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작물재배

Search Result 4,785,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An Optimum Light Environment Design of Double-Stack Bed System by using Genetic Algorithms (유전알고리즘을 이용한 2단재배 온실의 광환경 최적화)

  • Kim, Kee-S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 /
    • v.53 no.6
    • /
    • pp.93-100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자연광 이용 온실의 재배면적을 최대화 하기 위하여 작물생강 모델링, 태양의 위치 및 일사량을 이용하여 2단재배 시스템을 위한 한계일사량 산정 모델, 2단재배 광환경 분성 모델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광환경의 변화에 따른 작물 생장 지체시간을 이용하여 작물의 생산량이 최대가 될 수 있는 한계 일사량의 값을 산정하여 2단 재배 시스템을 최적 설계 하였다. 2단재배 시스템의 최적설계를 위한 분석결과 총 생산량이 약 3.669 kg (d.m.)${\cdot}m^{-2}{\cdot}yerar^{-1}$이며, 기존 재배방식보다 130.2 %의 생산 증대 효과를 잦는 것으로 계산 되었다. 이와 같은 다단재배 시스템은 온실 내부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제배면적 대비 에너지 투입 비용을 절감 할 것으로 기대 된다.

시설채소 농한기 소득을 올린다. -고추$\cdot$오이의 반촉성재배

  • 신현욱
    • The Bimonthly Magazine for Agrochemicals and Plant Protection
    • /
    • v.5 no.12
    • /
    • pp.70-80
    • /
    • 1984
  • 겨울철 농한기에 놀고있는 노동력을 활용하여 수익성이 높은 소득작물을 재배하는 것이 농가소득을 높이는 지름길이다. 따라서 겨울철에 농가에서 손쉽게 재배할 수 있는 고추를 오이의 반촉성재배 기술을 익혀 농가소득을 올리는 것도 뜻있는 일이라 하겠다.

  • PDF

Studies on management of effective temperature and humidity in greenhouse at summer season (하절기 효율적인 하우스 온도 습도 관리에 관한 연구)

  • 우영회;남윤일;송천호;김형준;김동억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Conference
    • /
    • 1994.05a
    • /
    • pp.96-97
    • /
    • 1994
  • 하절기 시설재배는 35$^{\circ}C$가 넘는 극한고온으로 인하여 작물재배가 거의 불가능하며 작물재배를 하더라도 생산한 농산물은 그 품질이 열악하여 상품으로서의 가치가 낮아 문제가 되고있다. 따라서 하절기 시설작형은 대부분 휴작을 하므로 시설의 주년이용과 고도활용에 지장을 초래하고있다. 하절기에 국내의 온도하강은 주로 수동적이고 소극적이면서 비용이 적게드는 흑색차광망이나 자연환기에 주로 의존하고있으나 그 효율성은 상당히 낮아 문제가 되고있다. (중략)

  • PDF

Fog nozzle - Greenhouse Cooling System Analysis (포그노즐을 이용한 온실냉시스템 분석)

  • 김영중;유영선;윤진하;오권영;김승희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Conference
    • /
    • 1997.05a
    • /
    • pp.104-111
    • /
    • 1997
  • 하절기 우리 나라의 온실내 온도는 4$0^{\circ}C$ 또는 그 이상으로 육박하고 있어서 작물 재배에 적합하지가 않다고 말한다. 채소류중에서 비교적 고온에서도 견딜 수 있는 가지과와 박과의 경우 생육 적기온은 20 ~ 28 $^{\circ}C$ 범위에 있으며 최고 한계 온도는 35$^{\circ}C$ 정도이므로 여름철 온실내의 환경은 대체로 작물 재배에 적합하지가 않다고 할 수 있다$^{2)}$ . 또한, 고온으로 인한 재배작물의 품질저하도 고온기 작물생산에 심각한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중략)

  • PDF

채소작물 병해방제 집중탐구 (5)호박 - 점차 발생이 늘고 있는 문제 병해들 - 잿빛곰팡이병$\cdot$균핵병$\cdot$검은별무늬병$\cdot$세균병해$\cdot$모자이크병

  • 김충회
    • The Bimonthly Magazine for Agrochemicals and Plant Protection
    • /
    • v.13 no.2 s.107
    • /
    • pp.76-83
    • /
    • 1992
  • 호박은 비교적 병해가 적은 작물로 알려지고 있지만 사실은 호박의 재배면적이 일반화되지 않아서 그런 느낌이 들 뿐이지 시설재배단지에서는 어느 작물 못지 않게 병해의 발생이 심하다. 우리나라에서 호박에 발생하는 병해는 모두 12가지가 알려지고 있다. 그러나 호박재배에서 가장 큰 골칫거리 병해는 흰가루병, 노균병, 잿빛곰팡이병, 균핵병, 검은별무늬병, 세균성반점병, 바이러스병등 수종에 불과하다. 이외에 역병, 덩굴마름병, 탄저병, 무름병등이 발생하고 있으나 위에 열거한 병에 비하여 일반적이지 못하며 피해도 크지 않다.

