카메라의 위치로부터 얻어지는 여러 개의 장면들을 정합하였다. 또한, 실험을 통해 제안한 방법의 타당성도 검증하였다.

  • PDF

Evaluation of Lighting Environments in Residential Area and Task Area (주거/사무공간의 조명환경 평가에 관한 연구)

  • 이선영;김상진;고한우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2.05a
    • /
    • pp.310-313
    • /
    • 2002
  • 본 연구는 공간특성이 서로 다른 두 공간, 주거/사무공간의 조명환경에 대한 평가구조를 비교 검토하고 각 공간의 행위에 적합한 조명환경을 제시하고자 슬라이드 사진을 이용한 평가실험을 실시하였다. 평가대상 슬라이드수는 주거공간이 28장, 사무공간이 26장이다 실험은 각 공간별로 분위기항목과 행위항목에 대해 각각 실시하였다. 평가항목은 분위기항목이 21가지, 행위항목이 14가지이다. 각 공간의 평정치를 이용하여 인자분석을 실시한 결과, 주거공간과 사무공간 모두 <활동성>,<안정감),<고급감)의 3인자축이 추출되었다. 그러나, 주거공간의 경우는 <활동성>인자축이 평가축을 이루었으며, 사무공간의 경우는 <고급감>인자축이 평가축을 이루었다. 행위항목의 인자분석 결과는 주거공간의 경우, <작업행위>,<휴식행위>,<단란행위>의 3인자축이, 사무공간의 경우 <작업행위),<휴식행위>의 2인자축이 추출되어 주거공간의 경우, 활동성 평가가 높은 조명환경은 작업행위에 적합하며 반대로 활동성평가가 낮은 조명환경일수록 휴식행위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무공간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작업행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분위기 인자는 활동성으로 나타나 활동성평가 높을수록 작업행위에 적합하며, 후식행위는 평가성 평가가 높은 조명환경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workspace Transaction Model for Job Synchronization (작업 동기화를 위한 작업공간 트랜잭션 모델)

  • 오암석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1998.10a
    • /
    • pp.130-134
    • /
    • 1998
  • 멀티미디어 응용들은 공동 작업을 위한 작업 동기화 지원이 필요하다. 이 논문은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응용 개발시 한 트랜잭션의 처리가 긴 공동 작업 환경에서 작업 동기화를 지원하기 위한 새로운 공동 트랜잭션 모델을 제안한다. 이 논문에서 제시하는 모델은 기존의 로킹 기법을 사용하지 않고 여러 작업공간에서 수행되는 작업간의 동기화를 제공한다.

  • PDF

Main Cause of the Interference between Visual Search and Spatial Working Memory Task (시각 탐색과 공간적 작업기억간 상호 간섭의 원인)

  • Ahn Jae-Won;Kim Min-Shik
    •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 /
    • v.16 no.3
    • /
    • pp.155-174
    • /
    • 2005
  • Oh and Kim (2004) and Woodman and Lurk (2004) demonstrated that spatial working memory (SWM) load Interfered concurrent visual search and that search process also impaired the maintenance of spatial information implying that visual search and SWM task both require access to the same limited-capacity mechanism. Two obvious possibilities have been suggested about what this shared limited-capacity mechanism is: common demand for attention to the locations where the items f9r the two tasks were presented (spatial attention load hypothesis), and common use of working memory to maintain a record of locations have been processed(SWM load hypothesis). To test these two hypothetical explanations, Experiment 1 replicated the mutual interference between visual search and SWM task in spite of difference of procedure with preceding researches; possible areas where the items for two tasks were presented were not separated. In Experiment 2, we presented the items for visual search either in the same quadrants where the items for SWM task had appeared (same-location rendition) or in the different quadrants (different-location condition). As a result, search efficiency was more impaired in the different-location condition than in the same-location condition. The memory accuracy was worse in the different-location rendition than in the same-location rendition. Overall results of study indicate that the mutual interference between SWM and visual search might be related to the overload of spatial attention, but not to that of SWM.

  • PDF

Unified Motion and Force Control of JS-10 Robot Manipulator Based on Operational Space and 3D CAD (작업공간과 3D CAD를 기반으로 하는 JS-10 매니플레이터의 운동과 힘의 통합제어)

  • Ahn, D.S.;Nguyen, Van Phuc
    • Journal of Power System Engineering
    • /
    • v.16 no.3
    • /
    • pp.57-63
    • /
    • 2012
  • 본 논문은 작업공간상에서 로봇 운동과 힘의 통합제어를 구현할 수 있는 플랫폼의 구현에 초점을 두고 있다. 조립 또는 디버링 같은 접촉작업에서의 매니플레이터 효율성 제고나 친 인간 환경에서의 휴머노이드 로봇의 안정성을 위해서는 종래의 PID 제어나 관절공간상에서의 CTM(Computed Torque Method) 제어보다는 작업공간상에서의 운동과 힘의 통합제어를 실시해야 한다. 이것을 위해서는 작업공간상에서의 엔드이펙트(end-effector, E-E)에 대한 동역학식과 자코비안(jacobian)을 도출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각종 동적파라미터의 정확한 동정이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3D CAD 모델링, MATLAB, 동역학 시뮬레이터를 활용하여 로봇 모델링, 동역학식과 동적 파라미터 추출, 운동과 힘의 실시간 통합제어 시뮬레이션등을 쉽고 일관되게 진행할 수 있는 플랫폼을 구현하였고 적용예로써 JS-10로봇을 택해서 그 효용성을 입증하였다.

Effects of Object- and Space-Based Attention on Working Memory (대상- 및 공간-기반 주의가 작업기억에 미치는 영향)

  • Min, Yoon-Ki;Kim, Bo-Seong;Chung, Chong-Wook
    •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 /
    • v.19 no.2
    • /
    • pp.125-142
    • /
    • 2008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pace- and object-based attention on spatial and visual working memory, by measuring recognition of working memory on the spatial Stroop task including two modalities of attention resource. The similarity condition of stimulus arrangement between working memory task and spatial stroop task was manipulated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s of space-based attention on spatial rehearsal during working memory task, while Stroop rendition was manipulated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s of object-based attention on object rehearsal during working memory task. The results showed that in a condition that stimulus arrangement was highly similar for the spatial working memory task and the spatial Stroop task, recognition accuracy of the spatial working memory was high, but i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the Stroop conditions. In contrast, the recognition accuracy of visual working memory in the incongruent Stroop condition was lower than that in the congruent Stroop condition, but i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the similarity conditions (25% vs. 75%). The results indicated that selective attention has effects on working memory only when resource modality of working memory is the same as that of selective atten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