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작업치료

검색결과 1,218건 처리시간 0.032초

원격재활 기반 작업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실행기능, 일상생활수행, 작업수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elerehabilitation Based Occupational Therapy on Executive Functi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Occupation Performance of People With Stroke)

  • 박성순;김수경;유두한;김희
    • 재활치료과학
    • /
    • 제10권1호
    • /
    • pp.115-127
    • /
    • 2021
  • 목적 : 본 연구는 원격재활에 기반 한 작업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실행기능, 일상생활수행, 작업수행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지역사회에 거주하며, 재활병원에 외래로 통원하는 환자 30명을 실험군과 대조군에 각각 15명씩 무작위 할당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실험군 집단과 실험군의 중재는 모두 주 3회 18회기로 실시하였다. 실험군 15명에게는 전통적 작업치료와 함께 더불어 가정에서의 원격재활 기반 프로토콜을 적용하였다. 대조군 15명은 전통적 작업치료만 실시하였다. 실험 참가자의 실행기능과 수단적 일상생활수행은 실행기능 수행평가 한국판(Executive Function Performance Test Korean version; EFPT-K)으로 측정하였고, 기본적 일상생활활동은 수정된 바델 지수(Modified Barthel Index; MBI), 작업수행은 클라이언트 중심의 과제수행을 측정하기 위해서 캐나다 작업수행 측정(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 COPM)을 이용하였다. 결과 : 중재 후 실험군과 대조군은 모두 실행기능, 수단적 일상생활활동, 작업수행에서 유의한 변화가 있었으나(p<.05), 기본적 일상생활수행에서는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집단 간 비교에서는 작업수행에서만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더 많은 증진이 나타났다. 결론 : 원격재활과 작업치료는 뇌졸중 환자의 실행기능, 수단적 일상생활수행, 작업수행의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작업치료에 병행된 원격재활은 뇌졸중 환자의 작업수행에 추가적인 효과가 있음을 근거로써 제시한다.

직무에 대한 임상실습 지도자와 신입 작업치료사의 견해 -의료기관에 근무하는 성인 작업치료사를 중심으로- (View of Occupational Therapy Fieldwork Supervisor and Novice Occupational Therapists in Job : Focusing on Adult Occupational Therapists that Work on Hospital)

  • 이춘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7호
    • /
    • pp.343-352
    • /
    • 2015
  • 본 연구는 작업치료사 직무에 대해 임상실습 지도자와 신입 작업치료사의 견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국내 58개의 의료기관에서 임상실습을 지도하는 117명의 작업치료사와 신입 작업치료사 104명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0 윈도우용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중위수와 범위를 구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임상실습 지도자는 실습생을 평가할 때 기본적인 소양과 매너를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둘째, 신입 작업치료사는 대부분의 직무에서 중요도는 10점, 수행도는 7점, 만족도는 6점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셋째, 직무에 대한 임상실습 지도자의 중요도는 중재계획의 문제 확인과 치료계획 수립이 1위와 2위로 나타났지만, 신입 작업치료사의 수행도는 2위를 제외한 5위 내의 4개가 모두 평가 직무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신입 작업치료사가 겪는 어려운 점을 해결하기 위해 임상실습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작업치료사의 비언어적인 목소리 구성요소가 대상자의 수용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Non-verbal Voice Components of Occupational Therapist on the Respondents's Attitude of Acceptance)

