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작업능률

검색결과 214건 처리시간 0.03초

수준망(水準網) 정보(情報)시스템의 개발(開發) (The Development of Level Net Information System)

  • 이석찬;조규전;이창경;최병길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11권2호
    • /
    • pp.39-49
    • /
    • 1991
  • 수준측량자료를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정보시스템을 제안한다. 이 시스템은 입력, 조정, 질의/응답 모듈로 구성된다. 입력모듈은 체인을 기초로 하여 수준측량자료관리에 적합하게 설계되었다. 조정모듈은 최소제곱법에 의해 측정값을 조정하며 Baarda의 자료탐색법에 의해 과대오차를 검정한다. 질의/응답 모듈은 사용자에게 수준점의 표고와 그 위치를 제공한다. 이 시스템은 수준측량자료의 특성을 응용하여 까다로운 반복작업을 줄임으로써 작업능률을 향상시켰다. 필요한 경우, 특수한 목적을 수행하는 단위모듈을 부가하여 시스템을 쉽게 확장 할 수 있다.

  • PDF

금속 벨로우즈 용접의 결점 탐지를 위한 서포터 벡터 머신의 이용 (Use of Support Vector Machines for Defect Detection of Metal Bellows Welding)

  • 박민철;변영태;김동원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11-20
    • /
    • 2015
  • 기존 벨로우즈의 용접 불량은 현미경을 이용한 작업자의 수작업과 육안확인으로 진행되고 있어 효율과 능률면에서 많은 부작용이 있다. 본 논문에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서포트 벡터 머신을 이용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서포트 벡터 머신을 이용하여 작업자의 경험적인 방법을 대체하고, 이미지 처리 과정에서 작업자로부터 발생하는 불규칙성을 극복할 수 있다. 또한 현미경과 3D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통하여 제품불량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자동화 측정 장치로부터 얻어진 실험결과를 통하여 용접불량은 허용되는 에러 범위 아래로 개선됐음을 알 수 있다.

최외곽공 주변암반의 발파굴착 손상영역 저감에 관한 수치해석적 연구 (Numerical Study on the Reduction of Blast-induced Damage Zone)

  • 박세웅;오세욱;민경조;;조상호
    • 화약ㆍ발파
    • /
    • 제37권3호
    • /
    • pp.25-33
    • /
    • 2019
  • 지하광산의 갱내 굴착 과정에서 폭약을 사용하여 발파하는 경우, 최외곽공의 폭력을 조절하여 외부 암반의 손상도 감소와 원활한 파단면을 형성하는 작업은 종업자의 안전 및 작업능률을 향상시키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본 연구는 2차원의 동적파괴과정해석기법인 DFPA-2D 코드를 사용하여 단일 장약공에서 발파 시, 장약공의 직경과 디커플링 지수에 따라 생성되는 균열손상범위를 수치해석적으로 확인하였고 Sweden의 발파손상영역 경험식을 이용하여 암반손상범위를 예측하고 DFPA 해석결과와 비교하였다. 추가로 DFPA코드를 지하채광발파의 최외곽공 발파균열예측에 적용하여 파단면형성 및 발파손상발생 메커니즘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농업인 건강 및 안전을 배려한 인간공학적용에 관한 연구동향 (A Review of Studies on the Farmer's Safety and Health in Korea on the ergonomic perspective)