  • PDF

Guideline for Basic Standard for Organic Rice Cultivation (유기벼 재배 기본규약의 기준)

  • Jeong, Jin-Young
    • Korean Journal of Organic Agriculture
    • /
    • v.10 no.4
    • /
    • pp.1-7
    • /
    • 2002
  • CODEX의 유기농업기준에 대하여 기본적으로는 공감하고 있으나, 아시아적 기후의 특성과 농가당 소유면적이 유럽이나 미주$\cdot$오세아니아 지역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너무 협소한 점을 감안하여 아시아의 유기벼 재배농가들에게 과중한 부담을 주지 않을 수 있는 선에서의 유연성을 부여해야 할 것이다. 윤작이나 휴경의 경우, 지역에 따라 벼-딸기 등의 과채류-벼-토마토 등 과채류-벼 행태나, 병-보리 또는 호밀 등의 사료 또는 녹비작물-벼-자운영 등의 사료 또는 녹비작물-벼 행태의 윤작 또는 녹비작물 재배형태의 윤작 또한 유기재배로 인정해야 할 것이다. 완충지배 역시, 일정거리 보다는 경계선상에 주작물보다 상당히 키가 큰 다른 식용이나 녹비용 작물을 재배하면서 이웃 관행농장으로부터의 영농화학물질의 비산을 막아줄 수 있는 조처만으로도 유기재배 인증획득이 가능토록 해야 할 것이다. 제체작업 또한 오리를 이용할 경우, 기본적인 제초효과는 물론 해충포식이 이루어지며, 배설물에 의한 자연적인 시비가 원활히 이루어지게 볏대를 튼튼하게 자극시켜주며, 고랑사이의 공기유통 촉진과 흙탕물에 의한 잡초 발아억제 효과 등 다양한 부대효과를 올리 수 있게 된다. 왕우렁이 제초법 또한 논의 건조와 백로 등 조류의 접근만 차단해 주면 완벽한 제초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불시 경운에 의한 제초법도 유기농업 실천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최선의 방안으로 활용되고 있는 중이다.

  • PDF

Effect of Crop Rotation on Control of Clubroot Disease of Chinese Cabbage Caused by Plasmodiophora brassicae (윤작작물 재배에 의한 배추 뿌리혹병 방제 효과)

  • Kim, Jeom-Soon;Lee, Jeong-Tae;Lee, Gye-Jun
    • Research in Plant Disease
    • /
    • v.15 no.3
    • /
    • pp.242-247
    • /
    • 2009
  • To select rotation crops for control of clubroot of Chinese cabbage, potato, corn, soybean, onion and groundsel were planted in the field infected with clubroot pathogen (Plasmodiophora brassicae) in highland area in 2000. In comparison of economical efficiency among rotation crops, potato and onion gained about 16.9 and 14.9 times higher, respectively, than successive cultivation of Chinese cabbage. Resting spore densities of Plasmodiophora brassicae after harvesting rotation crops were in the range of $0.3{\sim}1.2{\times}10^3/g$ soil in all cultivated soils with rotation crops while that of successive Chinese cabbage cultivation soil was very high as much as $89.3{\times}10^3/g$ soil. And disease severity of Chinese cabbage clubroot was 4.9, 20.2, 24.4, 25.1 and 27.8% in onion, soybean, potato, corn, and groundsel cultivation plot, respectively, while that of successive Chinese cabbage cultivation plot was very high as 77.8%. Effect of rotation period of onion, potato, soybean on disease control was investigated from 2002 to 2005. Resting spore densities of Plasmodiophora brassicae after cultivating rotation crops were decreased until $2^{nd}$ year and maintained low density at $3^{rd}$ year in all plots, while that of successive Chinese cabbage cultivation plot was increased 2.6 to 23.6 times for three years. When Chinese cabbage was rotation-cultivated with potato, soybean and onion for three years, disease severities of Chinese cabbage clubroot decreased 92 to 4.4%, 72 to 10.4% and 72 to 12.2%, respectively, while that of successive Chinese cabbage cultivation plot maintained 100%. As the rotation period increased, the yields of Chinese cabbage increased, while that of successive Chinese cabbage cultivation plot decreased. At $3^{rd}$ year, Chinese cabbage with high quality could be much more produced 2,205, 2,493 and 2,476 g in potato, soybean and onion cultivation plot, respectively, than 95 g in successive Chinese cabbage cultivation plot.

시설원예 준비와 관리대책 - 하우스의 형태$\cdot$자재 및 환경관리

  • 이창환
    • The Bimonthly Magazine for Agrochemicals and Plant Protection
    • /
    • v.7 no.5
    • /
    • pp.107-115
    • /
    • 1986
  • 시설원예라 함은 프라스틱하우스, 유리온실과 같은 시설안에서 작물을 주위의 불량한 환경조건에서 보호하는 동시에 생력화할 수 있는 장치를 도입하여 자본집약적으로 원예작물을 재배하고 비수기에 생산물을 공급하여 농가소득을 향상하고 국민식생활 개선에 기여할 수 있는 재배형식이다. 우리나라는 북반구에 위치하여 4계절이 뚜렷하고 동계에는 기온이 매우 낮아 적당한 보호조치 없이는 작물을 재배할 수 없다. 즉 시설원예는 동계 저온기의 작물생산이 주가되므로 보온 및 기온이 중요하고 또 동계에는 일조시간이 짧고 광도가 낮아 일사량이 부족하며 시설내에서는 더욱더 부족하게 되므로 광선관리에 신경을 쓰지 않으면 안된다. 그리고 고정된 하우스내에서 작부회수를 증가시키고 재식밀도를 높이게 되면 자연 다비재배를 해야하므로 염류농도의 장해와 가스 피해가 우려된다. 또한 환기불량으로 인한 탄산깨스의 부족과 다습으로 인한 병해의 발생이 심한 점이 있으므로 적절한 준비와 관리대책을 세우지 않으면 안된다.

  • PDF