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작업자 안전

Search Result 957,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RFID시스템환경에서의 안전성평가 필요성

  • Park, Ji-Yeong;Lee, Jong-Tae;Jo, Am
    • Proceedings of the Safety Management and Science Conference
    • /
    • 2008.11a
    • /
    • pp.259-265
    • /
    • 2008
  • 최근 전자태그(RFID :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를 부착하여 비접촉식으로 다 양한 물품의 정보를 받아 물품의 추적 및 정보확인이 가능한 RFID 시스템을 작업현장에 도입/확산시키고자하는 연구들이 진행되어지고 있다. RFID 시스템은 무선인터페이스 환경에서 태그는 안테나에 정보를 담은 주파수를 보내고 있으며, 이 환경에서의 작업자는 주파수에 노출되어있다. 따라서 작업자 주파수에 노출되는 RFID 시스템 환경 에서 주파수가 작업자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한 안전성평가가 필요하다.

  • PDF

Effects of Self-efficacy Beliefs on Industrial Accidents Associated with Manufacturing Companies (안전효능감과 산업재해의 관계에 대한 분석 -제조업을 중심으로-)

  • Park, Dong-Hyun;Im, Su-Jung;Choi, Soon-Young
    • Journal of the Korea Safety Management & Science
    • /
    • v.13 no.1
    • /
    • pp.11-22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자기효능감(Self-efficacy belief)과 산업재해의 관계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먼저 연구의 예비 단계에서는 크게 세 그룹 즉, 현장의 작업자, 현장 및 안전관련 자문업체에 근무하는 안전 관리자, 그리고 산업안전에 관계되는 정부기관 종사자 등을 대상으로 집중면접(Focus group interview)을 실시하였고, 이 집중면접의 결과를 근거로 하여 연구의 본 단계에서 적용될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본 설문지는 산업안전, 산업안전교육프로그램의 평가, 산업안전교육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 자기만족, 스트레스, 산업재해율, 그리고 인구사회학적요인관련 정보 등과 관련되는 효능감을 평가 하도록 설계되었고, 총 917명(현장작업자: 542명, 안전 관리자: 210명, 정부기관종사자: 165명)에게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주요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작업자 그룹의 경우에 안전관련 효능감과 관련한 세 가지 요인(자기관리, 사회적 지원, 환경관리)은 해당 회사의 산업재해율과 부(negative)의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안전효능감이 높은 현장 작업자는 낮은 현장작업자들과 비교하여 안전관련 수칙을 더 잘 지키고, 자기 인생에 대한 만족도가 더 높으며, 스트레스의 정도가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안전관리자의 경우에 안전효능감은 안전교육 프로그램의 효율성과 정(positive)의 상관관계를 그리고 해당회사의 산업재해율과는 부(negative)의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정부기관 종사자의 경우에는 경력이 길고 높은 지위에 있을수록 산업안전관리관련 안전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Location-based smart hard hat for deforestation workers (산림 벌목 작업자간 측위 기반 스마트 안전모)

  • Park, Changsu;Kang, Yunhee;Kim, Yuri;Kim, Jilrea;Park, Subin;Kang, Myungju
    • Journal of Platform Technology
    • /
    • v.10 no.1
    • /
    • pp.3-10
    • /
    • 2022
  • In high-risk workplaces where communication is not possible, such as deforestation, it is necessary to use equipment that monitors the worker's situation in real time and obtains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worker's location in case of an emergency. This paper analyzes the development and demonstration experiments of smart hard hats for deforestation workers to maintain a safe working environment. The developed smart helmet identifies the location of the worker based on the UWB signal for location estimation, and it is necessary to keep the distance between the workers not too close. UWB, Gyro, and LoRa are used to communicate even in the communication shadow area. It is used to provide a safe working environment such as improved construction to reduce worker risks and risks in forest working environments.

Implementation of USN based Personal Safety Belt Monitoring System (USN 기반 개인 안전벨트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현)

  • Jeong, Seon-Jae;Yim, Jae-Hong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9 no.3
    • /
    • pp.724-730
    • /
    • 2015
  • The safety-related accident in which the field operators of all sorts of industrial sites don't fasten the seat belt properly and which it generates is the tendency that it increases constantly every year. By sounding the announcement sound in case the operator did not fasten the seat belt and the person seat belt monitoring system proposed in this paper progressed the work the operator fastened the seat belt properly. In addition, at the same time with that, since the administrator monitored the seat belt wearing or no of the operators on a real time basis the safety-related accident which did not wear the safety equipment properly and which it generates was prevented.

Suggestion of Safety Vest Prototype according to Work Type for Construction Workers (건설 작업자의 공종별 안전조끼 프로토타입 제안)

  • Lee, Jeong-Hoon;Lee, Jae-Yong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 /
    • v.23 no.6
    • /
    • pp.863-873
    • /
    • 2023
  • This research explores the efficacy of safety vest colors at construction sites to enhance worker safety. Utilizing the Munsell color system and the Korean Standard Color Analysis program(KSCA), the study developed a prototype safety vest tailored to specific types of construction work. A safety vest with a color contrasting the site's environment significantly improves worker visibility and intuitiveness in identification, potentially reducing safety incidents. The study determined the optimal color specifications(hue, value, chroma) for safety vests in various construction roles, such as 10GY, 8, 8 for rebar placement, 8.75B, 7, 8 for Euroform, 3.75B, 2, 4 for Gangform, and 6.25BG, 5, 10 for steel erection. Feedback from construction experts on these prototypes, particularly regarding the safety vests for rebar placement and steel framework, was overwhelmingly positive(90% approval). Consequently, the proposed safety vest color scheme is deemed highly effective.