  • 곽효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7호
    • /
    • pp.4165-4176
    • /
    • 2014
  • 농업의 유구한 역사와 달리 농작업자에 대한 배려와 관심이 다소 뒤쳐진 현실에서 농작업에서 인간공학 적용의 현재 상태를 점검하였고 향후 농작업자들의 안전보건과 작업능률 향상을 위하여 진전된 연구가 필요한 항목을 제언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웹과 관련 학회로부터 2000년부터 2014년 현재까지 발표된 자료를 수집하였다. 검토 결과, 농작업장비설계분야 26.4%, 안전관리분야12.1%, 보건건강분야55.0% 그리고 제품설계분야 6.4%로 분류되었다. 4개 범주 중에서 보건건강분야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 반면 제품설계분야가 가장 적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농작업장비설계분야는 편이장비의 보급, 보건 건강관리분야는 작업관련 근골격계질환의 발생과 예방에 관한 연구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향후, PL가능성. 작목, 작업형태별 적정 작업시간과 휴식시간의 산정과 같은 직무설계, 방한작업복 및 작업보호구 설계에 관한 연구가 보강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시변 슬라이딩 모드 제어기를 이용한 모형 자동 굴삭기 개발 (Development of a Miniaturized Automatic Excavator with Time-Varying Sliding Mode Controller)

  • 최정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8호
    • /
    • pp.3391-3397
    • /
    • 2011
  • 굴삭기는 끝단의 작업 장치를 바꿈으로써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작동되는 굴삭기는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그 작업 능률이 차이가 나게 되므로 자동 굴삭기 시스템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모형 굴삭기를 이용하여 자동 굴삭기 시스템을 제작하였다. 제작된 모형 굴삭기 시스템의 구동을 위해서 두 대를 컴퓨터를 이용하였다. 한 대의 컴퓨터는 작업 지령을 전달하기 위해 사용하고 다른 한 대의 컴퓨터는 굴삭기의 피드백 제어를 위해 이용하였다. 두 컴퓨터 사이의 데이터는 무선 통신을 이용하였다. 굴삭기의 피드백 제어시스템 구성을 위해서는 시변 슬라이딩 모드 제어기를 이용하여 구성하고 실험을 통해 제안된 모형 굴삭기의 성능을 검증하였다.

선외기 원격제어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mote Control System for Outboard Engine)

  • 정갑동;김현수;안병원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29-234
    • /
    • 2007
  • 현재 근해어업은 기피 산업으로 어민들의 고령화 및 감소로 인력을 구하기 어렵고 어로활동을 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2명 이상이 1조로 작업이 진행된다. 따라서 숙련되지 못한 사람들이 조를 이루어 작업을 할 경우 의사전달에 시차가 생기고 한사람은 배의 조종에 매달리므로 작업의 능률이 떨어진다. 따라서 레저나 소형어선에서 1인이 선박을 조종하면서 작업이나 레저를 즐길 수 있는 선외기의 원격제어 시스템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작업의 효율을 높이고 인력을 절감 할 수 있는 선외기의 원격제어시스템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선외기는 엔진, 조타기, 정 역전 및 중립 기어박스가 하나의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다. 소형 선외기에 이 세 가지의 제어를 직류전동기를 이용하여 위치제어와 속도제어를 하였고, 마이크로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조타기와 엔진회전수 제어를 프로그램화 하여 어민들이 작업을 하면서 동시에 원하는 조종을 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설계 제작하였다. 시운전결과 전속에서 좌 우현 조타 성능이 명령대로 잘 움직였다.

  • PDF

일본잎갈나무 간벌림(間伐林) 벌목작업(伐木作業) 연구(硏究) (A Felling Work Study for Thinning Japanese Larch)