  • 홍용현;강새미;박수빈;임다인;한지윤;박지연;김은주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7호
    • /
    • pp.235-241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작업치료사의 비언어적인 목소리 구성요소가 대상자의 수용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지역보건지소를 방문하는 주민을 대상으로 현 여성 작업치료사의 목소리를 녹음하여 휴지(pause)와 속도(tempo)를 조절한 총 4개의 목소리 샘플을 무작위로 선정해 들려주었다. 그 후 목소리 구성요소에 따른 수용적 태도를 알아보기 위한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연구 결과 수용적 태도 중 "흥미가 느껴지는지" 항목에서는 어떠한 변수에서도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확인할 수 없었지만(p>.05), "전문성이 느껴지는지", "집중이 되는 지", "신뢰가 되는지", "이해가 되는지", "호감이 가는지"항목에서는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p<.05). 연구 결과를 통해 치료사의 비언어적인 목소리의 구성요소에 따라 수용적 태도가 변화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여가활동을 통한 작업치료가 노인 환자의 여가 만족도, 일상생활활동 수행 능력, 재활 동기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Leisure Activity, Based on the Model of Human Occupation, on Leisure Satisfacti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Rehabilitation Motivation in Elderly Patients: Implications for occupational therapy)

  • 백지수;양영애;신용일
    • 한국노년학
    • /
    • 제39권2호
    • /
    • pp.285-304
    • /
    • 2019
  • 본 연구는 여가를 통한 작업치료가 노인 환자의 여가 만족도, 일상생활활동 수행 능력, 재활 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 방법은 실험집단 10명, 통제집단 14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에는 인간작업모델(MOHO) 이론 및 Dattilo(2015)의 여가 교육 프로그램 4th Ed. 을 참고하여 구성한 여가를 활용한 작업치료를, 통제집단에는 전통적 작업치료를 실시하였다. 캐나다작업수행측정(COPM)과 일상생활활동 수행 능력 평가(K-ADL·K-IADL), 재활 동기 설문지(PAREMO)를 사용하여 여가 만족도, 일상생활활동 수행 능력, 재활 동기를 측정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중재 전, 후 비교와 각 변수 간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여가를 통한 작업치료는 여가 만족도, 재활 동기에 유의한 효과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p<.01). 둘째, 일상생활활동 수행 능력에서는 전통적 작업치료 중재 집단이 통계적으로 더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p<.01). 셋째, 기본적 일상생활활동, 수단적 일상생활활동 사이에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01). 마지막으로, 재활 동기-여가 만족도 사이에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01). 따라서 여가를 활용한 작업치료 중재는 노인 환자의 여가 만족도, 재활 동기에, 전통적 작업치료 중재는 노인 환자의 일상생활활동 수행 능력에 더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온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후속연구를 진행하여 효과의 일반화 및 지속성, 과정 분석의 객관성을 검증해 나가야 할 필요성이 있으며 구조화된 작업치료 중재 프로토콜에 대한 연구가 추가적으로 진행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복합부위통증증후군의 작업치료적 접근에 관한 고찰 (A Review of Occupational Therapy Approach for 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 최유임;박수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286-294
    • /
    • 2010
  • 복합부위통증증후군은 외상, 신경 손상, 골절, 뇌졸중, 척수 손상과 수술 등에 의해 부적합하게 발생하는 만성 신경병성 통증증후군으로, 질환의 경과, 치료법 등 모든 면에서 생물심리사회적 요인의 영향을 받는다. 작업치료에서는 생물학적, 심리적, 사회적 요소를 고려한 다학제적인 치료적 접근이 유용할 것이다. 생물학적 치료는 모든 영역에서의 독립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지의 기능적 사용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심리적 치료는 이완/바이오피드백 훈련과 인지행동치료를 제공하고, 사회적 치료는 레크리에이션 치료와 직업 재활을 실시할 수 있다. 복합부위통증증후군에 대한 작업치료는 다양한 전문 분야의 협조적인 치료과정을 통해 기능 회복과 통증 관리, 심리적 요인들의 회복을 이끌어 내야 할 것이다.