To protect the safety of port welders Smart Welding Helmet (항만 용접 작업자의 안전을 지켜주는 스마트 용접 헬멧)

  • Yu-Ri Son;Yun-Jeong Shin;Ha-Yeon Lee;Sang-Jin Im;In-Soo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3.11a
    • /
    • pp.1074-1075
    • /
    • 2023
  • 용접작업은 다양한 산업에서 이루어지는 중요한 작업인데 반해, 여러 가지 위험요소들로 인해 작업자의 건강에 위협을 가할 수 있다. 또한, 용접 작업자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안전점검인력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은 항만 용접 작업자의 안전을 위한 스마트헬멧 제작과 연동 APP을 개발하여, 체계적으로 작업자의 건강을 관리하고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Development of a Parts Evaluation Framework Using a Construction Site Digital Platform (건설현장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한 위험성평가 프레임워크 개발)

  • Shin, Yeon-Cheol;Moon, Yoo-Mi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11a
    • /
    • pp.101-102
    • /
    • 2023
  • 건설 현장에서 발생하는 사고가 전체 산업재해의 약 20~30%로 높은 비율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위험성평가를 통해 위험을 감지하고 대책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현장의 모든 관리자 및 근로자들이 참여하고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근로자들의 안전한 작업환경을 조성하고, 건설현장 근로자의 안전의식과 안전문화를 형성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하기 위한 위험성평가 프레임워크 개발에 있다. 이를 통해 종합적인 안전관리를 실현하고, 안전한 작업환경을 조성하며, 근로자의 안전의식을 높이고 안전문화를 정착시키는 것이 주요 목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하여 건설현장에 적합한 위험성평가 프레임워크를 개발하고자 한다. 이 프레임워크를 통해 안전한 작업환경을 조성하고, 건설현장 근로자의 안전의식과 안전문화를 형성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안전한 작업환경 조성과 안전사고 미연에 예방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측가능하다.

  • PDF

Development worker bands for industrial safety (산업 현장 안전을 위한 작업자 밴드 개발)

  • Lee, Se-Hoon;Moon, Hyo-Jae;Tak, Jin-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6.07a
    • /
    • pp.237-238
    • /
    • 2016
  • 대부분의 작업환경에서는 여러 가지 위험요소로 인한 안전사고가 자주 발생한다. 추락이나 작업환경의 붕괴 등 안전사고 발생시, 작업자가 관리자에게 응급상황을 전해야하지만, 사고로 인해 작업자가 원활하게 몸을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응급상황을 전달하는데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블루투스로 스마트폰에 응급상황을 전할 수 있는 웨어러블 단말기와 스마트폰의 WI-FI나 LTE망을 사용하여 작업자의 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안전 시스템을 설계한다.

  • PDF

Development of Safety Equipment for Protection of Trackside Personnel Maintaining Using Radio Frequency Equipment (선로변 작업자 철도교통 사상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설비 개발)

  • Hwang, Jong-Gyu;Jo, Hyun-Jeong;Yoon, Yong-Ki;Kim, Yong-Kyu;Jang, Yeong-Jun;Ko, Yeong-Hwoa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 /
    • v.12 no.5
    • /
    • pp.738-743
    • /
    • 2009
  • Personnel maintaining or repairing the railway tracks or signaling device around tracks may experience the sensory disorder when they do routine works for many hours and they may not recognize the leading to train accidents. In order to prevent such train accidents that may occur because railway track workers are unable to recognize the approaching train, a safety-equipment is developed to make the approaching train send signals. We developed the new alarm equipment for protection of trackside maintenance workers using radio signals.

Analysis on Consciousness of Shifting Responsibility triggering Safety accidents at Construction Sites (건설현장 안전사고를 유발하는 책임전가의식 분석)

  • Oh, Gyusun;Kim, Hyunbin;Han, Sangwon;Hyun, Changtaek;Cha, Yongwoon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19 no.6
    • /
    • pp.55-64
    • /
    • 2018
  • In spite of many previous studies conducted to prevent safety accidents at construction sites, the frequency of safety accidents has not decreased. And recently, a lot of research has been done to analyze the causes of the accidents resulting from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behaviors of managers or workers, and eliminate them. However, despite these efforts, safety accidents occur consistently as managers and workers shift their responsibilities for the safety accidents onto someone other than themselves.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safety accident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nsciousness of shifting responsibility among managers and workers and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factors influencing the consciousness of shifting responsibility. In addition, it proposed the quantitative levels of the consciousness of shifting responsibility based on the survey of managers and work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managers tend to the shift responsibility onto workers, whereas workers the shift responsibility onto managers. It was additionally demonstrated that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the consciousness of shifting responsibility and the factors influencing it.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improve the safety awareness among managers and workers and make contributions in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aspects of construction safety manag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