  • 마상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3권1호
    • /
    • pp.14-20
    • /
    • 1986
  • 일본잎갈나무 일차간벌림(一次間伐林)에서 간벌장재(間伐長材)의 매목별(每木別) 벌목(伐木)-소운반(小運搬)까지 공정(功程)을 알기 위하여 1인(人) 단독(單獨)으로 기계톱벌목(伐木)-도끼가지치기-인력소운반작업(人力小運搬作業) 조직(組織)을 투입(投入)하였다. 작업장소(作業場所)는 임업기계훈련원(林業機械訓練院) 27 임반(林班)에서 영림기능인(營林技能人) 2급자격자(級資格者)에 의거 작업(作業)을 시키고 69 본(本)을 조사(調査)하였다. 동연구(同硏究)의 또 하나의 주요목적(主要目的)은 지역별(地域別) 공정표제작방법(功程表製作方法)을 도입(導入) 보급(普及)시키는데 있었다. 시간(時間)은 25/100분(分) 간격으로 관측을 하였으며 매 싸이클별 작업자(作業者)者의 능률(能率)을 사정하였다. 총 작업시간은 8.11시간(時間)이며 이 중 간벌작업(間伐作業)이 90%, 제벌작업(除伐作業)이 10%을 점하고 있다. 시간유형별(時間類型別)로는 순작업시간(純作業時間)이 82.7%, 일반작업시간(一般作業時間)이 12.3%이고 측정불필요시간(測定不必要時間)이 4.9% 이었다. 간벌(間伐)을 위한 순작업시간(純作業時間)은 5.9시간(時間)이며 이 중 간벌목(間伐木)으로 이동시간(移動時間)이 20.9 %, 벌목(伐木)이 7.1%, 가지치기가 40.5%이고 집재로(集材路)까지의 운반(運搬)이 11.5%이었다. 기계톱의 순작업시간(純作業時間)은 0.94시간(時間)(이 중 제벌작업(除伐作業)이 0.2시간(時間))이며 가동시간(可動時間)이 66%, 공전시간이 34%를 점하고 있었다. 직경급별(直徑級別) 공정(功程)을 얻기 위하여 회귀식(回歸式)을 구하고, 작업원(作業員)의 능률(能率)은 130%로 사정하여 기본시간(基本時間)과 일반시간(一般時間)을 구하였던 바 표(表) 1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표(表) 1은 활용시(活用時) 복잡할 것으로 예상하여 공정표(功程表)를 표(表) 2와 같이 제안(提案)하여 실용화(實用化) 되도록 하였다. 작업관리(作業管理)를 합리화(合理化)시키기 위해서는 상기(上記)와 같은 공정표제작방법(功程表製作方法)의 도입(導入)은 바람직한 결과를 주게 될 것이다.

  • PDF

기술논문 : 다목적 실용위성 1 호의 임무계획 및 자동 명령계획표 생성기 개발 (Technical Papers : Development of KOMPSAT-1 Scheduling & Automatic Command Plan Generator ( KSCG ))

  • 김해동;최해진;김은규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39-146
    • /
    • 2002
  • 다목적 실용위성 1호의 초기운영과 정상임무운영을 위한 임무 및 명령계획 작업은 MAPS(Mission Analysis & Planning Subsystem)의 임무 및 명령계획 S/W를 이용하였다. 시간이 지날수록 요구되는 임무양이 증가하면서 수동작업이 많아 요구되는 기존 S/W를 이용하여 임무운영을 수행할 경우 안정성이 크게 저하되었으며, 자동 처리과정이 부족하여 결과검증에 소모되는 시간도 증가하였다. 다목적 실용위성 관제국은 이를 개선하고자 보다 신속하고 안전하게 임무 및 명령계획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중요 과정들을 자동화하여 임무운영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새로운 임무 및 명령계획 S/W를 개발하였다. 본 논문은 다목적 실용위성 1호의 임무계획 및 자동 명령계획표 생성기(KSCG, KOMPSAT-1 Scheduling & Automatic Command Plan Generator)의 개발내용과 실제 운영결과를 기술하였다. KSCG를 사용한 결과, 작업능률 향상과 임무운영 안정성을 획기적으로 높였다.

사용자 센서 우선순위 설정 및 작업 관리 시스템 (User Sensor Priority Configuration and Work Management System in IoT Environment)

  • 정도형;나기;최형욱;장기만;정회경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6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603-604
    • /
    • 2016
  • 최근 스마트 기기의 보급 및 상용화로 인하여 IoT(Internet of Things) 환경에 대한 변화가 지속되고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증가하여 개개인의 특성에 맞춤화된 서비스가 요구된다. 그러나 기존 시스템들은 개발자가 정의해놓은 규칙에 따라 수동적으로 작업이 수행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일반화된 서비스만 제공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사용자 설정 및 작업 관리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각 센서의 우선순위를 정의하고 이에 따른 센서들을 관리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개인의 특성에 맞는 작업을 수행하게 되고 보다 효율적인 작업 능률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작업관련성을 고려한 U라인 밸런싱+