지역사회 작업치료사의 업무 특성 및 실태 조사 : 보건소 근무 작업치료사를 중심으로 (Job Characteristics and Status of Community Occupational Therapist : Focus on OTs in Public Health Centers)

  • 민경철;김은희;우희순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37-52
    • /
    • 2020
  • 목적 : 본 연구는 보건소에 근무하는 작업치료사를 대상으로 지역사회 작업치료사의 업무 특성 및 실태를 파악하여, 2020년 현재 지역사회 작업치료사에 관한 기초자료로서 활용하고자 시행하였다. 연구방법 : 전국 보건소에 근무하는 작업치료사를 대상으로 이메일을 통해 설문지를 배포하여 응답을 수렴하였다. 수집된 응답지 77부를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분석을 적용하였다. 결과 : 설문응답자는 여자(77.9%), 20-30대(96.1%)가 많았고, 주로 치매 관련 팀(72.7%)에서 근무하였으며 방문, 건강, 재활 관련 다양한 팀에 소속되어 있었다. 보건소 경력은 1-2년(67.5%), 계약형태는 시간선택제 공무원(61%)이 가장 많았고, 업무 강도는 보통-매우 높음(94.8%)이, 만족도는 보통-매우 만족(85.7%)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업무 고충은 예산 행정 업무(26.7%), 업무 외 고충은 계약에 따른 불평등(27.2%)이 가장 높았다. 주로 참여하는 업무는 치매 쉼터, 방문 작업치료, 그룹 작업치료이었으며, 난이도는 예산 행정, 치매 쉼터, 방문 작업치료가 높았다. 주요 치료 목표는 인지능력 향상, 가족 지지가 많았고, 빈도는 인지능력 향상, 가족 지지, 평가가 높았다. 보건소 작업치료 대상은 치매, 일반 노인, 성인 뇌병변 순이었으며, 일반인, 정신과 질환, 아동 관련 대상도 포함되어있었다. 주로 평가를 진행하는 직군은 간호사(35.7%), 작업치료사(33.7%)였으며, MMSE-DS, SGDS, SMCQ를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지역사회 작업치료사의 업무 특성 및 실태를 확인하였다. 치매 관련 사업 등 일부분에 집중되어 있는 작업치료 업무를 넘어선 전문적인 분야 개발 및 참여가 필요하며, 추후 커뮤니티 케어로 확장되고 있는 지역사회 재활의 흐름에 발맞춘 지역사회 작업치료사의 전문적인 역할 정립을 위한 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란다.

뇌졸중 환자의 작업치료 보험수가 분석 (Analysis of the Health Insurance Costs of Occupational Therapy in Stroke patients)

  • 김현진;김세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1920-1927
    • /
    • 2015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의 작업치료 보험수가를 분석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는 2010년 뇌졸중 유병자 중에서 의료기관에 입원하거나 외래로 작업치료를 받은 사람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작업치료 검사비용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2010년 보험청구자료를 주자료원으로 분석하였고, 작업치료의 종류는 2010년 작업치료보험수가를 토대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작업치료를 받은 인원은 입원의 경우 전문재활치료료가 가장 많았고 외래는 신경계기능검사료가 가장 많았다. 작업치료 비용은 전문재활치료료가 253억원으로 가장 많았으며, 병원종별 이용건수는 상급종합 및 종합병원이 18만건으로 가장 많았으나 총비용은 요양병원이 104억으로 가장 많았다. 보험종별로는 의료보험이 40만건으로 의료급여보다 많았으며 평균비용은 의료급여가 6만 1,626원으로 의료보험보다 더 많았다. 지역별 작업치료 이용건수와 비용은 서울과 경기가 가장 많았다. 본 연구는 전국 뇌졸중 환자의 자료를 이용하여 작업치료 비용을 분석한 최초의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연구 결과는 향후 보험수가 개선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학교 작업치료사의 근무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The Phenomenological Study on Work Experience of School-Based Occupational Therapists)