  • 김우열;김용주;김동묵
    • 대한안전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안전경영과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73-80
    • /
    • 2002
  • 본 연구는 U자형 생산라인(U라인)에서의 라인밸런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유전알고리즘을 제시한다. U라인에서는 사이클 타임 내에 제품이 들어가는 방향과 나오는 방향의 작업을 한 작업자가 수행 할 수 있어서, 재공품 수량을 일정하게 유지한다거나 작업부하를 평활화 하는 등의 라인관리가 기존 직선라인에 비해 용이하다. U라인은 JIT(Just-ln-Time)생산 시스템에서 흔히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U라인에서 사이클 타임이 고정되었을 때 작업장 또는 작업자의 수를 최소로 하면서 동시에 작업장에 할당된 작업들 간의 관련성을 최대화하는 라인밸런싱 문제를 다루었다. 라인밸런싱에 관한 기존 연구는 대부분 직선라인에 관한 것으로 U라인의 장점을 충분히 활용하지 못한다. 특히, 라인의 작업장의 수를 최소화하는 문제는 많은 대안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작업관련성을 고려하여 해를 구하는 기법에 관한 연구는 아직 미미한 실정이다. 실제 조립라인에서는 가능한 한 관련된 작업들을 동일한 작업자에 할당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작업편성은 작업자의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유전알고리즘은 자연계의 적자생존과 생물학적 진화과정을 모방한 탐색기법으로 조합최적화 문제에 효과적인 기법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유전알고리즘을 이용하여 U라인에서 작업관련성을 고려한 라인밸런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법을 개발하였다. 문제의 목적에 적합한 개체의 평가함수가 제시되었으며, 개체의 형질을 효과적으로 자손에 유전할 수 있고 유전 연산이 용이한 개체의 표현방법과 개체의 해석방법이 제시되었다. 컴퓨터 실험을 통하여 개발한 알고리즘의 성능을 보였다.월 초순부터 중순에 각각 최고 성기를 나타내었다. H. papariensis의 암컷과 수컷의 발광양상을 분석하고자 정지발광과 구애 발광을 구분하여 조사하였고 각각의 발광지속시간과 발광주기를 구분하여 측정하였다. 수컷의 발광지속시간은 정지발광(0.12초)보다 구애발광(0.17초)에서 1.4배 증가하였으며 암컷의 발광지속시간은 정지발광(0.15초)보다 구애발광(0.19초)에서 1.5배 증가하였다. 발광주기는 수컷에서 정지발광(1.26초)보다 구애발광(1.12초)에서 0.88배 감소하였고, 암컷에서 정지발광(2.99초)보다 구애발광(1.06초)에서 0.35배 감소하였다. 발광양상에서 발광주파수는 수짓의 정지발광에서 0.8 Hz, 수컷 구애발광에서 0.9 Hz, 암컷의 정지발광에서 0.3 Hz, 암컷의 구애발광에서 0.9 Hz로 각각 나타났다. H. papariensis의 발광파장영역은 400 nm에서 700 nm에 이르는 모든 영역에서 확인되었으며 가장 높은 첨두치는 600 nm에 있고 500에서 600 nm 사이의 파장대가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발광양상과 어우러진 교미행동은 Hp system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즉 채널 액세스 확률을 각 슬롯에서 예약상태에 있는 음성 단말의 수뿐만 아니라 각 슬롯에서 예약을 하려고 하는 단말의 수에 기초하여 산출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이의 성능을 분석하였다. 시뮬레이션에 의해 새로 제안된 채널 허용 확률을 산출하는 방식의 성능을 비교한 결과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보다 상당한 성능의 향상을 볼 수 있었다., 인삼이 성장될 때 부분적인 영양상태의 불충분이나 기후 등에 따른 영향을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