  • 배원진;정남해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46-55
    • /
    • 2022
  •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 작업치료사의 근무 경험에 대한 의미를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현상학적 연구이다. 참여자는 학교 작업치료사 7명으로 모두 여성이고, 평균 근무경력은 5년이었다. 이들을 대상으로 학교 작업치료사로서의 근무 경험에 관하여 일대일 인터뷰를 진행하였고, 부가적인 인터뷰 내용 확인은 이메일을 활용하였다. 인터뷰 내용은 대상자의 동의를 얻어 녹음하였고, 연구자가 녹음을 여러 번 듣고 전사하여 Colaizzi 연구 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결과 : 인터뷰 내용을 분석하여 2개의 주제와 10개의 하위 주제가 도출되었다. 주제로는 어려움과 희망이 도출되었다. 어려움에는 행정업무에 대한 부담, 물리적 환경 제약, 교사 또는 교직원의 인식 부족, 불안정한 고용, 학교에 근무하는 '의료기사' 작업치료사가 있었고, 희망에는 아동에 대한 사명감, 같은 목표를 가진 팀원, 학교 작업치료를 원하는 아동들, 교사의 만족, 작업치료발전에 대한 책임감이라는 하위 주제가 있었다. 결론 : 특수교육대상자에게 질적으로 향상된 학교 작업치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학교 작업치료에 대한 제도적 개선과 정책적 지원이 마련되어야 한다.

부산·울산·경남 작업치료사의 지역사회중심재활에 대한 인식도 조사 및 활성화 방안 (A Study on Recognition and Activation Plan of Occupational Therapists for Community Based Rehabilitation in Pusan·Ulsan·Gyeongnam Province)

  • 김성례;한승협;김지영;박용광;임애진;한윤희;감경윤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11
    • /
    • 2012
  • 목적 : 부산 울산 경남 지역의 장애인복지관과 병원에서 근무하는 작업치료사를 대상으로 지역사회중심재활에 대한 인식도와 필요성을 조사하여 향후 지역사회중심재활에서 작업치료사의 역할을 구축하고, 지역사회중심재활 참여에 대한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2010년 12월 1일부터 2011년 5월 4일까지 한국장애인복지관협회에 등록된 부산 울산 경남 지역에 소재한 장애인복지관에 근무하는 작업치료사 23명과 부산 지역에 소재한 병원에서 근무하는 작업치료사 49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통계분석은 SPSS12.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결과 : 지역사회중심재활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인식도와 필요도는 두 집단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5). 또한 지역사회중심재활 중 작업치료사가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영역에 대해 재활상담 및 정보제공, 가정방문재활치료, 직업재활, 재활기구대여, 장애예방교육으로 조사되었으며, 지역사회중심재활에서 작업치료사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인력 수급과 국가적 차원의 법적/제도적 장치 마련과 관련 전문가와의 팀웍 조성 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는 지역사회중심재활에 대한 작업치료사들의 인식도와 작업치료사들의 필요성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현재 시행되는 기관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지역사회중심재활에 있어 작업치료의 활성화를 위한 법적/제도적 장치 마련이 시급하다.

  • PDF

특수교육지원센터에 기반을 둔 작업치료서비스 전문가의 중재모델 사용 (Using an Intervention Model for Occupational Therapy Service Specialist Based on a Special Education Supporting Center)

  • 김세연;김수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225-234
    • /
    • 2011
  • 본 연구는 교육기반 작업치료 서비스 전문가가 사용하는 중재모델, 중재장소와 중재시간, 중재모델 선택시 고려사항, 중재모델과 중재 영역 간에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특수교육지원센터에 근무하고 있는 작업치료사와 작업치료를 전공한 치료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발송하고, 회수한 총 46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학생의 수행 기술을 향상시키는데 초점을 둔 개별치료 모델을 자주 사용하였다. 둘째, 아동수행을 향상시키는 중재모델과 다른 팀 전문가에게 작업치료의 중요성을 인식시킬 수 있는 모델로 개별 치료를 선택하였다. 셋째, 중재모델을 선택하는 요인으로 수행구성요소의 결함과 팀 책임자의 마인드를 들었다. 넷째, 중재모델의 효과성에 대한 학교작업치료사의 의견과 적용시간, 중재 영역과 중재모델 적용시간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는 나타나지 않았다.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학교기반 작업치료사는 여전히 의료모델에 가까운 중재모델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나 학교기반에 효과적인 중재모델을 개발하고 적용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라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